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예술 애호가의 불가능한 미식: 『사촌 퐁스 Le Cousin Pons』 연구 : La gastronomie impossible de l'amateur d'art: Une étude sur « Le Cousin Pons » de Balzac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엄수아

Advisor
정예영
Major
인문대학 불어불문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불어불문학과, 2019. 2. 정예영.
Abstract
Cette étude a pour objectif déclaircir le sens littéraire de la « gastronomie » dans le Cousin Pons de Balzac et denvisager différents rapports entre le personnage que nous définirons comme gastronome et la société qui lentoure.

Sylvain Pons, le héros du roman, prend deux activités habituelles pour ses principes de vie. Lune est la collection dœuvres dart, lautre la gastronomie. Les éléments tels que le désir, la passion ou même la manie dun personnage jouent un rôle important dans la création balzacienne. Ainsi sont décrites dans le Cousin Pons ces deux indomptables passions, qui se croisent et parviennent à sceller le sort du collectionneur-gastronome.

Nous nous intéressons notamment à laspect du gastronome, afin dapprofondir la compréhension du personnage dont les caractéristiques en tant que collectionneur ont été davantage soulignées. Or cette approche ne rejette pas les études précédentes sur le collectionnisme, elle sera plutôt complémentaire. Le mot-clé qui lie le sujet de la collection et celui de la gastronomie est « goût » dans le double sens du terme: le sens gustatif et le sens esthétique.
Pons, un homme de goût, goût aiguisé et rigide, ne réussit à sinstaller nulle part dans la société en tant quamateur dart. Par conséquent, notre problématique consiste également à critiquer le monde bourgeois du dix-neuvième siècle opposant ce statut marginal.

Dans la première partie de létude nous observons la table bourgeoise qui reflète la haute société et qui séduit notre personnage par son luxe, son image de succulence. Ici, le droit de manger et de parler librement nest attribué quà ceux qui sont fidèles aux intérêts de lamphitryon, soit à la morale bourgeoise. Lexistence dun artiste pauvre et démodé, qui a dissipé toute sa fortune dans la collection et qui ne se préoccupe guère de s'enrichir, pose alors problème.
Quant à Pons, il doit renoncer au droit de parler pour acquérir le droit de manger. À la table du bourgeois, sa bouche se trouve divisée, la bouche qui mâche et celle qui parle se concurrencent. Cest lorsquil cherche à défendre la vraie valeur de sa collection contre lignorance des bourgeois que Pons risque son « droit de fourchette ». C'est là aussi que la maîtresse autoritaire garde le silence un instant. Cette scène nous montre comment le héros appelé « estomac » depuis longtemps devient lamateur distingué à travers ses connaissances et son amour de lart.

La deuxième partie de létude est consacrée à lanalyse de la table de la classe populaire, en d'autres termes, la basse société. Malgré lui, Pons doit rentrer à sa propre maison dans un quartier vulgaire. Ce qui laisse un profond désaccord entre lidéal et le réel. La portière Cibot, un des personnages principaux, règne dans ce territoire comme femme de ménage, cuisinière, enfin la prétendue mère de Pons. Non seulement il est encore privé de droit de parole, mais le bavardage lui-même de la cuisinière menace le malade jusquà la mort. De plus, la table de Cibot est loin dengendrer sur lui des sentiments de surprise, de nouveauté, de beauté. La personnalité de lhomme de goût sy éteint.
Dans ce monde populaire, les gens imitent le modèle bourgeois spéculant sur le marché de l'art, uniquement pour faire fortune. Les quatre chefs-dœuvres de la galerie de Pons sont finalement volés. Et pourtant, lépisode du vol marque le moment où lessence du goût de lamateur Pons est révélée. Il nest pas amateur pour posséder les œuvres. Il lest pour toucher, apprécier les toiles, donc pour entrer en contact avec lobjet dart ainsi quil jouit de la saveur immédiate du mets en tant que gastronome.

