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Effects of Cognitive Linguistics-Based Instruction on Learning, Transferability, and Perception of English Phrasal Verbs for Korean High School Learners : 인지 언어학 접근의 교수법이 한국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영어 구동사 학습, 전이, 관점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재경

Advisor
오선영
Major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 2019. 2. 오선영.
Abstrac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linguistics (CL)-based instruction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f English phrasal verbs, transferability to novel phrasal verbs along with the retention for both. The study administered several tests regarding students knowledge of English phrasal verb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English phrasal verb learning were also investigat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To date, there has been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on the cognitive linguistics-based teaching for vocabulary, but adopting this approach for phrasal verb instruction has yielded inconsistent results in most of the seminal studies (Kovecses & Szabo, 1996
Boers, 2000
Condon, 2008
Yasuda, 2010). The current study intended to fill this research gap, and since Korean students L1 is distinctly different from English, it may provide useful insights for applying CL approach to teaching phrasal verbs to EFL students whose native language falls in different typology from English.
In this study, twenty-eight second-year students at a public high school in Korea participated, and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group had two lesson sessions: the first session consisted of the pre-test, instruction, and the immediate post-test, while the second session was approximately twelve days later involving delayed post-test and the interview for eight selected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cognitive linguistics-based explanation on the taught phrasal verbs with cognitive concepts and image schema based on the particles, whereas the control group received a list of phrasal verbs in alphabetical order, which was explained with example sentences, Korean translation, and equivalent English words.
With respect to the learning of taught phrasal verbs, an ANCOVA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uggesting that the effect of CL-based instruction is not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Regarding the transferability to novel phrasal verb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uggesting the beneficial effect of CL-based teaching on knowledge transfer. As for the lasting effect of instructional treatments on learning and transferr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Nonetheless, different patterns shown from the within-group comparison demonstrated that the learning of the taught phrasal verb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tinu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hile it did not in the control group. Moreover, the increased mean score of the delayed post-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decreased score in the control group manifested different influence of the instructions. Students interview response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revealed enhanced awareness for the phrasal verbs and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instruction.
These findings have some pedagogical implication of the potential benefits of implementing cognitive linguistics approach to teaching phrasal verbs in the Korean EFL context. However, when applied in class, several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such as the long duration of the lessons, image schema suitable for students better understanding, and the learners proficiency level.
본 연구는 인지언어학적 접근의 교수법이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구동사 학습과 학습의 지속성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구동사 학습과 지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또한 조사하였다. 지금까지 인지언어학에 근거한 어휘 교육 관련 문헌이 늘어나고 있지만, 이 접근법을 구동사 교수법에 적용한 주요 연구들은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보인다 (Kovecses & Szabo, 1996
Yasuda, 2010). 본 연구는 이러한 상이한 연구들에 추가적인 표본을 제시하고, 나아가 영어와 확연히 다른 L1을 사용하는 한국인 학생들을 포함함으로 영어와 다른 유형의 모국어를 갖는 다양한 EFL 학생들 대상의 인지언어학적 기반 구동사 지도의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공립 고등학교 2 학년 28 명이 참가했으며 학생들은 실험 집단과 대조 집단에 배정되었다. 각 집단은 두 번의 모임을 가졌으며 첫 번째 모임은 사전 검사, 구동사 강의 및 인접 사후 검사로, 두 번째 모임은 지연 사후 검사와 8명의 선발 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면담으로 구성되었다. 대조 집단은 알파벳 순서로 구성된 구동사 목록을 받고 한국어 번역과 동의어, 예문 설명을 들은 반면 실험 집단에게는 첨사(particle) 위주로 분류된 구동사 목록, 이미지 도식과 함께 첨사에 대한 인지적 개념 설명이 제공되었다.
배운 구동사 학습에 대한 ANCOVA 결과에 따르면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으며 이는 실험 집단의 인지언어학 기반 교수법이 대조군의 교수법보다 학습에 보다 큰 도움을 주지는 않았음을 보여준다. 새로운 구동사로의 전이에 관하여서는 실험 집단과 대조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며, 이는 인지언어학적 지도가 새로운 구동사의 의미를 유추하는데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준다. 두 교수법이 학습과 전이에 갖는 지속적 효과에 대하여서는 그룹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각 그룹 내의 비교에서 실험 집단만이 배운 구동사에 대한 학습이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고 지속되었다. 또한 지연 사후 검사에서 실험 집단의 평균 점수는 오른 반면 대조 집단의 평균 점수는 떨어졌으며 이는 두 집단의 서로 다른 교수법이 상이한 효과를 가졌음을 드러낸다. 실험 집단 학생들의 면담에서는 구동사에 대한 인식이 더욱 향상되었고 지도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인지언어학적 접근의 교수법으로 구동사를 가르칠 때의 잠재적 이점을 제시하며 교육적 함의를 지닌다. 그러나 수업에 적용 할 때에는 충분히 긴 수업 기간, 학생들의 보다 쉬운 이해와 함께 개인의 능숙도에 적합한 도식 등의 사항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쟁점들은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1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