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시대 악기의 개념과 수급방식 변천 연구 : The Study of the Change in Concept and the Procurement Method of Musical Instrument During the Joseon Dynasty : Through Literature Reviews of Treatises on Music Akseo and Royal Protocols Uigwe
- 악서와 의궤를 중심으로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승준

Advisor
김우진
Major
음악대학 음악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19. 2. 김우진.
Abstract
본 연구는 이론적 관점에서 악기 개념의 변화와 제작의 관점에서
악기 수급방식의 변화를 조선시대의 악서(樂書) 및 의궤(儀軌) 등의
문헌들을 통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조선 시대의 악기(樂器) 개념의 변화는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기는 악학궤범(1493)으로 대표되는 시기이며, 이 시
기의 악기란 악무(樂舞)에 쓰이는 도구[器]를 뜻한다. 이 시기의 악기
에는 연주에 관련된 것과 무용에 관련된 것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특히 아부악기도설(雅部樂器圖說)에는 휘(麾), 조촉(照燭), 적(翟), 약
(籥), 간(干), 척(戚), 둑[纛], 정(旌)과 같이 소리를 내지 않는 도구들
이 악기로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조선시대의 악기의 개념은 음악을
연주하는데 쓰는 도구라는 오늘날 악기의 개념과는 차이가 있었다. 제 2기는 사직서의궤(1783)와 경모궁의궤(1784)로 대표되는
시기이며, 이 시기에는 악기(樂器)와 무기(舞器)가 분화된 시기이다. 악기는 악(樂)에 쓰이는 도구를 뜻한다. 비록 소리를 내는 도구는 아
니지만 음악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연주신호용 의물인 휘와 조촉은
악기에 속한다. 무기는 무(舞)에 쓰이는 도구를 뜻한다. 적, 약, 간, 척 등 일무(佾舞)에 쓰이는 도구들이 무기에 속한다. 그러나 이 시기
의 악기의 개념도 오늘날의 악기의 개념과는 차이가 있다. 소리를 내
지 않는 도구이 휘와 조촉이 여전히 악기에 속하며, 일무신호용 악기
인 순(錞), 탁(鐲), 요(鐃), 탁(鐸), 응(應), 아(雅), 상(相), 독(牘)은 무
기에 속해있다. 제 3기는 증보문헌비고(1908) 시기이며, 이 시기의 악기는 음악- ii -
을 연주하는 도구[器]를 뜻하여 오늘날의 악기 개념과 같아지게 된
다. 이 시기에는 이전에 무기도설(舞器圖說)에 수록되었던 일무신호용
악기인 순(錞), 탁(鐲), 요(鐃), 탁(鐸), 응(應), 아(雅), 상(相), 독(牘)이
악기에 속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전에는 악기도설(樂器圖說)에 수록되
었던 연주신호용 의물인 휘와 조촉은 악기에서 제외 되었다. 조선 시대 악기의 개념은 시대가 흐르면서 위와 같이 점차적으로
변화하여 오늘날 사전적인 악기의 개념 또는 학문적인 악기의 개념과
같아지게 되었다. 한편, 제작의 측면에서 9종의 악기의 제작 및 수리와 관련된 의궤
(儀軌)들을 통해 조선 시대의 궁중에서의 악기 수급방식이 어떻게 변
화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선시대의 악기 수급방식의 변화는 세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제 1기는 제기악기도감의궤(1624), 숙종기해진연
의궤(1719), 영조갑자진연의궤(1744), 인정전악기조성청의궤
(1744)가 해당하며, 직접 제작 및 재료 진배(進排) 시기이다. 궁중에
서 필요한 악기를 제작하고 수리하기 위해 장인들을 동원하고 자재들
을 진배받아 직접 제작한 시기이다. 제 2기는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1777), 사직악기조성청의궤
(1803), 순조기축진찬의궤(1829)가 해당하며, 직접 제작 및 재료
구매 시기이다. 궁중에서의 악기수급 방식은 제 1기와 동일하게 유
지하지만, 일부 재료들을 구매하여 썼다는 덤에서 차이가 있다. 제 3기는 헌종무신진찬의궤(1848)과 고종정해진찬의궤(1887)
가 해당하며, 악기 구매 및 도급(都給)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화폐
를 대대적으로 사용하던 시기이다. 헌종무신진찬의궤에는 궁중에서 - iii -
필요한 악기의 일부를 구매한 기록이 있다. 그러나 악기의 현(絃) 만
큼은 궁중에서 조현장(造絃匠)이 재료인 백사(白絲)를 가지고 직접 제
작하였다. 고종정해진찬의궤에서는 처음으로 도급(都給)이라는 개념
이 등장하는데, 이는 궁중에서 필요한 악기의 제작과 수리를 외부의
업체에 맡기고 비용만 지불하는 형태로 변화한 것이다. 또한 조현장
도 기록에서 사라지게 된다. 조선 시대 궁중에서의 악기 수급방식은 화폐·상업경제가 발달하는
시대적 모습과 함께 점차적으로 변화하여 19세기 말엽에는 오늘날과
같이 외부 업체에 대금을 지불하고 맡기는 방식으로 변화한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at analysing the conceptual change in
musical instruments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rough literature reviews of Royal Protocols
Uigwe(儀軌) and Treatises on Music Akseo(樂書) of the Joseon - 288 -
dynasty, while examining the change in the procurement method
of musical instruments from a manufacturing perspective.
