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Case Study of Adult Women's Literacy and Empowerment in ReFLECT program in Nepal : 네팔 리플렉트 프로그램 참여 성인 여성의 문해와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계신

Advisor
박경숙
Major
사범대학 협동과정글로벌교육협력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글로벌교육협력전공, 2019. 2. 박경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문해교육의 실천인 리플렉트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들의 경험을 통해 문해교육과 여성들의 임파워먼트를 둘러싼 다양한 관계 요인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연관되는가를 포착하는데에 있다. 이를 위해 󰡐리플렉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여성들의 경험은 무엇이며, 이 경험들은 여성들의 임파워먼트 변화와 어떻게 연결되는가?󰡑라는 연구 질문을 가지고 네팔의 고다와리 지역에 소재한 B마을을 대상으로 단일사례 및 현장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석에는 B 마을에서 리플렉트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여성들과의 인터뷰 자료, 리플렉트 수업의 후속인 여성 모임에의 참여관찰 자료, 네팔 교육부 및 국제기구 등의 보고서와 같은 2차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비판적 문해교육에 참여하는 여성들의 경험을 드러내고, 이들의 경험이 어떠한 관계요인들을 통해 임파워먼트에 관여하는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네팔 현장에 머물면서 포커스 그룹 면담(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면담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는 상징적 상호작용에 입각하여 개인의 경험과 그러한 경험을 형성하는 상호작용과 과정을 탐색하는데 적합한 질적연구방법을 고민하였다. 그 결과, Strauss & Corbin(1998)의 질적자료 분석 방법론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의 과정을 거쳐 분석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네팔 리플렉트 프로그램 참여 여성들의 경험과 임파워먼트의 패러타임 모형을 만들 수 있었다.
연구 결과, B 마을에서 진행된 리플렉트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들이 경험한 현상은 󰡐문해수업참여󰡑, 󰡐자신감의 향상󰡑, 󰡐우리 목소리의 고취󰡑, 󰡐삶의 질 향상󰡑, 󰡐새로운 것의 습득󰡑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은 공통적으로 리플렉트 참여 이전보다 자신들의 삶에 자신감과 공적인 영역에서의 인정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고 증언하였다. 여성들은 리플렉트 프로그램을 통해 문해수업에 참여하였고, 수업에서 배운 내용들고 토론을 통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했다. 가정 안에서의 자신감 뿐 아니라,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공적 영역에서의 의견 표출도 가능해진 것이다. 여성들은 리플렉트를 통해 새로운 정보와 지식들을 습득하고, 이것은 그들의 직접적인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졌다. 이전에 지식이 없어 누릴 수 없었던 권리 등을 되찾은 것이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인과적 조건으로는 󰡐배움에의 열망󰡑, 󰡐공적 영역의 인정󰡑, 󰡐변화의 기대󰡑, 󰡐경제적 유인󰡑 등의 조건이 작용하였다. 리플렉트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들은 주민등록증 발급 사업 등을 통해 자신들의 존재가 네팔 시민으로서 인정 받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를 경험하며, 더 나은 삶에 대한 기대와 배움에의 열망을 통해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
여성들의 현상에 관여하는 맥락적 조건으로는 󰡐공동체성󰡑, 󰡐가사노동과 돌봄노동에 대한 분절화 된 인식󰡑, 󰡐공여자와 수혜자의 위계󰡑가 발견되었다. 네팔 B마을에서 여성들이 적극적으로 리플렉트에 참여하고 계속해서 후속 모임을 이어갈 수 있었던 것은 강력한 공동체성 때문이었다. 이 공동체성은 정보의 공유에도 영향을 미쳐 보다 많은 여성들의 참여를 이끌었으며, 다수의 성공 경험을 함께 나누어 다음 활동에 힘을 실어주는 선순환을 이끌었다. 한편, 여성들의 정치적 임파워먼트와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정 내 무보수 노동에 대한 인식은 성(性)분절화 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맥락은 여성들이 리플렉트에 참여하기 위해서 더 많은 가사노동을 담당해야 하며, 마을의 남성들 역시 비판적 문해교육의 의미를 더 좋은 󰡐아내󰡑 혹은 󰡐엄마󰡑로서의 역할을 기대하는 것으로 전락시켰다. 세 번째로, 네팔 사회가 가지고 있는 사회적 위계관계가 리플렉트 프로그램 안에서도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문해교육의 실천인 리플렉트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평등한 권력 관계 속에서 대화를 통해 사회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고취해가는데 의미가 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수업을 진행하는 촉진자(facilitator), 시행기관인 ActionAid Nepal과 HomeNet Nepal의 직원들과 학습자인 연구참여자들 사이의 위계와 사회적 긴장이 발견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직원들이 동석하지 않은 자리에서 보다 활발한 토론과 솔직한 답변을 주는 모습을 보였다.
