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족 자치주 초등학교 어린이의 이중 언어 사용과 상황적 정체성 : 延边朝鲜族小学生的双语使用及其不可分割的国家认同、民族认同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려의

Advisor
강윤희
Major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19. 2. 강윤희.
Abstract
本文记录了笔者在朝鲜族自治州的民族学校进行的为期7-8个月的田野调查,调查的主要对象为A小学5年级x班的27名学生,调查内容涵盖学生所处的双语教育环境,学生的双语使用情况(bilingual language practices),语言意识形态(language ideology),及其国家认同、民族认同。本文旨在探讨中国少数民族学生在双语教育环境学习并使用双语的过程中,如何表现其国家认同和民族认同。为了较全面系统地考察面向这些朝鲜族学生的双语教育和学生的语言意识形态,笔者将朝鲜族自治州的各界官员,教育界人士,A小学的教师和她/他们的父母一齐纳入到研究对象的范围之内。通过访谈和参与观察本文总共探讨了以下三个问题:
一、学生的双语教育环境如何?
第一部分主要由本文的第二章构成。研究发现,朝鲜族自治州的教育界人士为响应国家的双语教育政策,在积极编写并出版了双语教材的同时,基于地方改革督促A小学实施符合政策的双语教育,而A小学也予以了非常积极的配合。A小学教师们则基于各自对双语教育的不同理解和相异的教育理念,以各种多样的方式倡导5年x班的学生使用双语。研究还发现,父母亦是双语教育的重要实践者。由于A小学的民族教育以朝鲜语为基础,为了让子女的双语教育变得更加完善,父母在家庭营造各式各样的汉语环境,借此着重培养子女的汉语能力。
少数民族的双语教育研究领域通常忽略了父母在双语教育的过程中所扮演的重要角色,亦忽略了因地制宜的双语教育所具有的多元性。本文针对先行研究的这些不足之处,将父母也视为实践双语教育的主体,运用质性研究的方法,以朝鲜族自治州为例,对中国少数民族的双语教育进行了多元分析。
二、学生如何使用双语?
第二部分内容主要由本文的第三章和第四章构成。本文为全面系统地阐述学生使用双语的情况,运用了交际民族学(ethnography of communication/speaking)分析对话的理论框架(SPEAKING model),将言语行为视作一种社会行为(social act),析出制约语言选择的社会文化因素,展示了学生选择语言的预测模型。除此之外,为了考察学生实际使用双语的时候,存在哪些无法预料的交际行为,本文还基于解释模型(interpretive model)析出语码转换(inter-sentential code-switching & intra-sentential code-switching)所产生的社会文化功能,以此观察并分析预测模型无法触及到的双语使用(bilingualism)现象。
有关双语使用的研究通常只把焦点放在研究对象的口头表达,基于先行研究的这种局限性,笔者将研究范围扩大到书面表达领域,不仅分析了学生在口头表达上使用双语的言语行为,还探索了她/他们在书面上如何使用双语。研究表明,在提倡双语的教育环境下,学生选择语言或转换语码时,透着相对较大的自由。
那么在朝鲜族学校究竟哪门语言更正式一点?这无法得到明确的解答。因为研究发现,朝鲜语和汉语的语言正式度(formality)随着语境的不同,不停地变换。而这也佐证了鼓励学生使用双语的教育环境使得朝鲜族学生能够相对自由地切换双语。这是朝鲜族学生比较自由地使用双语的唯一理由吗?对此,本文的第三部分予以了解答。
本文的第二部分内容还揭示了学生较为有趣的一些语言行为。譬如与长辈发生意见冲突时,学生普遍选择用汉语进行对话。假若她/他们需要长辈的妥协,便又转换成朝鲜语以表恭敬。成人用朝鲜语说话的时候,普遍都在使用源自汉语的音借词(借用汉语发音的朝鲜语)。与之相反,学生拒绝使用这种语言,用汉语发言(speaking)的时候更是追求最标准的发音。为什么学生会有这些语言习惯?本文的第三部分亦对此进行了进一步的分析。
三、学生的语言意识形态是什么?
