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미국의 대(對)동맹국 핵 비확산 관리 : Nuclear Non-Proliferation Management by the U.S. towards Allies: A Comparative Study of US-Japan Nuclear Cooperation Agreement Revision and ROK-US Nuclear Cooperation Agreement Revision
미·일, 한·미 원자력협력협정 개정사례 비교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현아

Advisor
신범식
Major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외교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외교학전공), 2019. 2. 신범식.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point that nuclear control by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as immense influence on Korea and Japan until this day due to asymmetrical alliance between the U.S. and East Asian countries that have been fixed as a by-product of the Cold War. The United States has implemented non-proliferation policy as an important foreign policy to be a dominant player in establishing nuclear norms. Nuclear Cooperation Agreement (NCA) is a quantum non-proliferation policy by the U.S. and America has abided by the strict nuclear technology control requirements among all suppliers possessing nuclear technology. However, other than commitment of the U.S. toward non-proliferation policy, NCA, under the same objective of dominating worldwide nuclear proliferation control, has different agreement results according to collaborating opposing countries. In particular, it is very interesting that NCA with East Asian allies has been conducted as a political means to block nuclear proliferation and maintain allian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brings in the point that discriminatory nuclear technology control requirements were ratified as a result of NCA with Korea and Japan, which are the allies of the U.S. in East Asia.
The main questions of this study are "Why did the U.S. allow nuclear technology control requirements toward enrichment and reprocessing by Japan when revising NCA but did not allow it to Korea?" and "How was the American policy preference formed when revising US-Japan NCA and KOR-US NCA?" Based on these questions, this study insists that the American nuclear non-proliferation management aspects in US-Japan NCA and KOR-US NCA did not start from strategic importance toward allies but led to different agreement results according to how non-proliferation policy, which had a common goal of controlling nuclear proliferation, was carried out. Furthermore, when revising the US-Japan NCA, the Reagan administration used NCA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smooth relations with allies whereas the revision of KOR-US NCA during the Obama administration was conducted more firmly as a part of non-proliferation policy for the objective of stopping local nuclear proliferation.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American administration's policy preference based on the American status in international system and state relations within NCA. The influence of American administration was more crucial because the asymmetrical alliance in KOR-US relations and US-Japan relations acted as asymmetrical relations in the state relations within NCA. In addition, in the sense that NCA is a part of American security policies, decision-making right of American administration is relatively big. Thus, this study assumes American administration's grand strategy vision and nuclear norm based on international order as the factor which influenced America's policy preference. Owing to these factors, this study believes that policy preference in NCA was established after generation 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American administration's nuclear technology control policy direction influenced America's non-proliferation policy. Moreover, this study encompasses non-proliferation sincerity evaluation by allies.
As a result of conducting analysis based on data, the Reagan administration which seized power during revision of US-Japan NCA, of which negotiations took place from 1982 to 1987, recognized the tendency of armament by the Soviet Union as a threat to national security. The Reagan administration actively expressed the standpoint that it will stand up against the Soviet Union and a global environment of hostile competition structure was established. This influenced nuclear norm of the administration and allowed allies to perform relieved nuclear technology control policy. Meanwhile, non-proliferation reliability toward Japan led to positive evaluation according to highly advanced nuclear technology and nuclear industry cooperation, which had lasted for a long time. As a result, policy preference by the Reagan administration resulted in establishment of favorable alliance and brought about signing NCA allowing entire nuclear technology control requirements with regard to Japan.
Meanwhile, the Obama administration which took power during the revision of ROK-US NCA, of which negotiations took place from 2010 to 2015, generated a global environment of seeking non-proliferation controlled by the U.S. after the 911 terrorist attacks based on a unipolar system. In that sense, based on stricter nuclear norms, the administration established the nuclear technology control policy direction for reestablishing non-proliferation regime, which had become loose. Also, the U.S. seemed to express discretion toward Korea's non-proliferation commitment due to nuclear sovereignty discussion within the Korean society and incident of not reporting nuclear energy research activities. As a result, the Obama administration's policy direction led to consolidation of non-proliferation regime and brought about partially allowing nuclear technology control requirements toward Korea.
The following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rst, based on the point that American NCA is a means to block nuclear proliferation and political means taking into account alliances, this study identifies the significance of non-proliferation in the sense that American administration aimed to control non-proliferation based on different strategies by paying attention to American administration's policy direction. Second, this study escapes from the viewpoint based on strategic importance of allies imposed by the U.S. based on ordinary ROK-US relations and US-Japan relations, identifies the context from which American foreign policy was derived, and provides high explanation power with regard to the point that NCA was ratified with different signing requirements. Last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raised awareness toward future performance prospects of the foreign policy defined as a nuclear power based on America's NCA.
