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부모의 놀이참여가 3세 유아의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al Play Involvement on 3-Year-Old Children's Peer Relationship Skill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예진

Advisor
이강이
Major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2019. 2. 이강이.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examine the general aspects of Korean 3-year-old childrens peer relationship skills according to gender, (2) to examine the general aspects of parental play involvement (playtime, play behavior), (3)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3-year-old children peer relationship skills and parental play involvement, and (4)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play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laytime and 3-year-old childrens peer relationship skills.
A total of 132 3-year-old children from 13 child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Chungbuk, and Gyeongn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child participated in the Skill Situation Test which was presented as pictures. Mothers and fat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time spent on play with children, as well as their play behavior.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s and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using STATA 13.0 program. In addition, post-testing of the moderate effects was performed using the PROCESS macro for SPS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playtime was averaged 2.25 hours per day
mothers played more with their children than fathers did. Parents often play indoors during weekdays and outdoors on weekends with their children. Among the three subfactors of the parental play behavior, responsive and facilitative play behaviors were slightly higher while directive play behavior was at an intermediate level. The scores of fathers and mothers in all subfacto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peer relationship skills of 3-year-old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o parental playtime, as well as to two subfactors of parental play behavior
responsive and facilitative. However, its correlation to directive play behavior, another subfactor of parental play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Third, parental playtime and responsive play behavior had significant effect on peer relationship skills of 3-year-olds. As parents spend more time playing with their children and involve more responsively, the skills required to build and maintain positive relationships to peers was higher in the 3-year-olds. Furthermore, parental responsive play behavior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laytime and peer relationship skills of 3-year-olds. In other words, when parental playtime is low, the positive effect of parental responsive behavior on peer relationship skills of 3-year-olds is higher.
Fourth, parental facilitative and directive play behavio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eer relationship skills of 3-year-olds and the interaction effect with parental playtime was also not significant. This indicates that parental play behaviors of encouraging the children to participate or directing and teaching the children did not affect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eer relationship skills. The result also indicates that the levels of parental facilitative and directive play behaviors did not change the impact of parental playtime on childrens peer relationship skills.
This study verifies the importance of parental play involvement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in development of 3-year-old childrens peer relationship skills. Furthermore, the results reveal that parents responsive play interaction can moderate the effect of parental playtime on 3-year-old childrens peer relationship skills. By verifying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responsive play behavior, this study confirmed that parents who have a limited time playing with their children in reality could still support and promote positive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s peer relationship skills by providing highly responsive play behavior during play.
3세는 사회적 관계가 확장되고 또래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는 시기이다. 어린 시기부터 기관이용이 늘어가는 사회적 추세와 함께 기관에서 또래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위해 필요한 사회적 기술의 발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부모와의 놀이경험이 3세 유아의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세 유아의 또래관계기술과 부모의 놀이참여(놀이참여시간, 놀이참여행동)의 전반적인 양상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부모의 놀이참여와 3세 유아의 또래관계기술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부모의 놀이참여시간과 3세 유아의 또래관계기술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놀이참여행동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3세 유아의 또래관계기술의 양상은 어떠하며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부모의 놀이참여(놀이참여시간, 놀이참여행동)의 양상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부모의 놀이참여(놀이참여시간, 놀이참여행동)와 3세 유아의 또래관계기술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부모의 놀이참여시간과 3세 유아의 또래관계기술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놀이참여행동(반응성, 촉진성, 지시성)은 조절효과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경기, 충북, 경남에 위치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 13곳의 3세 유아 132명과 그들의 아버지와 어머니, 각 132명씩, 총 39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의 또래관계기술은 일대일 면접 방식으로 검사하였으며, 부모의 놀이참여시간과 놀이참여행동은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ATA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정, Pearson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SPSS용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조절효과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놀이참여시간은 하루 평균 2.55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놀이참여시간이 아버지의 놀이참여시간에 비해 많았다. 주중에는 실내놀이를, 주말에는 실외놀이를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부모의 놀이참여행동은 반응성과 촉진성은 약간 높은 편이고 지시성은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모든 하위영역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3세 유아의 또래관계기술은 부모의 놀이참여시간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3세 유아의 또래관계기술은 부모의 놀이참여행동 중 반응성, 촉진성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지시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놀이참여시간과 반응적 놀이참여행동은 3세 유아의 또래관계기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서, 부모가 자녀와 놀이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그리고 부모가 자녀와 놀이할 때 유아의 관심이나 흥미, 행동에 민감하고 적극적으로 반응할수록, 3세 유아는 또래와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수준이 높았다. 또한 부모의 반응적 놀이참여행동은 부모의 놀이참여시간과 3세 유아의 또래관계기술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여서, 부모의 놀이참여시간이 적은 경우에는 부모가 자녀와의 놀이상호작용에서 반응적인 행동을 더 보일수록 유아의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놀이참여행동 중 촉진성과 지시성은 3세 유아의 또래관계기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부모의 놀이참여시간과의 상호작용효과를 갖지 않았다. 이는 부모가 유아를 놀이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행동반응이나 놀이에서 지시하고 가르치는 행동반응을 보이는 것은 유아의 또래관계기술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부모의 놀이참여시간과 반응적 놀이참여행동이 3세 유아의 또래관계기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특히 부모의 반응적 놀이참여행동이 부모의 놀이참여시간과 3세 유아의 또래관계기술 간의 관계를 조절하여, 부모가 자녀와 놀이하는 시간이 적더라도, 자녀와의 놀이상호작용에서 반응적인 행동을 보인다면 유아의 또래관계기술을 긍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을 밝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33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