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취사 연료 선호의 결정 요인 분석 : Determinants of cooking fuel preferences in South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찬희

Advisor
홍종호
Major
사범대학 협동과정 환경교육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환경교육전공, 2019. 2. 홍종호.
Abstract
우리나라 가정에서 빠르게 전력화가 일어나고 있어 가정의 전력 소비량 및 전력 소비 비중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취사 연료가 가스에서 전기로 전환되고 있는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전력 수요 변화의 성격을 파악하고 최종 소비자들의 소비행태를 이해하는 것은 국가 에너지 정책을 결정하고 성공적인 에너지전환을 이루어내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주 취사 연료가 전환되고 있는 현상에 집중하여 취사 연료의 선호가 어떤 요인에 기인하는지를 탐색하였다. 또한, 취사 연료 선호에 개인의 환경 행동이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환경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취사 연료 선호의 결정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산선택모형을 구축하였고 프로빗 모형을 통해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의 응답자들을 대상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763개의 표본이 모형 구축에 활용되었다. 모형 추정 결과, 개인적 특성 중에는 나이, 혼인 상태, 건강관심도, 전기 취사 경험 여부가 취사 연료 선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가구의 특성 중에는 월평균 총소득, 월평균 가스요금, 주거지 특성 중에는 도시 여부가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환경 행동 변수는 취사 연료 선호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까닭은 건강관심도와 취사 연료 선호 간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를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개 효과 검증 결과, 건강관심도는 환경 행동을 매개로 취사 연료 선호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정요인 분석 결과, 앞으로도 전기 취사가 계속 확대, 보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응답자들이 건강 및 환경 측면에서 전기 취사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현재와 같은 전기 생산방식 하에서는 취사 연료의 전력화가 환경에 더욱 유해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우려된다. 따라서 환경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교육 및 홍보 등을 통해 국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도와야 하며, 전기 취사가 더 친환경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하고 시행하여야 한다.
환경 행동 변수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환경 행동 증진을 목표로 하는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건강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경제나 건강상의 이유 때문에 행하는 행동이 환경 의도를 가지고 행하는 행동과 구별될 수 있도록 환경 행동 지표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in Korea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as household electrification has occurred. Especially, there is a prominent pattern in which cooking fuel is being converted from gas to electricity recently.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se changes in demand and understanding the end-users consumption behavior is crucial for determining national energy policies and for achieving successful energy transi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phenomenon that the main cooking fuel of Korea is being converted and explains what factors the preferences of cooking fuels are due to.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cooking fuel preferences are influenced by environmental behavior of individual.
A discrete choice model was construct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cooking fuel preferenc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robit model. A survey of respondents aged 19 years or older in Korea was conducted and 763 samples were used for model construction. As a result of model estimation, it was estimated that age, marital status, health concern, and experience of electric coo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ference of cooking fuel among personal characteristic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monthly average gross income, monthly average gas rate were determinants. Lastly, among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rural location was the determining factor. Environmental behavio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ference of cooking fuel because it mediates between health concern and preference for cooking fuel.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ealth concern affects the preference of cooking fuel through environmental behavio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nts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electric cooking will continue to expand and spread in the future. However,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misperceptions of electricity cooking in terms of health and environment, and under current electricity production, it is feared that the fueling of cooking fuels will have a more detrimental impact on th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people through various education and publicity including environmental education, to help them to have a proper awareness. The government should implement a proper policy so that electric cooking can be improved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nvironmental behavior variable, it was considered that it would be effective to use health frame when construct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iming at environmental behavior promotion.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behavior indicators so that actions for economic or health reasons can be distinguished from actions that are carried out with environmental inten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4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