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등교사의 직무환경이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Work Environm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승미

Advisor
모경환
Major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2019. 2. 모경환.
Abstract
The Effect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Work Environment on their Teacher Efficac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n, Seung-Mi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Major Advisor : Mo, Kyung-Hwan, Ph. 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educational agenda in worldwid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Korea have strived for spreading and facilita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However, several precedent research shows that teachers in reality feel pressured and a sense of burden of implemen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ir teaching.
In order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be established stably in schools, the burden that teachers have should be overcome first. Teacher efficacy means the belief and attitude of teachers on their teaching behavior and teaching ability. It is revealed through several precedent research that high level of teacher efficacy affects their teaching behavior positively.
Bandura(1986) said that research on personal efficacy should be based on the analysis on environmental elements. In general, teacher efficacy is affected by work environment teachers belong to. Currentl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is implemented in each school's autonomy and discretion. In this situation, teachers work environment is likely to have much effect on their teaching efficacy.
On the basis of this awareness, this study explores relations between secondary school teachers' work environment and their teacher efficac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er efficacy is a dependent variable. Work environment, as an independent variable, has 4 elements which are principal, teacher's working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governance(involvement in decision-making), and school culture and resources support. Besides, 7 factors which are sex, level of education, teaching career, major, type of school, experience in teacher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experience in teaching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re set as control variables. Hypotheses of this study have been established as follows.

Main Hypothesis : Teachers work environment will affect their teacher efficac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ub-hypothesis 1 : Principal(school leader) will affect their teacher efficac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ub-hypothesis 2 : Working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will affect their teacher efficac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ub-hypothesis 3 : Governance(involvement in decision-making) will affect their teacher efficac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ub-hypothesis 4 : School culture and resources support will affect their teacher efficac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verify these hypotheses,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to measure teachers' work environment and their teacher efficac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urvey were conducted, targeting 200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105 teachers responded to the survey and 102 of them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tiliz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condary school teachers' work environment is significant at p < .001 in improving their teacher efficac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us, main hypothesis is adopted. Second, while all the 4 elements of work environment(principal, teacher's working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governance(involvement in decision-making), and school culture and resources support) are non-significant at p < .05 for improv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er's working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and governance(involvement in decision-making) turn out to be significant at p < .10 for improv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ccordingly, sub-hypothesis 2 and sub-hypothesis 3 are adopted.
Apart from th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of 47 subjects who said they had teaching experience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a result, sub-hypothesis 2 is adopted at p < .05, confirming proposition that working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will affect their teacher efficac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llowing inferences were drawn from these results. First, it is important to improve teachers' work environment to cultivate their teacher efficac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suming teacher's efficacy has an important role in roo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in Korea and achieving the goal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uccessfully, attention on their work environment needs to be considered first.
Second,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communicating and cooperating between teachers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teacher efficac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eacher's working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teacher efficac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extent to which teachers have productive working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and work together to solve problem in the process of planning and implemen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is important to improving their teacher efficac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rd, it is important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teachers to be involved and have authority that can influence decision-making abou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governance(involvement in decision-mak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teacher efficac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urrentl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implemented in each school's autonomy and discretion in Korea. In this circumstance, teachers' authority and role are important to improve their teacher efficac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inferences suggest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roo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in Korea and implemen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ffectively. First, supporting on activating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need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can perform a function that teachers study on their teaching and activitie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ve a chance to learn from each other, and solve problems that they can encounter in the process of planning and implemen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Second, proper system that teachers are meaningfully involved in decision making abou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al issues is needed. For example, teachers can have a large role in shaping the contents and schedul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eciding how the school budget will be spent for the educatio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policies and activities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keywords :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er Efficacy, Work Environment, Teachers' Interaction, Teacher Learning Community, Teacher Involvement in decision-making
Student Number : 2016-21546
최근 전 세계적으로 세계시민교육이 주요 교육의제로 선정되고, 학교현장에서 세계시민교육을 확산시키고자 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세계시민교육 확산을 위한 여러 활동들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에 따르면 현장 교사들은 세계시민교육 실행에 많은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
세계시민교육 정책이 학교현장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겪는 부담감이 우선적으로 극복되어야 한다. 교사효능감은 교사가 자신의 교수행위와 교수능력에 대해 갖는 신념과 태도이다.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교수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한편, Bandura(1986)는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가 개인이 속해있는 환경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일반적으로 교사효능감은 교사가 속해있는 직무환경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한국의 세계시민교육이 각 시・도교육청 소속 단위학교들의 재량에 맡겨져 실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사를 둘러싼 직무환경은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같은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직무환경이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함으로써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으로 학교장의 특성, 교사들 간의 상호작용, 의사결정에의 참여 정도, 학교의 분위기나 지원을 설정하였다. 직무환경 외에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성별, 최종학력, 교직경력, 전공, 학교유형, 세계시민교육 연수경험, 세계시민교육 교수경험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주가설. 교사의 직무환경은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1. 학교장의 특성은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2. 교사들 간 상호작용은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3. 의사결정에의 참여 정도는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위가설 4. 학교의 분위기나 지원은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중·고등학교를 편의 표집한 후, 해당 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11월 한 달 동안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표집한 교사는 약 200명인데, 이 중 설문에 응답한 교사는 105명이다. 사후 결과 처리에서는 불성실한 응답을 한 경우를 제외한 총 102명의 표본이 본 연구에 활용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직무환경 요인의 총합이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가설은 p < .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인 학교장의 특성, 교사들 간의 상호작용, 의사결정에의 참여 정도, 학교의 분위기나 지원 각각이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하위가설1, 하위가설2, 하위가설3, 하위가설4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p < .05 수준에서는 하위가설이 모두 기각되었으나, p < .10 수준에서는 교사들 간 상호작용(하위가설2)과 의사결정에의 참여 정도(하위가설3)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세계시민교육 교수경험이 있는 연구대상 47명에 대하여 별도로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하위가설2가 p < .05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교사들 간 상호작용이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 함양을 위해서는 교사의 직무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교사의 직무환경은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학교현장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고, 세계시민교육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교사의 효능감이 중요하므로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직무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들 간 소통과 협력의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의 함양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교사들 간 상호작용은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에는 세계시민교육을 기획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교사들 간 생산적인 업무관계를 갖고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해결을 위해 함께 협력하는 정도가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세계시민교육 관련 학교의 의사결정에 교사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의 함양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의사결정에의 참여 정도는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한국의 세계시민교육이 개별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실시되는 상황에서 교사의 권한과 역할 강화는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의 함양에 중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세계시민교육의 안정적 정착과 효과적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세계시민교육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 수업과 활동을 함께 연구하고, 서로 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가지며, 세계시민교육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동료교사와 해결해나가도록 기능할 수 있다.
둘째, 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 이슈에 관한 의사결정 과정에 실질적으로 관여할 수 있도록 공식적인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추진 내용과 일정을 기획하고, 예산을 편성하며, 관련 활동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참여와 역할이 보장되어야 한다.

주요어 : 세계시민교육, 교사효능감, 직무환경, 교사들 간 상호작용, 교사학습공동체, 의사결정에의 참여
학 번 : 2016-21546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18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