리플렉트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들과 그들을 둘러싼 사회 간의 상호작용은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갈등의 상호작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집단행동󰡑, 󰡐성공경험󰡑, 󰡐이익󰡑으로 범주화 되었다. 여성들의 성공경험은 마을 전체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리플렉트 모임을 무시하거나 반대하던 마을 사람들도 여성들의 정치적 임파워먼트를 통해 마을의 도로 보수, 삼림 관리 등이 긍정적인 이익을 얻게 되면서 모임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여성들을 존중하게 되었다. 또한 여성들은 󰡐혼자서는 할 수 없지만, 함께하면 가능하다󰡑는 집단 행동의 힘에 대해 매우 강력한 신념을 보였다. 이는 비판적 문해교육이 지향하는 의식화를 통한 집단 행동으로의 연결과 상응하는 부분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여전히 마을에서는 리플렉트 후속인 여성 모임을 무시하거나 비협조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여성들은 이러한 반대에 대해 󰡐이익󰡑이라는 전략을 취하여 실제적인 마을의 발전에 기여하는 경험들을 반복하여 보여주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들은 결과적으로 󰡐문해력의 습득󰡑, 󰡐개인적 삶의 변화󰡑, 󰡐공동체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를 Stromquist(2002)의 임파워먼트 정의 및 분류에 따라 분석하였다. Stroquist(2002)는 프레이리의 의식화를 기반으로 여성들의 임파워먼트를 연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들을 둘러싼 권력의 불평등을 인식하고 집단행동을 조직하고 동원할 수 있는 정치적 임파워먼트를 형성하였고, 자신들의 존재와 활동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존재로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향상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문해력 향상과 관련해서는 일말의 발전은 있었으나, 비판적 문해교육에서 주장하는 수준까지는 도달하지 못하였다. 비판적 문해교육은 의식화 교육이나 인문학 교육과는 현저히 구분되는 󰡐문해교육󰡑이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는 의식화 뿐 아니라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여성들의 가사 내 노동의 불평등함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들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남성과 마을 공동체의 문화적 인식이 여성들의 위치 및 권력변화에 발맞추지 못하는 지체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성들의 임파워먼트가 남성을 포함한 공동체의 임파워먼트까지 이어지지 못한 한계로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프레이리의 이론과 리플렉트 프로그램에 따르면 리플렉트 문해교육은 촉진자와 학습자 간의 위계가 없는, 모두가 이야기할 수 있는 안전한 배움의 공간이 되어야 하지만 B마을의 여성들과 리플렉스 수행기관 직원들 사이에서는 불평등한 권력의 위계 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마을 여성들과 직원들이 공여자와 수혜자의 관계를 벗어나지 못하였음을 보여주며, 리플렉트 문해 그룹이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만들어내지 못해 리플렉트 이론이 실제 현장의 한계에 부딪힌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women's experiences who participated in ReFLECT program of village B in Nepal are related the women's empowerment and to reveal the interaction between factors related to the women and program, which is the practice of critical literacy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field study in the village B of Godawari municipality in Nepal with the question "What are the experiences of women participating in the ReFLECT program and how are these experiences linked to women's empowerment change?" In detail, the analysis included interviews with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ReFLECT program in village B, participatory observation in women's meetings as follow-ups of ReFLECT meeting, and report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Nepal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UNESCO. Based on this,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women participating in critical literacy and to understand how their experiences are related to empowerment through the related factors.
