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Serum uric acid level as a prognostic marker in non-metastatic colon cancer : 비전이성 결장암 환자에서 예후 인자로의 혈중 요산의 중요성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동운

Advisor
정승용
Major
의과대학 의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19. 2. 정승용.
Abstract
목적: 혈중 요산은 산화 스트레스의 중요한 표지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혈중 요산은 체내에서 항산화물질 (antioxidant)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산화촉진제 (prooxidant)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암환자에서 혈중
요산이 장기 생존에 대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불분명하다. 이에 결장암 환자에서 수술 전 혈중 요산이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2년부터 2010년까지 비전이성 결장암 환자로 근치적 수술을 시행받고 혈중 요산수치가 측정되었던 환자 2,18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각 환자의 임상병리 정보와 생존 자료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성별에 따른 혈중 요산 수치에 대라 오분위 수를 기준으로 환자를 분류하였고 로그순위 검정과 Cox 회귀 분석을 통해 혈중 요산 수치와 전체 생존율과의 연관성을 분석 하였다.

결과: 남성 (n=1,328)과 여성 (n=855)의 혈중 요산 수치의 중앙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남성 (n=1,328): 5.320 ± 1.363mg/dL, 여성 (n=855): 4.065 ± 1.180mg/dL, p<0.001]. 각 혈중 요산 수치의 오분위수에 따라 남성과 여성에서 각각 전체 생존율을 분석하였을 때, 여성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남성의 경우 가장 낮은 오분위수 그룹 (≤4.2 mg/dL)에서 5년 전체 생존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5년 전체 생존률: ≤4.2mg/dL = 78.9% vs 4.2-4.9mg/dL = 84.5% vs 4.9-5.6mg/dL = 86.5% vs 5.6-6.4mg/dL = 88.7% vs >6.4mg/dL = 86.3%, P값 = 0.006). 남성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서 혈중 요산 수치는 독립적으로 유의한 예후인자였다 (≤4.2mg/dl vs 5.6-6.4mg/dl: 위험비 = 1.828, 95% 신뢰구간 = 1.262-2.648, P값= 0.010).

결론: 결장암에서 혈중 요산은 항산화제로써 예후에 도움을 주는 역할은 보이지 않으며, 남성 환자의 경우 낮은 요산 수치가 예후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Objective: Uric acid may be a marker of oxidative stress, and can act as an antioxidant or a prooxidant. The role of serum uric acid (SUA) in the prognostic impact on cancer is controversial.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whether the preoperative SUA level is associated with long-term outcomes in patients with colon cancer.
Methods: Between 2002 and 2010, 2,183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surgical resection for non-metastatic colon cancer and had available SUA value, were includ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overall survival (OS) and SUA level as quintile range was analyzed according to sex, using log-rank test and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Results: Mean SUA level was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male (n=1,328): 5.320 ± 1.363mg/dL, female (n=855): 4.065 ± 1.180mg/dL, p<0.001]. In female patie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OS according to SUA level. In male patients, SUA levels in the lowest quintile group (≤ 4.2mg/dL) was associated with poor OS (≤4.2mg/dL = 78.9% vs 4.2-4.9mg/dL = 84.5% vs 4.9-5.6mg/dL = 86.5% vs 5.6-6.4mg/dL = 88.7% vs >6.4mg/dL = 86.3%, p=0.006). In multivariate analysis in male, SUA level was an independent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 4.2mg/dl vs 5.6-6.4mg/dl: HR = 1.828, 95% CI: 1.262-2.648, p= 0.010).
Conclusion: Our results do not support the beneficial effect of SUA on survival in colon cancer in overall, but lower SUA concentrations might be associated with poorer OS in male colon cancer patients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46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