第三部分由本文的第五章构成。这一部分旨在通过分析学生的语言意识形态,探讨她/他们是如何在学习并使用双语的过程中,表现自己的国家认同、民族认同。为此,笔者首先分析了成人对学生实施双语教育的过程中体现的语言意识形态。A小学所处的xx市官员和学生家长普遍认为语言和身份认同(identity)呈较为固定的对应关系。也就是说成人认为学生学习汉语并使用汉语体现了身为中国人的国家认同,而学习朝鲜语并用朝鲜语发言代表着学生身为朝鲜族的民族认同。
学生接受了成人的语言意识形态中一部分的观念,认同汉语是中国人的身份象征,朝鲜语即是朝鲜族的身份象征。同时学生也正如成人所期望的那样,存在强烈的国家认同和民族认同,比如她/他们把两门语言都看作是自己的母语。然而,对于展示这种身份认同的语言行为,学生的选择与成人的教育有所不同。学生试图通过两个母语的自由切换,同时展现自己的国家认同和民族认同。因为对于学生来讲,两种身份认同缺一不可,两种身份亦是不可分割的,而不是像官员更看重朝鲜族的身份认同,抑或是像父母着重强调中国人的身份认同。
由此,学生打破了成人对语言和身份认同树立的固定关系。根据学生的语言意识形态,只要可以自如地在朝鲜语和汉语之间进行语言切换,那么学习并使用朝鲜语亦能体现自己的国家认同,学习并使用汉语的行为亦呈现了自己的民族认同。由此可见,表示国家认同、民族认同的时候,学生的着重点在于如何使用双语,而非成人强调的那样,在于两门语言中,到底使用哪一门语言。
学生的这种语言意识形态致使她/他们拒绝使用发音不准的汉语或朝鲜语,比如源自汉语的朝鲜语音借词。学生认为这种语言是切换两门语言时,由于双语能力低下而产生的畸形语言。使用这种语言说话的行为与她/他们为了展示自己的身份认同所追求的双语使用方式是背道而驰的。因此,她/他们无法容忍诸如此类没有能力自如切换双语的言语行为,并对成人的这种语言习惯表示鄙夷。
由此,本文揭露了儿童身为一个独立个体的主体性(agency)、主观能动性。儿童并非被动,没有独创性的个体。她/他们的想法及其行为也并非全是成人的教育所致。例如在此次调查,儿童在语言社会化(language socialization)的过程当中,不会全盘接受成人试图灌输的语言意识形态。儿童只是有选择性地接纳了成人的一部分思想,并与同龄人一起树立了一个新的,有别于成人的语言意识形态。学生使用双语的时候显现出来的相对自由也并非全是成人塑造的双语教育环境使然,这主要是学生的语言意识形态所致。为了表示自己的身份认同,学生非常看重可以自由地转换语码以此驾驭双语的能力。因此,她/他们使用双语的时候便会存在相对较高的自由度。与此同时,这也致使她/他们嘲笑成人较弱的双语能力,并借此向成人世界提出质疑,进而挑战成人具有的权威(authority)。
至此,本文在第一部分展示了5年x班学生所处的双语教育环境,由此观察学生在怎样的环境学习并使用双语。第二部分的内容则系统全面地阐述了朝鲜族学生的双语使用。为此,分析了学生选择语言的规范和实际使用双语的情况。为了进一步地分析学生的双语使用,并考察她/他们如何用语言体现自己的身份认同,本文的第三部分内容揭示了学生有别于成人的语言意识形态,及其呈现出来的儿童的主体性。
本次调查通过以上内容表明了一点,那就是中国少数民族的国家认同和民族认同是可以相互融合的。在5年x班学生的意识形态里,她/他们具有双民族身份,一个是中华民族,另一个即中国的少数民族(朝鲜族)。两个认同感是同时存在的,且无法分割的。因此,她/他们在学习双语,使用双语的过程中,欲通过对双语驾轻就熟的语言能力及言语行为将两种身份认同一同呈现出来。而在这个过程当中,国家认同和民族认同又逐渐融合在一起,进而形成她/他们接受双语教育时欲通过言语实践表现的身份认同。
关键词:双语使用,身份认同,语言意识形态,朝鲜族语言,语言社会化,儿童的主体性,双语教育,少数民族,朝鲜族学校
본 연구는 중국 유일한 조선족 자치주의 xx 시에 위치한 조선족 학교인 A초등학교에서, 5학년 x 학급의 어린이들을 주된 연구 참여자로 수행한 민족지적 조사이다. 이 연구는 중국 소수 민족 교육의 가장 뚜렷하고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인 이중 언어 교육의 현장을 살펴봄으로써, 중화민족인 동시에 소수 민족이라는 중국 소수 민족의 이중 민족 정체성이 어떻게 일상적으로 유지되고 재생산되는지 살펴보았다.
