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다국적기업 근로자의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과 학습민첩성, 다양성 수용 및 조직동일시의 관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서희

Advisor
이찬
Major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2019. 2. 이찬.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다국적기업 근로자의 학습민첩성에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이 영향을 미치는 데에 있어 다양성 수용의 매개효과와 이에 대한 조직동일시의 조절효과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다국적기업 근로자의 학습민첩성,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 다양성 수용, 조직동일시의 수준을 구명하였고, 둘째, 다국적기업 근로자의 학습민첩성에 대한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 및 다양성 수용의 영향정도를 구명하였다. 셋째, 다국적기업 근로자의 학습민첩성과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의 관계에서 다양성 수용의 매개효과를 구명하였으며, 넷째, 다국적기업 근로자의 학습민첩성과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의 관계에서 다양성 수용이 매개된 상태에서의 조직동일시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구명하였다.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다국적기업 근로자 전체로 외국 투자지분이 100%인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도구는 Likert 5점 척도로 측정되는 학습민첩성,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 다양성 수용, 조직동일시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영역을 추가하여 총 다섯 가지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0월 2일부터 16일까지 총 14일간 실시하였다. 국내 다국적기업 인사관리 협회를 통해 해당 기업들의 인사 담당자 연락처를 확보하여 이들을 협력자로 선정하여 해당 기업 근로자들에게 설문 진행을 요청하였다. 총 400부를 목표 표집 수로 설정하였으나 310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설문 가운데 불성실 응답과 이상치 응답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272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3.0, Amos 23.0 및 SPSS PROCESS macro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최종적으로 연구가설 모형인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Hayes(2013)가 개발한 SPSS PROCESS macro model 8을 활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국적기업 근로자가 인식한 학습민첩성,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 다양성 수용, 조직동일시의 수준은 5점 척도로 환산하면, 다양성 수용이 3.96, 조직동일시는 3.81, 학습민첩성은 3.62,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은 3.57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학습민첩성의 평균 차이분석 결과 연령, 학력, 직급, 본사위치에 따라 학습민첩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은 학습민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양성 수용은 학습민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과 학습민첩성의 관계에서 다양성 수용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동일시는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과 학습민첩성 관계에서 다양성 수용이 매개기능을 하는 상태에서 조절기능은 하지 않았고, 조직동일시는 변혁적 리더십과 상호작용에 있어 학습민첩성에 대한 영향을 완충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국적기업 근로자의 학습민첩성에 있어서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과 다양성 수용은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국적기업 근로자들의 학습민첩성을 위해서는 조직차원의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과 개인차원의 다양성 수용이 동반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다국적기업 근로자의 학습민첩성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변혁적 리더를 조직차원에서 육성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민첩성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국적기업 근로자들의 다양성 수용 수준 향상이 요구된다. 둘째, 다국적기업 근로자의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과 학습민첩성의 관계에서 다양성 수용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근로자의 학습민첩성을 위해서는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의 인식을 바탕으로 근로자 스스로의 다양성 수용이 중요하는 점을 시사한다.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은 근로자의 학습민첩성에 영향을 주지만, 그러한 영향을 바탕으로 부하직원들은 본인 스스로 다양성 수용을 통해 다른 것들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학습하여 학습민첩성에 이르게 된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국적기업 근로자의 학습민첩성의 제고를 위해서는 근로자의 다양성 수용을 높일 수 있는 조직차원의 다양한 intervention이 필요하다. 셋째, 다국적기업 근로자의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과 학습민첩성 관계에서 다양성 수용의 매개효과에 대한 조직동일시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조직동일시 수준이 높을수록 직속상사 변혁적 리더십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민첩성의 정(+)적인 영향을 완화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동일시의 일반적인 선행연구 결과에 반하는 것으로 다국적기업 근로자들의 조직동일시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보다 조직동일시의 대상 및 다국적기업 특유의 환경적 요인들에 대해 보다 면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다음의 제언사항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에서 다국적기업의 본사 위치에 따라 다국적 기업 근로자들의 학습민첩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문화적 차이에 따라 학습민첩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부분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문화에 따른 학습민첩성의 영향 관계를 추가적으로 비교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의 설문조사는 자기보고식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따라서 설문 당시 응답자의 기분, 주관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진행되므로 객관성 확보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심층 인터뷰, 상사와 동료에 의한 평가와 같이 깊이 있는 연구방법이 필요하다. 셋째, 다국적기업 근로자의 학습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차원의 변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더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diversity sensitivity and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learning agility of the employees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s were examined: First, to identify the perceived the level of learning agility,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versity sensitivity,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f the employees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Secon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versity sensitivity on learning agility of the employees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Thir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diversity sensitivity on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learning agility of employees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Fourth, to identify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diversity sensitivity on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learning agility of the employees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The population for this research is all the employees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However, since it was hard to confirm the entire population, a target population was set up as a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survey was consisted of questions regarding learning agility,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versity sensitivity,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personal factors. A total of 76 questions were asked in the survey through 5 point likert scale, which were conducted to measure variables of this researc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nd to October 16th 2018 with a target sampling population of 400 people. Data was collected from 310 people of which 272 data was used for final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PSS 23.0 for Windows and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developed by Hayes(2013), Amos 23.0 for Windows for verify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measurement tools,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mediating effects and moderating effects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followed: First, the levels of learning agility,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versity sensitivity of employees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were above-average. Specifically diversity sensitivity is the highest one with 3.96 score. Also, Second, both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diversity sensitiv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learning agility. This means that learning agility of the employees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is needed to be accompanied by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well as diversity sensitivity at the individual level. Thir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learning agility. In other words, it suggests that the employees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who recognize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an lead to learning agility via diversity sensitivity. Four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learning agility, there was no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n the mediating effect of diversity sensitivit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9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