Dans ce contexte il est possible de placer le personnage sur le chemin de la transition historique des concepts esthétiques de lépoque. Les nouvelles esthétiques empiriste et romantique mettent laccent plus que jamais sur lexpérience intérieure et subjective vis-à-vis de la perception de la beauté. Ce héros étant destiné à léchec et à la ruine, le fait que le désir de bien manger a hâté la tragédie nous éveille des soupçons à l'égard de la signification de la gastronomie même. En revanche, ne pourrons-nous pas revaloriser cette dernière? Voici le point de départ de la troisième partie de notre étude.
Le thème de la gastronomie implique déjà une vue rétrospective, la nostalgie envers le passé perdu de même que la collection de Pons poursuit le débris des siècles précédents. Cependant, en comparaison avec le discours principal sur le même sujet de lépoque, celui de Brillat-Savarin en particulier, nous finissons par découvrir un nouveau type de gastronome créé par le roman balzacien. Tout dabord, ce personnage est un gastronome solitaire. Ensuite, il embrasse toujours la foi en lart, en cet idéal absolu et éternel, qui dépasse le temps limité des humains.
Bref, la gastronomie de Pons est la gastronomie de lamateur dart. Contrairement à lautre collectionneur, Élie Magus, Pons doit sortir de sa galerie secrète afin de satisfaire son appétit. Par son essence sociale, la gastronomie linvite à rester dans la société, en protégeant les valeurs de lart.

