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금독주곡 <생의 한 가운데> 분석 연구 : The Analysis Study on the Daeguem Solo : Study on modern tecniques of daeguem
현대주법의 활용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윤영

Advisor
김경아
Major
음악대학 음악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19. 2. 김경아.
Abstract
본고에서는 이찬해의 대금독주곡 를 선율구조와 현대주법으로 나누어 악장별로 고찰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는 총 3악장으로 각 악장의 숫자는 나이를 의미한다. 각 악장마다 장영희가 번역한 영미시와 그것에 본인의 삶을 투영한 텍스트를 음악으로 표현했다. Ⅰ악장과 Ⅱ악장은 마디의 구분이 없고 Ⅲ악장은 다양한 박자표와 마디의 구분이 되어있다.
둘째 선율구조 분석에 있어 Ⅰ악장은 선율구조에서 현대주법이 빈번히 사용되는 특징이 있었다. 선율의 진행에서는 순차적으로 도약하는 A선율이 반대 형태인 A`선율로 나타났고 반음정이 계단식으로 배열되어있는 구조가 출현했다. 반음정의 구조는 단2도, 감1도, 단2도, 감1도, 단2도로 진행되는데 본 곡에서 지속적으로 출현했다.
Ⅱ악장은 반음정이 계단식으로 배열되어있는 구조, 제한적 출현음, 크게 도약하지 않는 상 · 하행 선율 등이 반복되는 특징이 있었다. Ⅲ악장은 트릴-선율구조의 주고받는 형태가 특징적이었다. Ⅲ악장은 서정적이며 제한적인 음을 사용하는데 트릴 이후 반음정이 배열되어있는 구조와 빠른 패시지의 사용이 빈번하여 전개가 전환되고 있었다.
셋째 현대주법 분석에 있어 Ⅰ악장은 바람소리와 제소리를 오가며 혀를 치는 주법(breath tonguing), 플러터 텅잉(flutter tonguing)주법, 다음주법(multiphonics) 등 현대주법을 빈번히 사용하였다. 특히 바람소리와 제소리를 오가며 혀를 치는 주법인 breath tonguing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는데 이 주법은 Ⅰ악장의 후반부에서는 악상기호 중 하나인 alternate between two notes와 함께 응용된 형태로 사용됨으로써 작곡가의 의도를 구체적으로 표현하였다.
Ⅱ악장은 목소리(voice)주법과 트릴을 중점적으로 사용하였다. 선율 진행시에 급격히 도약하여 하행하는 선율, 반음정이 배열된 선율로 넘어가기 위한 역할 등 선율 속에서 연결고리의 역할로 사용되었다. 이를 다루면서 본 연구자는 목소리 주법이 효과적으로 쓰이기 위해서 작곡을 할 때 연주자의 음역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제시했다.
Ⅲ악장은 밴딩(bending)주법과 더블트릴이 주로 사용되면서 작곡가의 텍스트를 표현하는데 선율보다 현대주법이 더 중요하게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밴딩(bending)주법을 sliding up과 sliding down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기보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악장에서 반규법과 교차운지법을 활용하여 반음정이 배열된 선율의 효율적인 연주방법을 제안하였다.
본고에서는 에 사용된 현대주법을 고찰함으로써 현대주법이 본 곡의 선율형성에 중요하게 작용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장에서 그 현대주법들을 어떻게 연주할 것인가를 고려하여 주법의 구체적인 연주와 악상기호의 기보방식, 이들을 활용하여 작곡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점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aeguem Solo by Lee Chan Hae focusing on its melody structure and modern tecniques for each movement.
Firstly, can be consist with 3 movements, and it means the age. The writers life is projected onto each movement. It was presented as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s have no separation for the measures, but the third movement has various time signatures and separation for the measures.
Secondly, through the analysis on the melody structure, the first movement use modern tecniques often. The melody of A is gradually taking a leap, and the chromatic interval appears consistently as Dan 2do, Gam 1do, Dan2 do Gam1 do, Dan 2do. In the second movement shows certain melody structures repeatable such as the terraced chromatic interval. In the third moment, distinguishing trill-melody structure is remarkable. It uses lyrical and limited notes.
Thirdly, as a modern tecniques analysis, the first movement using the breath tonguing between the air sound and original sound, flutter tonguing, and multiphonics . Especially, breath tonguing between air sound and original sound was used positively, it express the writers intension more concretely. In the second movement, the modern tecnique is focusing the voice tecniques and trill. In the second movement the modern tecniques is used as a link of going to the bottom dramatically, turning to the terraced chromatic interval. It is different with that the first movement using the modern tecniques as a key part.
This study is analyze the modern tecniques to see how the modern tecniques take the roles to consist the melody of the Daeguem Solo . And also this study would like to suggest the detailed tecniques and the music notation for the musical symbol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42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