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신선육과 가공육으로 분리된 육류의 수요체계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시현

Advisor
안동환
Major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농경제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농경제학전공), 2019. 2. 안동환.
Abstract
Demands for processed meat products and Home Meal Replacements (HMR) in Korea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increases in the number of one person households and double-income families, and the spread of camping culture.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domestic studies related to meat demands focus only on fresh meat, and therefore, there is not enough information about demand for processed meat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and system of Korean meat products disaggregated into fresh meat and processed meat by using the non-linear Almost Ideal Demand System (AIDS).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resul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items to be analyzed, the same data and analytical method were used to analyze the demand system applying the meat classification method in the precedent researche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disaggregated meat demand system.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agricultural consumer panel data provided b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7 years of 627 households' agricultural product purchase data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survey data were used. The analyzed items were disaggregated into nine products: domestic fresh beef, other fresh beef, processed beef, fresh pork, processed pork, fresh chicken, processed chicken, other fresh meat, and other processed meat products. In order to consider the effect of seasonality of meat purchases, the unit of the analysis period was set as a quarter. Therefore, the total analysis periods were 32 periods from the 1st quarter of 2010 to 4th quarter of 2017. Also, the data of the outbreak duration of livestock disease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incidence of livestock diseases on the meat demand.
Some interesting results were found in the disaggregated meat demand system which were not found in the demand system for fresh meat only or the demand system for meat aggregated by the animal origin. In the disaggregated meat demand system,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igns of the parameter estimates of the fresh meat and processed meat even if their animal origins were same. Therefore, the disaggregated model was more appropriate to explain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For example, in the 3rd quarter, the expenditure shares of beef and pork in the aggregated meat demand system, and the share of pork in the fresh meat demand system decreased, while the expenditure shares of other beef and processed pork increased. This indicates that the fresh meat demand system and the aggregated meat demand system cannot show the increase of imported beef and processed meat consumption due to Chuseok.
In addition, in the disaggregated meat demand system, the expenditure share of fresh chicken decreased as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lasted longer, but the share of processed chicken increased. This indicates that processed chicken products such as fried chicken and chicken breasts are not affected by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The fresh meat demand system and the aggregated meat demand system could not show such information.
All expenditure elasticities were positive in all demand systems, so that all items appeared to be normal goods. However, in the disaggregated meat demand system, the expenditure elasticities of all fresh meat (domestic fresh beef, other fresh beef, fresh pork, and other fresh meat) except fresh chicken were greater than 1, but only beef and other meat were luxury goods in the fresh meat demand system and the aggregated meat demand system.
The results of own-price elasticities were consistent with the demand theory in that all values were negative. The result of cross-price elasticities in the disaggregated meat demand system showed that the processed beef and the processed chicken were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 However, the results in the fresh meat demand system and the aggregated meat demand system showed that all the items were in substitution relationship.
1인 가구의 증가와 맞벌이 부부의 증가, 캠핑 문화의 확산 등으로 식육가공품과 가정간편식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육류의 수요와 관련된 기존 국내 연구들은 대부분 신선육의 수요에 초점을 두고 있어 가공육 수요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준이상수요체계(AIDS) 모형을 이용하여 신선육과 가공육으로 분리된 한국 육류의 수요체계를 분석하고 육류의 수급 및 가격 안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분석대상 품목의 차이에 의해 소비 특성과 대체관계가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동일한 자료와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기존 연구에서 육류를 구분한 방식을 적용한 수요체계를 추가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신선육과 가공육으로 분리한 수요체계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농촌진흥청의 농식품 소비자패널 데이터로, 627가구의 농식품 구매 데이터와 인구특성 설문조사 데이터를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분석대상 품목은 국내산소고기신선육, 기타소고기신선육, 소고기가공식품, 돼지고기신선육, 돼지고기가공식품, 닭고기신선육, 닭고기가공식품, 기타신선육, 기타육류가공식품의 총 9가지 품목을 지정하였다. 계절성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분석 기간의 단위는 분기로 설정하였으며, 따라서 분석 기간은 2010년 1분기부터 2017년 4분기까지 총 32분기이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의 조류인플루엔자 및 구제역 방역추진현황의 질병별 발생일수 자료를 이용하여 가축질병의 발생정도가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신선육과 가공육으로 세분화된 수요체계에서는 신선육만 대상으로 한 수요체계나 육종으로 집계한 수요체계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던 몇 가지 흥미로운 결과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인구특성 변수, 분기 더미변수, 가축질병 발생기간 변수의 파라미터 추정치를 살펴보면, 90% 신뢰수준 하에서 유의하지 않은 추정치를 제외하고는 신선육만을 대상으로 한 수요체계와 육종별로 집계한 수요체계의 추정치의 부호가 모두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육과 가공육으로 세분화된 수요체계에서 자녀유무, 패널의 취업여부 변수의 파라미터 추정치의 부호는 육종별로 같은 것으로 나타나 신선육 수요체계 및 집계한 수요체계의 파라미터 추정치의 부호와도 동일했다. 그러나 연령, 가구원수, 가구소득과 분기 및 가축질병의 효과에 관련된 추정치들은 신선육과 가공육의 부호에 차이가 존재하여 세분화한 모형이 신선육만 대상으로 한 수요체계나 육종별로 집계한 수요체계보다 변수의 효과를 설명하기에 더 적절했다.
특히 육종별로 집계된 수요체계에서는 3분기의 소고기와 돼지고기 지출비중이 감소하고, 신선육만을 대상으로 한 수요체계에서는 돼지고기의 지출비중이 감소했지만, 신선육과 가공육으로 분리된 수요체계에서는 기타소고기신선육과 돼지고기가공식품의 지출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신선육만 대상으로 한 수요체계나 육종별로 집계한 수요체계에서는 추석의 영향으로 수입산 소고기와 햄세트 등의 가공육 지출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지 못함을 의미한다. 또한 신선육과 가공육으로 분리된 수요체계에서는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의 발생기간이 길수록 기타소고기신선육, 닭고기신선육, 기타신선육, 기타육류가공식품의 지출비중은 감소하는 반면, 소고기가공식품, 돼지고기신선육 및 가공식품과 닭고기가공식품의 지출비중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치킨과 닭가슴살 같은 닭고기가공식품은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신선육만 대상으로 한 수요체계나 육종별로 집계한 수요체계에서는 이와 같은 정보를 나타내지 못 하였다.
지출탄력성은 모든 수요체계에서 모두 양(+)의 값을 가져 모든 품목이 정상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선육과 가공육으로 분리된 수요체계에서는 닭고기신선육을 제외한 모든 신선육(국내산소고기신선육, 기타소고기신선육, 돼지고기신선육과 기타신선육)의 지출탄력성이 1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신선육만을 대상으로 한 수요체계와 육종별로 집계한 수요체계에서는 소고기와 기타육류만 사치재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체가격탄력성은 세 가지 수요체계 모두 모든 육류가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수요이론에 부합하였다. 기존 방식대로 분류된 두 가지 수요체계에서 자체가격탄력성은 기타육류,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순으로 탄력적인 것으로 나타나 기타소고기신선육, 기타신선육, 닭고기신선육, 국내산소고기신선육, 돼지고기신선육 순으로 탄력적이었던 신선육과 가공육으로 분리된 수요체계의 자체가격탄력성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차가격탄력성을 살펴보면, 신선육과 가공육으로 분리된 수요체계에서는 소고기가공식품과 닭고기가공식품이 보완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선육만을 대상으로 한 수요체계와 육종별로 집계한 육류의 수요체계에서는 모든 품목이 대체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와 같은 정보를 나타내지 못 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94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