Les tables dans le Cousin Pons sont le reflet des sociétés particulières. Lhistoire de la gastronomie impossible de lamateur dart est donc lue comme le constat que dans la société actuelle il ny aura plus despace pour les êtres qui savent, savourent et apprécient. Quoique ce soit un but inaccesible au niveau du récit, cette vision de « homme/femme de goût » demeure une question littéraire importante. Dans le monde où la logique dargent et dintérêts domine et nous influence en effet, il est pourtant possible de rechercher la beauté, pureté, et valeurs hors-intérêts. Mais cette manière dêtre est susceptible de sébranler devant limmense réalité.
Le dilemme auquel Pons fait face nous dépeint le dilemme de la littérature ainsi que de lart dans la société capitaliste. Céder ou résister? Battre ou se réconcilier? Vivre ou mourir? La question semble valable jusquaujourdhui, mais le roman de Balzac démontre avant tout la difficulté à faire un choix.
본 논문은 발자크의 소설 『사촌 퐁스』를 미식이라는 주제로 접근하여 미식가가 가진 입맛의 의미를 문학적으로 해석하고, 미식가로 규정되는 인물이 사회와 관계 맺는 방식을 조망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사촌 퐁스』의 주인공 퐁스는 두 가지 활동을 삶의 주요 원칙으로 삼는다. 하나는 미술품 수집이고, 다른 하나는 미식이다. 창작자로서 발자크는 한 인물이 품은 강렬한 욕망, 열정, 때로는 기벽을 서사를 이끌어나가는 힘으로 제시하고는 한다. 그리하여 이 소설 또한 한 인물을 통제 불가능한 수준까지 사로잡은 수집의 열정과 미식의 열정을 묘사하며, 양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빚어 낸 운명을 보여준다. 그중에서도 우리는 미식가로서 퐁스에 초점을 맞추어 주로 수집가로서의 측면이 부각되어 온 인물형을 보다 다각적으로 살피려 했다. 이러한 발상의 결과로 우리는 수집가 퐁스에 관한 기존의 해석들을 뒤집기보다는 그와 상보적인 관계 속에서 수집가-미식가의 문제를 논할 수 있게 되었다. 둘 사이를 연결해주는 핵심 키워드는 입맛/취향 두 가지 뜻을 지닌 goût이다. 퐁스는 세심히 벼려지고 타협 불가능한 입맛을 간직한 인물이기에 어떤 사회에도 안착할 수 없었으나 그런 특수한 상황이 사회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1장에서는 주인공이 소속되길 원하며 자신의 취미활동의 근거지로 삼던 부르주아 상류사회, 다시 말해 사교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곳에서는 집주인의 이해관계에 부합하는 자, 부르주아 도덕을 거스르지 않는 자만이 자유로이 먹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집에 모든 재산을 쏟아 붓고, 유행에 뒤처져 자본주의적 생산성이 철저히 결여된 가난한 예술가의 존재방식이 문제가 된다. 퐁스는 먹기 위하여 말할 권리를 포기해야만 했다. 부르주아의 식탁에서 퐁스의 입은 분열된 입이며, 먹는 입과 말하는 입이 서로 경쟁한다. 그런 퐁스가 식도락의 열정을 내걸고 발화하려 하는 순간은 다름 아닌 자신의 수집품의 가치를 역설하는 때였다. 이는 줄곧 퐁스를 장악하고 좌우하던 부르주아들이 드물게 말을 잃는 장면이기도 하다. 이로써 소외되어 하나의 위장으로 여겨지던 주인공이 예술에 대한 지식과 애정에 그 자신의 고유한 힘, 개성을 간직하였음이 드러난다.
2장의 논의는 상류사회와 일견 대비되는 이른바 하층사회, 서민들의 세계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퐁스는 사교계를 자신의 근거지로 삼길 원하나 그 자신의 집은 단조롭고 삭막한 공간에 자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향과 실제 사이에 간극이 있다. 퐁스의 가계를 책임지는 시보 부인은 그의 요리사, 살림꾼이자 어머니의 역할을 겸하며 실질적인 지배력을 행사한다. 이곳에서도 퐁스는 말할 권리를 충분히 누리지 못할 뿐더러 요리사의 다변 자체가 쇠약해진 그를 위협하고 압박한다. 더욱이 입맛/취향을 간직하는 것이 퐁스의 존재방식이라는 1장의 논의를 이어 받을 때, 새로움과 정교함, 아름다움 따위와는 거리가 먼 시보의 식탁은 주인공이 그러한 개성을 지닌 주체로서도 존립할 수 없는 공간이 된다. 그러나 부르주아의 방식을 좇아 예술을 상품화하고 부의 획득과 출세의 수단으로 삼으려 하는 하층민들 사이에서, 걸작의 도난은 도리어 퐁스 식 향유의 정수가 소유를 넘어 음미 그 자체라는 점이 밝혀지는 사건이기도 하였다.
퐁스는 음식을 씹어 넘기듯 작품을 손수 매만지고 만나고 음미하는 인간이다. 그러므로 수집가이자 미식가로서 그는 미적 체험이 점차 개인적‧주관적인 영역으로 귀속되는 예술사적 흐름 안에 있다. 그런 그에게 주어진 결말은 실패와 파멸에 가까웠다. 그를 소외와 죽음으로 내몬 것은 미식 욕망이었기에 이러한 결말은 비극의 원인을 식탐으로 환원하게끔 유도할 수 있다. 그것이 전적으로 잘못된 해석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우리는 3장에서 미식에 대한 다른 평가를 시도한다. 무엇보다도 미식 테마 자체에 과거 지향적이고 회고적인 시간성이 내재되어 있기에 『사촌 퐁스』의 미식 또한 수집과 마찬가지로 잃어버린 과거에 대한 향수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브리야-사바랭과 같은 당대의 대표적인 미식 옹호자의 논리와 비교해 보며 우리가 도달하는 결론은, 발자크 소설이 궁극적으로 주류 엘리트의 이상화된 미식가와는 다른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첫째, 그 미식가는 고독한 존재이며 둘째, 그에게는 예술이라는 절대적이고 초역사적인 이상이 남아 있다. 나아가 퐁스의 미식, 다시 말해 예술 애호가의 미식은 향유하는 법을 아는 인간을 전시실 바깥으로 끊임없이 드나들게 하는 원동력이다. 19세기 사회에서 미식이란 본질적으로 사교행위이기 때문이다. 이는 상품가치와는 무관한, 예술품 본연의 가치를 알고 있는 애호가가 그러한 지식을 기반으로 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사촌 퐁스』의 식탁들은 특정 사회를 형상화한다. 따라서 예술 애호가의 불가능한 미식에 대한 이야기는 결국 음미하는 인간을 위한 자리는 어디에도 없다는 비판의식을 담아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입맛/취향을 간직한 인간에 대한 비전은 여전히 문학이 탐구해야 할 중요한 주제로 남아 있다. 왜냐하면 세상이 돈, 이해관계, 효율성의 법칙을 따를 것을 요구한다 할지라도 우리는 여전히 그와 무관한 가치들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러는 동안에도 우리는 사회 안에 있고 그 입김을 받는다. 발자크의 소설은 이처럼 현실을 맞닥뜨린 애호가의 여러 선택의 순간들을 겹겹이 쌓아 가며, 어떤 단일한 정답보다도 선택의 어려움을 잘 보여 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53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