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roteinuria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rapid progression of mild to moderate aortic stenosis in patients with preserved renal function : 단백뇨와 무증상 경증-중등도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급속 진행의 관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유정

Advisor
김용진
Major
의과대학 의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19. 2. 김용진.
Abstract
연구 목적: 단백뇨가 심혈관질환의 불량한 예후와 관련이 있음에 대하여 널리 잘 알려져 있다. 그에 반해 대동맥 판막 협착증의 진행과 단백뇨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단백뇨와 대동맥 판막 협착증의 진행에 관련성에 대한 관계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심장초음파 검사실에서 확인된 경증-중증도 대동맥 판막 협착증 환자 460명을 대상으로, 최소 3개월 이상의 간격으로 시행된 심장초음파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대동맥 판막 면적의 변화 정도를 통하여 대동맥 판막 협착증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여 단백뇨 유무에 따른 차이를 비교한다.
연구 결과: 요시험지검사를 통하여 단백뇨가 확인된 108명의 환자와 352명의 단백뇨가 확인되지 않은 환자를 비교하였을 때, 단백뇨가 동반된 환자군에서 년간 대동맥 판막 면적 감소 속도가 현저하게 빨랐다. (-7.7±13.5% vs. -4.5±11.6%
p=0.017). 단백뇨와 대동맥 판막증의 빠른 진행과의 관계는 사구체여과율 ≥60 mL/min/1.73m2 인 환자에서 더욱 뚜렷하게 확인되으나 (-11.0±17.5% vs. -4.2±10.0%
p <0.001), 사구체 여과율이 15-60 mL/min/1.73 m2인 환자에서는 두 군간의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5.8±10.3 vs. -5.3±14.8%
p=0.822). 당뇨병의 동반 유무에 따른 하위 분석에서, 당뇨병이 없는 환자에서만 단백뇨와 대동맥 판막의 빠른 진행과의 연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8.1±12.0% vs. -8.1±15.7%
p=0.018). 다중 변수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단백뇨가 대동맥판막증의 빠른 진행을 예측하는 독립적인 인자임을 확인했다.
결론: 경증-중증도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에서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진행은 요시험지 검사를 통하여 1+ 이상의 단백뇨가 확인된 환자, 특히 신장 기능이 유지되고 당뇨병이 없는 환자에서 가속화 되었다.
Purpose: Although proteinuria is a well-known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its relationship with the progression of aortic stenosis (AS) has not been established. Our aim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inuria and AS progression.
Methods: A total of 460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AS (defined by a peak velocity of 2.0–4.0 m/sec) without end-stage renal disease who underwent two echocardiograms at least 3 months apart were included.
Results: The progression of AS was significantly faster in patients with proteinuria than those without (108 patients vs. 352 patients
annualized reduction rate of aortic valve area (AVA), -7.7±13.5% vs. -4.5±11.6%
p=0.01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f proteinuria and the accelerated progression of AS was significant among patients with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60 mL/min/1.73 m2 (-11.0±17.5% vs. -4.2±10.0%
p <0.001), but not among those with eGFR 15-60 mL/min/1.73 m2 (-5.8±10.3 vs. -5.3±14.8%
p=0.822). When stratified by the presence of diabetes, the association of proteinuria with AS progression was only significant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8.1±12.0% vs. -8.1±15.7%
p=0.018).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that the presence of proteinuria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AS progression.
Conclusion: The progression of AS was accelerated in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AS and proteinuria, particularly among those with preserved renal function and no diabetes.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46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