The researcher stayed in Nepal and gathered raw data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Also, based on the symbolic intera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which is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uitable for exploring the personal experiences and the interactions and processes forming such experiences.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open coding and axis coding according to the method of Strauss & Corbin (1998). Upon the categorization of the raw data, it was possible to create a paradigm model of experience and empowerment of women participating in the Nepal ReFLECT progra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experienced 'participation in literacy class', 'improvement of self-confidence', 'enhancement of our voic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ppear.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interview commonly testified that they were able to enjoy confidence in their lives and recognition in the public sphere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ReFLECT. The participants now became possible to make their own voices in public since they learned that they have the same rights as men and others in the class. In addition to being confident at home, it is also possible to express opinions in the public domain even dealing with government agencies. Women acquire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ReFLECT, which leads to their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rights that were previously unfamiliar and unattainable to them because of lack of knowledge.
The causal conditions that make this possible were 'aspiration to learning', 'being recognized in public domain', 'expectation of change', and 'economic incentive'. The women experienced how important to be registered as Nepalese citizens through the issuance of an identification card and this experience was connected to their more desire for better life and learning.
Contextual conditions involved in women's experience were found to be' community-oriented', 'cultural lag of perception of housework and care work', 'hierarchy of donors and beneficiaries'. Thanks to the strong community-oriented atmosphere, women in B village actively participated in ReFLECT and continued to follow-up. This attribute of village B has also influenced the process of information sharing, leading more women to participate, and a virtuous cycle in which they share many success experiences and empower the next collective action.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advance of the political empowerment and change of women, the perception of unpaid labor in the household was still laid behind. This context has led women rather to take more burden to housework to participate in ReFLECT, and men in the village found out that they see the critical literacy education as activities for a better 'wife' or 'mother' role. Third, the social hierarchical relationship of the Nepalese society was found to underpin in the ReFLECT program. ReFLECT, which is a practice of critical literacy education, is meaningful for educators and learners to raise critical awareness of society through dialogue in an equal power relationship. However, in the actual field, hierarchy and social tensions were found between the facilitator conducting the lessons, ActionAid Nepal, the implementing agency, HomeNet Nepal staff, and learner participants. Participants in the study showed more active discussions and frank answers in the absence of staf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omen in the program and the society surrounding them was divided into positive interaction and conflict interaction. Positive interactions were categorized as 'collective action', 'success experience', and 'profit'. Women's success experiences affected the whole village. The villagers who ignored or opposed ReFLECTive meeting were also benefited from the political empowerment of women in the facts such as village road maintenance, forest management, and so on. As a result, the perception about the meeting changed in a positive way and the women became respected. Women also have a very strong belief in the power of collective action that "we cannot do it alone, but we can do it together." This can be regarded as a part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to collective action through conscientization which is aimed at critical literac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till some people in the village who ignored or refused to cooperate with the women. The participants used 'profit' strategy and had repeatedly shown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actual village against this objection.
As a result,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experienced 'literacy acquisition', 'personal life change', and 'community change'. Thi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empowerment of Stromquist (2002). Stroquist (2002) studied the empowerment of women on the basis of Freires conscientization. Research participants seemed to have improved their psychological empowerment by recognizing the oppression to women derived from the inequality of power surrounding them, gain the power to organize and mobilize collective action, and being proud of their existence and activities. Although there has been some progress in improving literacy, it has not reached the level asserted in critical literacy education. Critical literacy education is 'literacy educati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civic education or humanities education. The learner who participates in the program should be able to develop not only conscientization but also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It also showed that women did not recognize the inequality of unpaid works within the household and this can be seen as some of the intellectual empowerment did not improve. Personal empowerment was tangible but it was doubtful whether the individual empowerment linked to community empowerment as ReFLECT intended. Lastly, the hierarchy between participants of village and staffs from the implementing agencies. It can be guessable that the tension between the learners and staffs might be one of the limitations of the realization of the theory of Freire since the power inequality between teacher-leaner relationship cannot be covered easily.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4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