본 연구는 냉전의 산물로서 고착화된 미국과 동아시아 국가 간 비대칭 동맹관계로 인해 미국의 핵 통제권이 여전히 상당한 영향력을 한국과 일본에 행사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미국은 국제사회에서 주도적으로 핵규범을 구축하기 위해 비확산 정책을 중요한 대외정책으로 상정하여 수행해왔는데, 원자력협정(Nuclear Cooperation Agreement)은 미국의 양자적인 비확산 정책으로서 핵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공급국 중 가장 엄격한 핵기술 통제 요건을 지켜왔다. 그러나 미국의 비확산 정책에 대한 진정성과는 별개로, 원자력협정은 전지구적 핵확산 통제를 주도한다는 동일한 목적 아래 협력 상대국에 따라 상이한 협정 체결 결과가 나타난다. 특히 동아시아 역내 동맹국들과의 원자력협정은 핵확산의 차단과 동맹 관계를 위한 정치적 수단으로 수행되어 왔다는 점은 상당히 흥미롭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미국과 동아시아 역내 동맹국인 한국·일본과의 원자력협정의 개정 결과 차별적인 핵기술 통제 요건으로 비준되었다는 점을 문제의식으로 상정하여, 각 행정부의 정책 선호에 기반한 미국의 핵 비확산 관리 양상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의 핵심질문은 왜 미국은 원자력협정 개정 당시 일본에게 농축과 재처리에 대한 핵기술 통제 요건을 허용한 반면, 한국에게는 허용하지 않았는가?, 미·일,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당시 미국의 정책 선호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주장하는 바는 미·일, 한·미 원자력협정에서 나타난 미국의 핵 비확산 관리 양상은 동맹국에 대한 전략적 중요성의 경중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 핵확산의 통제라는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있으나 비확산 정책을 어떻게 수행하고자 하였는지에 따라 상이한 협정 체결의 결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미·일 원자력협정 개정 당시 레이건 행정부는 동맹국과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원자력협정을 수단으로 사용하였던 반면,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의 경우 오바마 행정부는 지역 내 핵확산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서 비확산 정책의 일환으로 더욱 공고하게 수행되었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국제체제 및 원자력협정 내 국가 관계에서 차지하는 미국의 위상에 입각하여 행정부의 정책 선호에 주목하였다. 미국 행정부의 영향력이 더욱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한·미, 미·일 관계에서 나타나는 비대칭 동맹관계가 원자력협정에서의 국가 관계에서도 비대칭 관계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더불어 원자력협정은 미국 안보 정책의 일환이라는 점에서, 행정부의 정책결정권이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미국의 정책 선호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서 당시의 국제 구조에 의한 행정부의 대전략 구상과 핵규범을 상정한다. 위 요인들에 의해 조성된 국제 환경, 그리고 행정부의 핵기술 통제 정책 기조가 미국의 비확산 정책에 영향을 미치며 원자력협정에서 나타난 정책 선호를 형성한다고 간주한다. 더불어 동맹국의 비확산 진정성 평가를 아울러서 고려한다.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1982-1987년까지의 교섭과정이 이루어졌던 미·일 원자력협정 개정 사례에서 당시 집권한 레이건 행정부는 소련의 군사력 증강의 경향이 가시화되는 점을 미국의 안보 위협으로 인식하였다. 레이건 행정부는 소련에 대항하겠다는 입장을 적극적으로 표명하였고, 적대적 경쟁구도가 나타나는 국제 환경이 조성되었다. 이는 레이건 행정부의 핵규범에 영향을 미치며, 동맹국에게 완화된 핵기술 통제 정책을 수행하였다. 한편, 일본에 대한 비확산 신뢰도는 고도로 발전된 핵기술 및 장기간 지속해왔던 원자력산업 협력에 따라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진다. 결과적으로 레이건 행정부의 정책 선호는 우호적 동맹관계 구축으로 나타나며, 일본에 대해 핵기술 통제 요건 전면 허용의 원자력협정 체결 결과를 야기하였다.
한편, 2010년-2015년까지의 교섭과정이 이루어졌던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사례에서 당시 집권한 오바마 행정부는 단극체제에 입각하여 9.11 테러 이후 미국 주도의 핵확산 통제를 모색하는 국제 환경을 조성하였다. 그에 따라 보다 엄격한 핵규범을 바탕으로 느슨해진 비확산 레짐을 재구축하기 위한 목적의 핵기술 통제 정책 기조를 정립하였다. 또한, 한국 사회 내 핵주권 논의와 원자력 연구 활동 미신고 사건 등에 의해 미국은 한국의 비확산 진정성에 대한 신중함을 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오바마 행정부의 정책 선호는 비확산 레짐의 공고화로 이어져, 한국에 대해 핵기술 통제 요건 부분 허용의 체결 결과를 야기하였다.
본 연구가 갖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원자력협정이 핵확산의 차단 수단임과 동시에 동맹 관계를 고려한 정치적 수단이라는 점에 입각하여, 행정부의 정책 선호에 주목함으로써 상이한 전략으로 동맹국에 대해 핵확산을 통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사안의 중요성을 밝힌다. 둘째, 일반적인 한·미, 미·일 관계에 입각하여 미국이 부여한 동맹국의 전략적 중요성 경중에 따른 시각에서 벗어나, 미국의 외교정책이 어떠한 맥락에 의해 도출되었는지를 밝히며 상이한 원자력협정 체결 요건으로 비준하였다는 점에 대해 보다 높은 설명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미국의 원자력협정을 바탕으로 핵 통제권으로 규정되는 외교정책의 향후 수행 전망에 대한 주의를 환기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드러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9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