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麗末鮮初 私兵革罷와 公家之兵의 구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일태

Advisor
문중양
Major
인문대학 국사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사학과, 2019. 2. 문중양.
Abstract
麗末鮮初는 대외적 위협을 극복하고 왕조가 교체되며 兵制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특히 兵을 지휘하고 통제하는 兵權의 所在와 행사방식은 가장 큰 화두였다.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 兵制改革과 私兵革罷가 이루어졌다.
그간 麗末鮮初 兵權의 所在와 행사방식에 대한 연구 성과는 이미 많이 축적되었으나 兵權과 관련한 핵심 기구와 직책 자체에 집중하여 기구와 직책의 변화를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긴밀하게 연관지어 설명하는 것이 미흡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는 集權化가 이루어진 원인을 권력투쟁으로만 보았다. 그러나 兵權을 둘러싼 권력투쟁은 어느 시기에나 있어왔다. 따라서 권력투쟁을 執權化의 유일한 動因으로 파악하는 관점은 왜 하필 이 시기에 권력투쟁의 주체가 될 수 없는 國家가 集權化의 주체로 상정되어 人君을 비롯한 그 누구도 자의적으로 군사를 부릴 수 없게 되었는지를 설명할 수 없다.
본고는 麗末鮮初에 당대인들이 추진한 私田革罷와 田制改革의 경우古文이라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 새로운 시대 정신을 바탕으로 고려의 祖宗立法과 중국 古制의 취지를 새롭게 인식하고 이를 당대 현실의 문제와 끊임없이 연계하여 가능했다는 최근의 연구에 주목한다. 이는 같은 시기에 추진되었던 兵制改革과 私兵革罷도 다르지 않았다. 실제로 麗末鮮初 兵制改革論者들이 새로운 시대 정신에 따라 당시 兵制의 문제를 유교 經典과 중국 史書의 典範의 취지와 비교하면서 兵은 人君 개인이 아니라 宗廟‧社稷과 臣民이 의탁하는 人君의 位, 즉 公家를 지키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고 인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인식은 麗末鮮初 元帥‧節制使에 의해 兵權이 분산되어 문제가 발생하는 현실과 끊임없이 작용하면서 보다 명확해졌고,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혁안도 점차 구체화되었다.
조준‧정도전 등 麗末鮮初 兵制改革과 私兵革罷을 추진했던 자들이 중국 古代와 고려 祖宗의 兵制의 취지에 기반한 兵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개혁을 실시하였으나, 그들이 처한 정치적 상황에 따라 이상적인 兵의 모습에 어긋나는 元帥‧節制使와 그 휘하의 군사를 문제시하고 통제하려는 과정에서 그 논리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을 겪으며 결국에는 私兵革罷를 통해 人君을 비롯한 그 누구도 자의적으로 군사를 부릴 수 없으며 국가의 모든 구성원에게 이익이 되는 公家之兵이 구현되어 갈 수 있게 되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intents of Confucian scriptures and Chinese ancient system by examining the arguments of the people who reformed the military system(兵制) and dismissed Private Army(私兵) in late Goryo and early Joseon. And this also analyze how the reformers cognize the problems of the military system(兵制), and especially how they solved the problems of military power(兵權)s whereabouts and methods of function according to the intents.
After the Withdrawal from Wihwado, Jo Jun(趙浚)‧Jeong Dojeon(鄭道傳) and others reinterpreted that the early Goryos military system modeled on the Chinese ancient system with reflecting the sprit of the times. And they also made sure of the ideal Army(兵) who protectsKingship(人君之位).
Jo Jun(趙浚)‧Jeong Dojeon(鄭道傳) and others shared the cognition of Kingshipand executed the reformation of military system. However, the logics, behind the agruments about Wonsu(元帥)‧Jeoljesa(節制使) and their soldiers who were away from Kingship, were changing under the political circumstances. Finally, the reformers dismissed Private Army(私兵) and were realizing National Army(公家之兵) that could not be controlled as anyone and also King(人君) like and would be beneficial to all of the people of the dynast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50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