첫 번째, 본 연구는 우선 연구 대상 어린이들의 이중 언어 교육 환경을 학교의 차원과 학급의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학교의 차원에서는 이중 언어 교육 정책을 실시함으로써, 그리고 학급의 차원에서는 학급의 상황 별로 어린이들에게 상이한 언어적 제한을 가함으로써 이중 언어 교육이 실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이중 언어 교육의 성인 주체를 교육계 인사, 교사, 부모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이들은 이중 언어 교육의 과정에서 자신이 행하고 있는 역할에 대하여 상이하게 이해하는 동시에 각자의 위치에서 다양한 실천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어린이들의 이중 언어 사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다. 본 연구는 또한 한어(국가 언어)와 조선어(민족 언어)라는 두 가지 공식 언어가 공존하는 A초등학교에서 두 가지 언어의 공식성과 비공식성은 상황에 따라 유동적임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지점들은 모두 5학년 x 학급 어린이들의 이중 언어 사용이 적극적으로 장려됨을 보여준다.
두 번째, 어린이들이 특정 언어를 선택하는 언어 선택의 규칙을 예견적 모델로 살펴보았을 때, 청자의 언어 능력 외에도 공식성, 언어 제한과 같은 상황적 요인에 제약을 받고 있었지만, 이들이 비교적 자유롭게 두 언어 중 하나를 선택하기도 함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어린이는 비공식적인 발화를 할 때에는 상황의 언어적 제한에 영향을 받지 않거나, 언어 제한이 없는 상황에서는 공식성과 같은 상황적 요인에 제약을 받지 않는 등과 같은 자유로운 언어 선택 행위들을 보였다.
세 번째, 본 연구는 코드 전환의 기능을 해석적 모델로 분석함으로써 어린이가 두 가지 언어를 사용하는 실제적인 측면을 조명해 보았다. 이를 통해 어린이들의 코드 전환이 배제, 의사 전달의 수요, 말 내용의 강조, 합의 요청 또는 의견 대립의 기능을 하고 있음을 밝혔다. 어린이는 공식성, 언어 제한과 같은 상황적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코드를 전환하는 경우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중 언어 사용의 규범에 어긋나는 언어 행위들도 보였다. 이는 어린이들이 두 가지 언어를 전략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네 번째, 어린이가 학습하고 사용하는 이중 언어와 민족 또는 국가 정체성의 관계를 개별적인 상응 관계에 따른 고정적인 것으로 바라보는 부모와 달리, 언어 사용의 방법, 즉 두 가지 언어 중 어떤 언어를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초점을 맞추는 어린이들의 메타언어적 담론에서, 이들이 성인들의 언어 이데올로기를 해석적으로 재생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어린이는 중국인이자 조선족으로서의 정체성을 나타내고자, 한어와 조선어의 자유로운 코드 전환 행위에 가치를 두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두 가지 정체성은 중국의 소수 민족이자 중화민족으로서 발현되는 상황적 정체성으로 재생산되었다. 본 연구에서 말하는 상황적 정체성이란, 성인들이 강조하는 것처럼 하나의 언어에 하나의 정체성을 연결시켜 무슨 언어를 말하느냐에 따라 정체성이 드러나는 언어와 정체성의 고정적인 관계를 넘어서, 언어 사용 양식에서 어떻게 말하느냐에 따라 상황적으로 재정의되면서 조정되는 정체성을 지칭한다. 이와 같이 어린이는 언어사회화 과정에서 성인들이 강조하는 정체성을 수동적으로 내재화한 것이 아니라, 성인들의 언어 이데올로기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재해석하고 있었다. 나아가 어린이들은 또래들과의 상호 작용에서 성인들의 언어 태도와 행위를 비판하고 조롱하며, 성인들의 언어 이데올로기를 전략적으로 이용하는 역동성까지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어린이들은 한어를 그들의 언어로 생각하면서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성인들의 언어 이데올로기를 비판하였지만, 동시에 성인들과의 의사소통에서는 성인들의 언어 이데올로기를 전략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어린이들은 또한 한어를 음차한 조선어를 사용하는 성인들의 행위를 또래 집단이 강조하는 상술한 가치들에 어긋나는 것으로 간주하면서 이를 조롱하였다.
이와 같이 어린이들은 성인들의 이중 언어 교육에서 장려하였듯이, 이중 언어를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이는 성인들의 언어 이데올로기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인 것이 아니었다. 어린이들은 성인들의 언어 이데올로기를 비판적으로 또 해석적으로 재생산하여, 또래 집단에서만 공유하는 언어 이데올로기에 부합되는 언어 행위, 즉 자유로운 코드 전환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어린이들은 이러한 언어 사용을 통해 성인들이 강조하는 두 가지 정체성을 이중 민족으로서의 상황적 정체성으로 재생산하였으며, 역으로 상황적 정체성을 나타내고자 두 가지 언어를 사회적 적절성에 맞게, 자유롭게 코드 전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성인들의 언어 이데올로기를 해석적으로 재생산하는 어린이들의 언어 이데올로기와 언어 행위를 탐구하는 것으로써 성인들의 권위에 도전하는 이들의 또래 문화를 볼 수 있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9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