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인지적 재평가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재평가의 두 가지 전략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윤경

Advisor
권석만
Major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19. 2. 권석만.
Abstract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유의하게 높은 부정 정서와 낮은 긍정 정서를 보이는 등 정서조절에 실패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러한 경향은 사회불안의 발생과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에게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인 인지적 재평가 처치를 진행하고 효과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인지적 재평가의 두 가지 하위유형인 객관화 재평가와 긍정적 재평가가 부정 정서와 긍정 정서에 상이한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바, 두 유형이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치료적 함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Ⅰ에서는 인지적 재평가의 두 가지 하위 유형을 측정할 수 있는 인지적 재평가 척도(cognitive reappraisal questionnaire: CRQ)를 개발하고 척도의 요인구조와 신뢰도,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개발된 척도는 객관화 재평가와 긍정적 재평가의 2요인 구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적합도, 내적 합치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양호하였다. 수렴 및 변별 타당도 역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긍정적 재평가는 부정 정서와 긍정 정서 모두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객관화 재평가는 긍정 정서와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아, 두 재평가 유형의 상이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Ⅱ에서는 객관화 재평가 처치와 긍정적 재평가 처치가 사회불안 집단의 불안 수준과 정서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를 비교하였다. 사회불안이 높은 대학생 43명을 객관화 재평가 조건(N=22)과 긍정적 재평가 조건(N=21)에 무선할당하고 30분간의 교육, 6일간의 인지적 재평가 연습과 다이어리 작성 처치를 진행한 후 사전-사후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긍정적 재평가 집단에서 사회불안이 유의하게 감소했고 객관화 및 긍정적 재평가 능력, 긍정 정서가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객관화 재평가 집단에서는 모든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표본이 충분히 커진다면 사회불안과 부정 정서의 감소, 객관화 재평가 능력이 증가할 수 있으리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두 집단 간 사회불안 변화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부정 정서 감소량은 객관화 처치 집단이 높았다. 긍정적 재평가의 경우 긍정적 재평가의 증가를 통하여 향상된 긍정 정서가 사회불안의 감소로 이어지는 간접경로가 유의하였으나, 객관화 재평가의 경우 객관화 재평가의 증가가 직접적으로 사회불안의 감소로 이어지는 직접경로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불안의 감소에 있어 객관화 재평가와 긍정적 재평가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객관화 재평가는 보다 직접적으로, 긍정적 재평가는 긍정 정서 향상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며 치료적 함의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Social Anxiety Disorder(SAD)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orders in modern society. Based on the fact that SAD patients have high negative and low positive emotions, their ineffective way of using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s received attention. SAD patients usually use less cognitive reappraisal which is one of the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this tendency has an effect on the onset and maintenance of social anxiety. There are two types of cognitive reappraisal - detached reappraisal (DR) and positive reappraisal (PR) - and these types exert differential influences on emotion. However, the mechanisms of each type of cognitive reappraisal on social anxiety remains unclea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two types of cognitive reappraisal may have an impact on social anxiety differently.
In study 1, a new questionnaire for measuring two different types of cognitive reappraisal ability(named cognitive reappraisal questionnaire: CRQ) was developed an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CRQ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supported two factor structure of the CRQ and the CRQ total scale demonstrated an excellent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In study 2, an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DR and PR intervention on social anxiety. College students with high social anxiety were randomly assigned to DR group(N=22) or PR group(N=21), and received 30 minutes instruction and underwent the 6-day practices of daily-diary reports. After the training, in PR group, social anxiety decreased and positive emotion, detached reappraisal ability and positive reappraisal a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In DR group, although every chan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endencies of reduction of social anxiety and negative emotion and improvement of DR were found. Also, it is found that increased PR ability influenced to increase positive emotion, and increased positive emotion sequentially decreased social anxiety. On the other hand, the enhancement of DR ability seemed to directly affect decrease social anxiet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changes of negative emotion between DR and PR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ough both DR and PR have role on decreasing social anxiety, DR affects more directly and PR affects indirectly through positive emo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8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