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생의 학업탄력성 변화 양상과 영향 요인 분석 : An analysis on the a trend of academically resilient students and factors affecting academic resilience in elementary schoo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은

Advisor
정동욱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행정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행정전공), 2019. 2. 정동욱.
Abstract
Recently, the concept of academic resilience emerged in an effort to reduce the educational gap as the problem of the gap between classes surfaced, which is defined as the achievement of high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by students in difficult family settings. As it is raised at home and abroad that the percentage of students with academic resilience has dropped sharply, there is growing concern that the gap between classes will widen and inequality in education opportunities will deepen. In this situation, the study aims to identify specific aspects of the change by figuring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students with academic resilience at elementary schools, and to analyse factors that affect generating and maintaining academic resilience as the school year increases. Based on this, policy suggestions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with academic resilience can be nurtured are suggested.
To analyze this research,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how is the change in academic 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the school year increases? Second,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generation of academic 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maintenance of academic 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research, GEPS data is used and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binomial logistic models. First of all,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specifically examined the size of students with academic resilience for the sam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2012 to 2014 divided by gender, and major school subjects. Next, student characteristics and schoo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generation of academic resilience in the 6th grat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do not have academic resilience in 4th grade is analyzed by using the binomial logistic model. Also, through the binomial logistic model,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schools were analysed that have an effect on maintaining the academic 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eniors even in the 6th grad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2012 to 2014, academically resilient students showed a general decline. According to this study, the number and ratio of students with academic resilience by gender and major subjects, in Korean and English, the ratio of female students with academic resilience was high. In contrast, in math, male students accounted for a high percentage of students with academic resilience, and this pattern was similar over three years. Seco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generation of academic 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the SES index, relation orientated self-conception, understanding of class, reading activity, education aspira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Third, characteristics of student and school that affect the maintenance of academic 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e leisure time(friends), delinquency frequency, understanding of class, and effectiveness of teachers.
Based on the main findings, there are policy suggestions and research suggestions. First, the educational gap in the backgroun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become stifled,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students with academic resilience has decreased, and the pattern has been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bject and gender.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need for a policy on the formation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in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with academic resilience in elementary schools.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found to have an impact on the generation of academic resilience, the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 for revitalizing reading activities in schools, improvement of teachers' efforts to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in class,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s, and expansion of the operation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s are needed. Third, to maintain the academic 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needed to suggest the guidances of spending desirable leisure time for students, reinforce student guidance and classroom instruction to reduce the frequency of delinquency, make efforts by teachers and schools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and expand the training related to teacher professional improvement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최근 계층 간 교육격차의 문제가 두드러지면서 교육격차 감소를 위한 노력으로 학업탄력성 개념이 등장하였는데, 이는 어려운 가정환경에 처한 학생이 높은 수준의 학업성취를 달성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학업탄력성을 지닌 학생의 비율이 국내에서 급감하였다는 논의가 국내·외에서 제기되면서, 계층 간 교육격차의 확대 및 교육 기회 불평등을 심화시킬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급에서 학업탄력적인 학생의 수와 비율을 확인하여 그 변화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학생이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업탄력성을 새롭게 생성시키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학업탄력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데 영향을 주는 요인을 학생 및 학교 특성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업탄력적인 학생을 양성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초등학생의 학업탄력성 변화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의 학업탄력성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학생의 학업탄력성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요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데이터를 활용하고 기술통계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모형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2012년-2014년의 3개년에 걸쳐 동일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탄력성이 있는 학생의 규모를 성별, 주요 교과별 등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항 로지스틱 모형을 활용하여 2012년에 초등학교 4학년 학생 중 학업탄력성이 없었던 학생을 대상으로, 6학년이 되어 새롭게 학업탄력성이 생성되는 데 영향을 미치는 학생특성과 학교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찬가지로 이항 로지스틱 모형을 통하여 2012년에 초등학교 4학년 학생 중 학업탄력성이 있었던 학생을 대상으로, 6학년이 되어서도 지속적으로 학업탄력성을 유지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2년에서 2014년까지 학업탄력적 학생은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학업탄력적 학생 수와 비율을 주요 교과목인 국어·수학·영어 과목별과 학생 성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국어와 영어 교과에서는 학업탄력적 학생 중 여학생의 비율이 높았으며 수학 교과에서는 학업탄력적 학생 중 남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고 이러한 양상은 3개년에 걸쳐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초등학생 학업탄력성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특성으로는 SES 지수, 자아개념(관계지향), 수업이해도, 독서활동, 교육포부 등이, 학교특성으로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시행여부가 학업탄력성 생성에 대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 학업탄력성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특성으로 여가 시간(친구), 비행빈도, 수업이해도 등이, 학교특성으로는 교사의 효능감이 학업탄력성 유지에 대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격차가 고착화되어오고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업탄력적 학생 수와 비율이 감소하였고, 교과목과 학생 성별에 따라 그 양상에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초등학교급에서 학업탄력적 학생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교육환경의 조성에 대한 정책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초등학생이 학업탄력성을 생성시키는 요인과 관련하여 학교에서의 독서활동 활성화에 대한 환경 조성, 학생의 수업이해도 향상을 위한 교사의 노력 향상 및 교수학습방법의 개선,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의 확대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셋째, 초등학생의 학업탄력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학생의 바람직한 여가 시간 선용 방법의 안내 및 지도, 학생의 비행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생활지도 및 교과연계 수업 강화, 수업이해도 향상을 위한 교사 및 학교의 노력, 교사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 전문성 향상 관련 연수 확대 등을 제언하는 바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16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