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과 성장욕구, 무형식학습, 상사-부하 교환관계(LMX)의 관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지용

Advisor
김진모
Major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2019. 2. 김진모.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adjustment to organization, growth needs, informal learning and LMX of Early careers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 To satisfy the research goal, the specific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explore the direct effect of early careers growth needs on adjustment to organization, seco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l learning in relationship between growth needs and adjustment to organization, third, corroborat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informal learning on relationship between growth needs and adjustment to organization, given LMX as a moderator.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targeted at the early careers working at excellent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which are registered at the Medium and Small Enterprises Information System. By early careers it means employees who have started their career for less than three years,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urnove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9th to November 16th, for four weeks via online survey system operated at KSDC, email and face-to-face survey. A total of 368 responses from 91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ere collected, of which 345 responses were analyzed after removing careless responses. The research instrument consists of 62 items, among which were 18 items on job satisfaction, 10 item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6 items on growth needs, 12 items on informal learning, 7 items on LMX and 9 items on general characteristics on 5-Likert scale.
F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level of perceptions on each variabl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tilized. Furthermore, to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the direct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 on dependent variab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giv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covariance drawing upon the results from correlation analys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Hayes(2013)s PROCESS macro model 4 and model 8 were adopted. All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at .05, which is the most globally used cut-off.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wth needs and informal learning of early careers in SM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are the manifested variables of adjustment to organization. Second, the growth needs of early careers in SM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rough informal learning on job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growth needs of early careers in SME turns out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via informal learn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LMX moderates the mediation of informal learning in relationship between growth needs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areers in organization. Moreover, LMX moderates the mediation of informal learning in relationship between growth need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areers in organization.
Drawing upon the results from analysis, concluding results could be made as follows
first, growth needs and informal learning has a positive association with adjustment to organization. This result aligns with the result from preliminary studies as well as demonstrates that growth needs and informal learning play crucial role in adjustment to organization. Second, growth needs has a indirect effect through informal learning and direct effect on adjustment to organization. This means that as the early careers try to develop themselves within organization, they actively learn with others, reflect themselves and seek external activities, through which they adjust to organization. Third, LMX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l learning in relationship between growth needs and adjustment to organization. This indicates that within supporting and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early careers and their supervisors in SME, individual with high grow needs are likely to actively participate in informal learning. Thus, for facilitating the adjustment to organization of early careers, more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relationship between early careers and their supervisors. Moreover, organization should promot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as well as a wide range of communication programs which will form the grounds for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and early careers and promote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could be as follows. First, as early careers in large corporations are in different context compared to them in SME, for furthering the literature, the relationship among adjustment to organization, growth needs, informal learning, LMX of early careers in large corporations should be investigated. Second, adjustment to organization should be developed as a unitary concept or variable, although in this study it was evaluated by combining two variables, namel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oreover, the implications for the field are as follows
first, as informal learning could be promoted by diverse interventions, interventions affecting adjustment to organization through informal learning needs to be considered. Second, despite the shared issue of adjustment to organization among early careers in SME, the levels of adjustment to organization would vary according to type of fields, jobs and region. Thus, it should be cautious to generalize the result towards the early careers in SME.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과 성장욕구, 무형식학습, 상사-부하 교환관계(LMX)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3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성장욕구가 조직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구명, 둘째,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성장욕구와 조직적응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의 매개효과 구명, 셋째,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성장욕구와 조직적응의 관계에서 상사-부하 교환관계(LMX)에 의해서 조절된 무형식학습의 매개효과 구명 등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표 모집단은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에 등록된 우수중소기업의 초기경력자이다. 초기경력자의 경우 이직횟수와 상관없이 전체 재직기간 3년 이하로 정의하였다. 자료 수집은 10월 19일부터 11월 16일까지 4주간 KSDC의 온라인 설문시스템과 우편조사 및 대면조사를 통해 진행되었다. 91개 중소기업, 총 368명으로부터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여 345부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질문지는 5점 리커트 척도로 직무만족(18문항), 조직몰입(10문항), 성장욕구(6문항), 무형식학습(12문항), 상사-부하 교환관계(LMX)(7문항), 일반적 특성(9문항)으로, 총 6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도구의 타당성을 검증을 위하여 내용타당도(전문가 5인), 안면타당도(중소기업 초기경력자 3인)를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상관분석, 차이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사용하였으며, 각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활용하였고,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 직접적 영향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종속변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통제하였다. 이어서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Hayes(2013)의 PROCESS macro model 4와 model 8을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미성은 사회과학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05수준에서 판단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성장욕구와 무형식학습이 조직적응의 측정변인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성장욕구는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을 통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성장욕구는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을 통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상사-부하 교환관계(LMX)는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성장욕구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부하 교환관계(LMX)는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성장욕구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성장욕구와 무형식학습이 조직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동시에, 성장욕구와 무형식학습이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성장욕구는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에 직접효과 및 무형식학습을 통한 간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 초기경력자가 조직 내에서 성장 및 발전하려고 할수록, 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 등의 활동에 참여하고, 이런 무형식학습의 결과 조직적응이 발생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상사-부하 교환관계(LMX)는 성장욕구와 조직적응의 관계에 대한 무형식학습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와 상사가 호혜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서로를 도울수록 성장욕구를 지닌 개인이 무형식학습 활동에 참여하여 조직적응을 달성하는 경향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경력자는 조직적응을 위해 직속상사와의 관계에 보다 초점을 맞춰야 하고, 조직은 직속상사와 초기경력자가 호혜적인 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리더십교육을 강화해야 할 뿐만 아니라 멘토링 등과 같은 초기경력자-직속상사 간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장려해야 한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2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대기업 초기경력자는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와 조직적응에 있어서 다른 맥락에 놓이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대기업 초기경력자를 대상으로 조직적응과 성장욕구, 무형식학습, 상사-부하 교환관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 연구의 결과와 비교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조직적응을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같은 측정변인을 통해 측정하였으나 조직적응 자체를 하나의 변인으로 분석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결론을 바탕으로 연구 결과의 활용을 위한 제언 2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무형식학습은 다양한 개입(intervention)에 의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무형식학습을 통해 조직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입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소기업 초기경력자는 조직적응이라는 공통적인 이슈를 갖고 있을 수 있으나 업종, 업무, 지역에 따라 편차가 크므로, 개별 기업에 이 연구의 결과를 적용하는 경우 주의를 요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09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