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고령 당뇨 환자에서 진료 연속성과 예방가능 입원의 관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보아

Advisor
김홍수
Major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19. 2. 김홍수.
Abstract
Diabetes is know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ACSC), and its related illnesses and complications can be prevented by effective primary care in timely manner. However, Korea's DRAHs(Diabetes-related avoidable hospitalizations) rate is significantly high in comparison to the rates of other OECD countries, due to Korea's thinly-linked primary health care system and the vulnerability such system poses to fragmented medical service use among patients. Diabetes, especially, required systematic management through consistent and st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 provider and patients. Among many elements that can impact the risk of DRAHs, Continuity of Care(COC), which ass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giver and patient, should be considered and understood further. Considering the disparities of onset and complexity of diabetes among groups by age,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extent of COC and DRAHs of a group of middle age patients and of old age patients, and observing the relationship of the two elements by the two age groups.
This study utilize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National Sample cohort data(NHIS-NSC) which follows the cohort's personal health status and service utilization patterns during its observation peri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diabetes patients of 45 and over, classified into two groups of 'middle-aged'(45-64) and 'old-aged'(65+). DRAHs,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is defined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 of the OECD Health Care Quality Indicators project. COC, as a independent variable, is measured by COCI in this study.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cs has been executed in order to explore the current state of COC and rate of avoidable hospitalizations among the 'middle-aged' and the 'old-aged' groups, along the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COC and rates of avoidable hospitalization by employing the two-part model.
Among the total of 42,422 subjects, 22,347(52.68%) were categorized as 'middle-aged' and 20,075(48.32%) were categorized as 'old-aged'. The average score of COCI among the 'middle-aged' was 0.47 and 0.43 among the 'old-aged', with the average number of DRAHs among the 'middle-aged' group being 1.32 and 1.42 among the 'old-aged' group, and the average rate of DRAHs among the 'middle-aged' group as 1.07% and the 'old-age' group as 2.03%.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atus of DRAHs differed by each age group. For the 'middle-aged' group, higher level of COC showed lower probability of hospitalization, along with Charlson Comorbidity Index(CCI) and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For the 'old-aged' group, factors associated with such status included COC, residential area, weekly drinking frequency, Charlson Comorbidity Index and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Factors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DRAHs differed by each group as well. For the 'middle-aged' group, sex, Body Mass Index(BMI), and Charlson Comorbidity Index, and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among the 'old-aged' group, factors of weekly drinking frequency, Charlson Comorbidity Index(CCI) and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is study, the two age groups showed clear disparity in not only the levels of COC and DRAHs status, but also i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evel and the status. Considering that the 'old-aged' group showed lower levels of COC and higher risk of DRAHs than the 'middle-aged' group, the need for strengthening primary care system to encourage continuous and stable relationship between older patients and care providers seems paramount.
Through analyz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tatus and number of DRAHs, and the continuity of care among middle- and old-aged diabetes patients, this study hopes to provide health policy insights and implications in order to strengthen primary care system for further improvement of diabetes management.
질병부담이 큰 당뇨는 가장 중요한 외래 민감성 질환(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ACSCs)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시기적절하고 효과적인 일차의료로 관련 질환과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은 OECD 국가 중 매우 높은 당뇨관련 예방가능 입원율(DRAHs)을 보이며, 이는 일차의료의 토대가 미약하여 분절적 의료이용이 발생하기 쉬운 보건의료체계로부터 상당부분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당뇨는 지속적 관리가 중요한 만성질환으로, 당뇨관련 예방가능 입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 중 의료진이 환자에게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가 얼마나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인 진료 연속성(Continuity of Care, COC)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질병의 양상과 복잡성 등이 당뇨환자의 연령군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군과 고령군에서 진료 연속성과 당뇨관련 예방가능 입원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코호트(NHIS-NSC)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45세 이상 당뇨환자로, 이들을 중년군(45-64세)과 고령군(65세 이상)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DRAHs로 OECD HCQI(Health Care Quality Indicators) 방법론을 따라 비산과적 진단으로 퇴원한 건 중 주진단명이 당뇨인 입원건수로 정의하였으며, 독립변수인 진료 연속성은 진료 연속성 지수(Continuity of Care Index, COCI)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중년군과 고령군에서 당뇨관련 예방가능 입원 여부 및 횟수와 진료 연속성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중년군과 고령군에서 당뇨관련 예방가능 입원 여부 및 횟수에 따른 환자 특성 차이 파악을 위하여 단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년군과 고령군에서 진료 연속성과 당뇨관련 예방가능 입원 여부 및 횟수의 관계 차이 파악을 위하여 two-part model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 대상자 42,422 명 중 중년군이 22,347명(52.68%), 고령군이 20,075명(48.32%)이었으며 진료 연속성 지수의 평균은 중년군에서 0.47, 고령군에서 0.42, 당뇨 관련 예방가능 입원횟수의 평균은 중년군 1.32회, 고령군 1.42회로 나타났으며, 입원비율은 중년군 1.07%, 고령군 2.03%로 나타났다.
당뇨관련 예방가능 입원여부의 경우 중년군에서 진료 연속성, 체질량지수, 지역의 병상 수, Charlson 동반질환점수, 외래방문횟수가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고령군에서는 진료 연속성, 주거지역, 주간 음주빈도, 지역의 병상 수, Charlson 동반질환점수, 외래방문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당뇨관련 예방가능 입원횟수의 경우 중년군에서는 성별, 체질량지수, 소득수준, 병상 수, Charlson 동반질환점수, 외래방문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고령군에서는 병상 수, Charlson 동반질환점수, 외래방문횟수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두 연령그룹에서 진료 연속성 수준과 당뇨관련 예방가능 입원 여부 및 횟수의 수준에 차이가 있고, 나아가 관련 요인에도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고령군이 중년군에 비하여 진료 연속성 수준이 낮고 당뇨관련 예방가능 입원의 위험가능성이 더 높은 결과를 보인 것을 고려하여, 향후 고령군 환자들이 의료진과 지속적 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일차의료의 토대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연령군에 따른 당뇨관련 예방가능 입원발생의 여부 및 횟수에 따라 진료 연속성과의 관계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한국 보건의료체계 맥락에서 당뇨 관리의 질 향상을 위한 일차의료 정책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09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