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지영

Advisor
구본관
Major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19. 2. 구본관.
Abstract
Instinctual explanations are required when the individual facts observed were surprising things that had been unexpected or unexplainable within their perception. The act of abduction occurs to explain the continuity of the observed surprise by making a connection with other evidence.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had been structured in a way that lis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and such approaches which could not uncover the relevance do not comport with the cognitive structure of learners. Hence, it is problematic since it can inhibit the interest and necessity of learners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In this regard, this paper is based on the fact that abduction, which is thought to be an instinctive on a daily basis, can operate as a logic to associate the modern Korean language and past Korean language which were considered as individual factors originally.
In chapter Ⅱ, the study examined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nd reestablished the concept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o identify what was required for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he curriculum was reviewed, and the cognitive survey on 32 teachers and 479 learners was conducted. In addition, after reviewing the definitions and types of abduction from Korean language history inquiry educational perspective, the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was defined the education which could raise think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having abductive feature by deducing plausible explanations connecting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with past Korean language and the education which can make students acquir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history having feature of personal knowledge through seeking speculation to make relation between unfamiliar and irrelevant materials. Also, the range of the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was delineated as knowledge could correlate modern Korean language and past Korean language and widen of recognition through additional data.
In chapter Ⅲ,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 of abductive inference in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o draw implications which could be applied in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 structured inquiry task which was created to induce abductive inference was presented to 131 learners, and it was analyzed based on the type of abductive examined in chapter Ⅱ. As a result, four aspects -reasoning aspect (ga) which was referred as who could not conduct observationd, reasoning aspect (na) which was referred as who can conduct only observation, reasoning aspect (da)which was referred as who could not conduct creative abduction, but connect observation to knowledge of grammar, and reasoning aspect (ra)which was reffered as who can conduct creative conduction - were derived. Since most of the learners to conduct typ3 1 of abduction well, reasoning aspect (ga)was uncommon. The number ofreasoning aspect (da)was small, because learners tend to conduct type 3 of abduction together when they solve the problem about type 2 of abduction. reasoning aspect (da)was rarely found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so it was captured through a small group discussion. Thus, reasong aspect (na) was the most dominant factor among four aspects. Therefore, most cases of difficulties in performing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were mostly based on the occurrence of errors in type 2 of abudction,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al scaffolding. Also, it was found out that the process of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is required as a result of aspect analysis.
In chapter Ⅳ, the paper set the goals of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of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his allows us to compose the content of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s a design principle of education, 'principles of inquiry topic selection', 'principles of inquiry procedure structuring' were established, and appropriate inquiry topics were selected and inquiry procedures were structured. Also, this study prepared constructive frame which can include the dimensions of method and strategy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showed the actual contents composition by inquiry topic.
This paper has an edcational significance in review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which emphasized pedagogical justice and education contents. Also, it is meaningful since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from a macro perspective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Korean language history inquiry education by introducing abduction. In addition, this study has an pedagogical meaning because it observes the learners abductive thinking, and prepares the actual education contents composition.
관찰된 개별적인 사실들이 예상하지 못한, 혹은 자신의 인식 범주 내에서 설명할 수 없는 놀라운 것일 때 본능적으로 설명이 요구된다. 목격한 놀라운 것을 다른 증거들과 관련시킴으로써 연속성을 도입하는 설명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이때 작동하는 추측이 귀추(abduction)이다.
기존 국어사 교육은 시기별 특성을 나열하는 방식으로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 왔는데, 이처럼 관련성을 모색할 수 없는 방식의 교육 내용 구성은 학습자의 인지 구조와도 맞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학습자의 이해뿐 아니라 흥미와 필요성마저 저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이에 본고는 일상적 및 본능적으로 작동하는 사고이면서도, 개별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현대 국어와 과거 국어를 관련지을 수 있는 논리로도 작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귀추를 국어사 탐구 교육에 도입하여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기존 국어사 교육을 반성적으로 검토하여 국어사 교육의 목표를 재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국어사 교육에 요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포착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을 검토하고 교사 32명, 학습자 479명을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어사 교육의 목표를 재정립하였다. 또한, 국어사 탐구 교육의 관점에서 귀추의 정의와 유형에 대하여 검토한 후,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을 학습자에게 낯설고 관련성이 없어 보이는 자료들을 바탕으로 이를 관련시키는 추측을 모색하여 지식을 구성해 가는 탐구를 통하여 당사자적 지식의 성격을 지닌 국어사적 지식을 획득하게 하며, 현대 국어와 과거의 국어를 연결하여 그럴듯한 설명을 추론하는 귀추적인 특성을 지닌 국어사적 사고를 배양하게 하는 교육으로 정의하고,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의 범위를 현대 국어와 과거 국어에 대한 지식이 상호연관성을 지닐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자료를 통하여 인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지식으로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국어사 귀추 탐구에서 나타나는 귀추적 추론의 양상을 살펴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에 참조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131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귀추적 추론을 유도하는 구조화된 탐구 과제를 제시하였고, Ⅱ장에서 검토한 귀추의 유형을 기준으로 학습자의 추론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관찰을 수행하지 못한 추론 양상 (가), 관찰만 수행한 추론 양상 (나), 관찰 내용과 문법 지식을 관련지었으나 창조적 귀추로 나아가지는 못한 추론 양상 (다), 창조적 귀추로 나아간 추론 양상 (라)가 도출되었다. 학습자의 양상은 추론 양상 (나)에 집중되어 있었는데, 추론 양상 (가)의 경우에는 학습자들이 대부분 유형 1의 귀추를 잘 수행하는 양상을 보여 많이 발견되지 않았고, 추론 양상 (다)의 경우에는 학습자들이 유형 2의 귀추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유형 3의 귀추가 동원되는 경향을 보였기에 그 수가 적게 발견되었으며, 추론 양상 (라)의 경우에는 질문지 조사로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으며 소집단 토의를 통하여 포착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어사 귀추 탐구의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는 대부분 유형 2의 귀추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교육적 비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만의 절차가 필요하다는 점도 양상 분석 결과 발견되었다.
Ⅳ장에서는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 및 교수-학습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육의 설계 원리로 탐구 주제 선정의 원리, 탐구 절차 구조화의 원리를 설정하였으며, 적합한 탐구 주제를 선정하고 탐구 절차를 구조화하였다. 또한, 교수-학습 상황에서 고려할 수 있는 방법 및 전략의 차원을 교육 내용 구성에 반영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의 구성틀을 마련하고 탐구 주제별 내용 구성의 실제를 보였다.
본고는 교육적 당위성 제시 및 교육 내용 마련에 중점을 두던 기존 국어사 교육의 한계를 반성하고 거시적인 시각에서 국어사 교육의 방향성을 조망하였으며, 귀추라는 관점을 도입하여 국어사 탐구 교육의 가능태를 논하였다는 점, 실제 학습자의 귀추적 추론 양상을 관찰하였다는 점,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상황에서 참고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의 구성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17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