This analysis found that the conceptual changes in musical
instruments Akgi(樂器) during the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In the initial period, represented by
Akhak gwebeom(樂學軌範, Canon of Music, 1943), musical
instruments refer to tools for Angmu(樂舞, music and dance
performance). In the Akhak gwebeom, its 6th volume Abu ak ki
doseol(雅部樂器圖說) introduces those instruments which do not
make a sound, for example, Hui(麾), Jochok(照燭), Jeok(翟),
Yak(籥), Gan(干), Cheok(戚), Duk(纛) and Jeong(旌). Such a
concept of musical instruments in the Joseon dynasty is
different from the one today that sees musical instruments as
tools for playing a piece of music.
The second period, represented by Sajikseo uigwe(社稷署儀軌, 1783) and Gyeongmogung uigwe(景慕宮儀軌, 1784), is when the
instruments for music performance Akgi(樂器) and the instruments
for dance performance Mugi(舞器) are separated. Akgi refers to
the musical instruments used for music performance. Although
Hui(麾), and Jochok(照燭), used for announcing the start and
end of music performance, do not make a sound, they are
musical instruments Akgi. Meantime, Mugi refers to the
instruments used for dance performance. Those instruments
which are used in Ilmu(佾舞 , dance performance accompanied
by music) are Mugi such as Jeok(翟), Yak(籥), Gan(干), and - 289 -
Cheok(戚). Yet, the concept of musical instruments in this
period is still different from the one today. Hui(麾) and Jochok
(照燭) are still part of Akgi, while instruments used in Ilmu
are part of Mugi such as Sun(錞), Tak(鐲), Yo(鐃), Tak(鐸),
Eung(應), Ah(雅), Sang(相), and Dok(牘).
The third period, represented by Jeungbomunheonbigo(增補文
獻備考, The Augmented Reference Compilation of Documents,
1908), considers musical instruments as tools for playing a
music that is the same as today. In this period, tools used in
Ilmu for signaling become part of Akgi such as Sun(錞), Tak
(鐲), Yo(鐃), Tak(鐸), Eung(應), Ah(雅), Sang(相), and Dok(牘)
which used to be recorded in Mugidoseol(舞器圖說, an
illustrated book showing instruments for dance performance). In
addition, Hui and Jochok, used to be recorded in Akgidoseol(樂
器圖說, an illustrated book showing instruments for music
performance), are no longer part of musical instruments.
As such,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oncept of musical
instruments has been gradually changed into the same lexical
or academic ideas as today.
Meanwhile, through literature reviews of Royal Protocols
Uigwe(儀軌) concerning the manufacturing and repairing of 9
types of musical instruments in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analyses the change in the procurement method of musical
instruments in the royal court.
This analysis concluded that the change in the procurement - 290 -
method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initial period,
represented by Jegiakgidogam uiwe(祭器樂器都監儀軌, 1624),
Sukjong gihaesjinyeon uigwe(肅宗己亥進宴儀軌, 1719), Yongjo
gabjajinyeon uigwe(英祖甲子進宴儀軌, 1744), Injeongjeon akgi
joseongcheong uigwe(仁政殿樂器造成廳儀軌, 1744), sees the
royal court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manufacturing of
musical instruments, while materials for the manufacturing are
presented to the King. In this period, artisans are mobilized for
the manufacturing and repairing of the musical instruments so
as to meet the royal courts need.
The second period, represented by Gyeongmogung akgi
joseongcheong uigwe(景慕宮樂器造成廳儀軌, 1777), Sajik akgi
joseongcheong uigwe(社稷樂器造成廳儀軌, 1803), Sunjo gichukjinchan
uigwe(純祖己丑進饌儀軌, 1829), sees the royal court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manufacturing of musical instruments and
purchasing of materials as needed. The fact that the royal
court takes a direct part in the manufacturing is the same as
in the initial period. Yet, the fact that parts of materials are
purchased by the royal court is different from the procurement
method for materials in the initial period.
The third period, represented by, Hunjong musinjinchan uigwe
(憲宗戊申進饌儀軌, 1848) and Gojong junghaejinchan uigwe(高宗
丁亥進饌儀軌, 1887), sees the royal court purchasing and
contracting out the manufacturing of musical instruments. It is
the same period when currency is widely used. The records in
Hunjong musinjinchan uigwe show the purchasing of some - 291 -
musical instruments as needed. However, the strings of musical
instruments are exclusively made by artisans with expertise in
making strings with white thread within the royal court. In
Gojong junghaejinchan uigwe, the concept of contracting i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This shows the change that the
royal court pays the cost and puts out the manufacturing and
repairing of musical instruments to contract. Accordingly, any
written records about string artisans are no longer found since
then.
With such research, this thesis could identify the fact that
the procurement method of musical instruments in the royal
court of the Joseon dynasty gets changed gradually as the
currency and commercial economy of the era develops, leading
to allowing outside contracts b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like toda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43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