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반도 중서부지역 즐문토기문화의 확산과 이동성의 변화 : Mobility and the Chulmun Expansion in the Central-west Region of Korea: investigating settlement-site occupation
취락 점유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매튜콘테

Advisor
이준정
Major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고고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고고학전공), 2019. 2. 이준정.
Abstract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expansion of Chulmun settlement sites in the Central West region of Korea between ca. 3500 and 3000 BCE was accompanied by changes in mobility and/or sedentism. However,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s regarding the mobility or sedentariness of Chulmun groups have been contradictory. It is argued that these contrasting interpretations arise from the misconceptualization of mobility and sedentism as dichotomous phenomena. Furthermore, interpretations that purport an increase in Chulmun mobility largely rely on unfounded assumptions regarding the prevalence of millet farming and its effects on mobility rather than archaeological evidence.

It is argued that reconstructing and comparing regional patterns of mobility must take into account potential differences in site function as well as the occupational length and frequency of sites. In the context of mobile hunter-gatherer societies, two temporal scales of occupation—total occupation length and annual occupation length—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inter-annual and intra-annual scales of mobility. In order to reconstruct mobility patterns preceding and following the Chulmun expansion, this study compares quantities of lithic tools, diversity of lithic tool types, and the ubiquity of non-transportable lithic tools in order to reveal potential differences in site function among dwelling sites in the region. Measures of investment in dwelling architecture and the frequency of remodeling and reoccupation of dwellings were used to compare the relative total occupation length and annual occupation length of dwellings in the Central-west region before and after the Chulmun expansion.

Results of these analyses suggest diversification of site function and changes in the occupational length and frequency of settlement sites following the Chulmun expansion. Preceding the expansion, settlements were used exclusively as large-scale coastal residential bases and were occupied more-or-less continuously over relatively long periods of time. Following the Chulmun expansion, large-scale coastal sites continued to be used as residential bases, but were likely occupied for only part of the year and revisited repetitive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Meanwhile, a large proportion of small-scale sites were likely used not as residential bases but as logistical or seasonal camps that were occupied relatively briefly, but in some cases, occupied redundantly over multiple episodes.

It is inferred that following the Chulmun expansion, hunter-gatherer-horticultural groups began moving frequently among intermittently occupied large-scale coastal residential bases and sites of various functions located inland and along the coasts of the Central West region, likely as a means of exploiting a wider range of resources and land. Finally, an alternative model for explaining the distribution, scale, functional diversity, and occupational length and frequency of post-expansion settlement sites is proposed. The frequent movement of Chulmun hunter-gatherer-horticultural groups between large-scale residential bases and small-scale camps may suggest a transition to a fission-fusion social system, an ethnographically observed form of organization in which groups intermittently aggregate into large groups and disperse into smaller groups at different times of the year. This form of social organization may have increased the efficiency of resource extraction while also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social and ritual lives of the group.
많은 기존 연구에서 약 3500-3000 BCE 사이에 즐문토기문화 취락 유적이 한반도 중서부 전체지역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즐문토기문화 집단의 이동성 혹은 정주성이 변화하였다는 견해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동성 및 정주성 변화에 대한 고고학적 해석은 서로 모순되고 있다. 그 이유는 이동성과 정주성을 이분법적인 현상으로 여기는 데에서 야기되는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즐문토기문화 집단의 이동성이 증가하였다는 견해는 주로 조와 기장 재배로 인하여 이동성이 필수적으로 증가하였다는 전제에만 지속적으로 의존하며, 고고학적 근거에 의하여 증명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지역적인 범위에서 이동성 양상을 복원하고 비교하기 위해서는 연구 대상 유적 간 잠재적인 기능적 차이와 유적의 점유 기간과 점유 빈도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동 수렵 · 채집 사회를 다루는 맥락에서 수 년에 걸친 취락의 전체 점유 기간과 일년 내의 연중 점유 기간을 명확히 구별하기 위하여 총점유기간과 연간점유기간, 크게 두 가지 종류의 점유 기간을 분류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즐문토기문화의 확산 이전과 이후의 이동성 양상을 복원하기 위하여 석기 출토량과 기종의 다양성 및 운반하기 어려운 석기 기종의 출현율 비교를 통하여 취락 유적 간 기능적 다양성에 대한 검토도 시도하였다. 그리고 유적의 상대적 총점유기간과 연간점유기간을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주거지 축조에 투여되는 비용을 반영하는 지표와 다양한 주거지 재축조 및 재사용 지표도 검토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즐문토기문화 확산 이후에 취락 유적 기능의 다양화와 점유 기간과 빈도가 변화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즐문토기문화의 확산 이전, 취락 유적은 주로 경기도 해안 · 도서지역에 위치하는 대규모적 근거지로 이용되었다. 이들은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일년 내내 지속적으로 점유된 것으로 보인다. 중서부 내륙 지역으로의 즐문토기문화 확산 이후에는 경기도 해안 · 도서지역에 위치하는 대규모 취락 유적은 지속적으로 대규모적 근거지로 이용되었으나, 연중 지속 점유되지는 않았으며 오랜 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방치되고 재점유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다수의 소규모 취락 유적은 조달 캠프나 계절적으로 방문되는 캠프와 같은 근거지가 아닌 장소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짐작되는데, 주거지 축조에 투여한 시간과 노동력과 재사용 흔적을 감안하면 이들은 상대적으로 일시적으로 점유되었으며, 경우에 따라 여러 차례에 걸쳐 반복적으로 점유된 취락 유적도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즐문토기문화 확산 이후의 이동성 양상을 살펴보면 수렵 · 채집 및 초기 농경을 수행하던 집단들이 중서부지역 해안 · 도서지역에 위치하는 대규모 근거지와 내륙 및 해안 · 도서지역에 위치하는 다양한 기능을 지니는 유적 사이를 빈번히 이동하였음을 추론할 수 있으며, 이는 이용하는 자원과 영역의 범위를 확대한 결과로 짐작된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즐문토기문화 확산 이후 취락 유적의 지리적 분포, 규모의 차이, 기능적 다양성, 점유 기간과 빈도를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을 가설적으로 제안한다. 집단들이 근거지인 대규모 취락과 소규모 캠프 사이를 빈번히 이동하는 현상은 흔히 민족지적으로 관찰되는 소위 분산 · 집합 사회 조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집단 구성원들이 대규모 집단으로 집합하고 때때로 소규모 집단으로 분산하는 사회 조직으로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제시되는데, 이러한 사회 조직은 자원을 획득하는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인 뿐만 아니라, 수렵 · 채집 및 초기 농경을 수행하던 집단 구성원의 사회 · 의례적 생활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이라고 짐작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50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