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Politics and Aesthetics of Primitivism in Nella Larsen's Quicksand : 넬라 라슨의 『퀵샌드』에 나타난 원시주의의 정치성과 미학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류예슬

Advisor
안지현
Major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2019. 2. 안지현.
Abstract
During the Harlem Renaissance, employing primitivist tropes in writing carried with it many implications. The danger of essentializing, fetishizing and objectifying black culture and peoples was always inherent in the practice of primitivism, leading race leaders and black intellectuals to reproach such practice. Traditionally, Nella Larsen has been categorized as the more genteel group of writers who refrained from highlighting racial differences in her writing. Closely analyzing the primitivism used in Quicksand, however, this thesis argues that Larsen actively appropriated and revised primitivism so that it imagines new discursive possibilities at the interlockings of race and gender. More than aware of the repercussions and the ideologies of the primitivist discourse, Larsen uses primitivist tropes and aesthetics to engage in a queer politics of anti-normalization. While distancing herself from exotic primitivism that fetishizes and objectifies womens bodies and struggling to untangle ideologies that were long intertwined in the primitivist discourse, Larsen also attempts to acknowledge and rescue certain elements of primitivism that she found were meaningful - those which effectively capture and articulate unconscious female desire and those which pertain to African-American jazz.
Chapter 1 gives a detailed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to the discourse of primitivism. A historiography on the eras discourse gives a firm ground to my claim that Larsen was acutely aware of the repercussions and ideological implications of primitivism, and was actively engaged in its discourse.
Chapter 2 argues that Larsen appropriates and modifies white modernist primitivism to articulate female queer desire. By comparing a scene from Nigger Heaven with that of Quicksand, I conclude that Larsens primitivism does not confine black women to existing notions of race and gender
rather, it writes against such confinement.
In Chapter 3, I study the novels form in relation to the jazz aesthetics of repetition, syncopation, improvisation, the cut, and restraint. Using jazz, its essentially queer and black spirit, its simultaneous drive towards freedom and control, Larsen promotes a primitive aesthetic, where she writes against normative assumptions of race, art, temporality and identity.
본고는 넬라 라슨의 『퀵샌드』에 드러난 원시주의를 역사적 맥락과 미학적 차원에서 다각적으로 분석한다. 1920 년대 할렘 르네상스의 맥락에서 흑인 여성 작가의 원시주의 표현 양식 차용은 매우 큰 함의를 갖는다. 동시대의 다수 백인 모더니스트들은 야만성, 순수함, 이국성, 타락성 등 문명 이전의 원시 시대를 연상케 하는 일련의 가치들을 흑인 민족과 문화 특유의 본질주의적 특성으로 환원시켰다. 라슨은 흑인 여성의 몸을 대상화, 신비화하는 백인 모더니스트들의 원시주의에는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흑인 여성을 주체적으로 재현하는 데에 있어 유용한 원시주의의 요소들은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본고는 라슨의 원시주의가 정상성의 개념에 도전하는 퀴어 정치성을 구현함으로써 인종과 젠더의 교차점에서 흑인 여성 주체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다고 주장한다. 소설 속에서 원시주의는 여성의 동성애적 욕망을 포착하고 언어화하기 위한 서사적 수단이자, 재즈의 기법을 소설 형식에 반영하기 위한 하나의 미학적 도구이다.
본론 1 장은 20 세기 초반의 원시주의 담론을 역사화한다. 할렘 르네상스 시기의 원시주의 담론의 주요 쟁점과, 해당 담론이 흑인 여성의 정체성과 섹슈얼리티, 욕망의 문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자세히 살피는 작업이 주를 이룬다. 당대 원시주의를 둘러싼 이념과 그 사이에서 전개된 갈등 양상을 살펴보는 이 장은, 라슨이 원시주의 담론에 얽힌 여러 이데올로기적 모순과 한계를 예리하게 포착하고 있으며 동시에 『퀵샌드』를 통해 그 담론에 적극 개입하고 있음을 밝힌다.
본론 2장은 원시주의와 빈번히 결부되어 온 민스트럴쇼, 재즈, 흑인 교회 성가 등의 예술 형식들이 소설 속에서 활용되는 방식을 살펴본다. 라슨은 그녀의 가까운 동료이자 백인 모더니스트 원시주의의 대표 작가였던 칼 벤 벡튼의 소설의 한 장면을 재해석함으로써, 흑인 여성을 억압하고 단편적으로 규정하는 원시주의가 아닌 그들의 동성애적 욕망을 재현하고 가시화하는 원시주의를 구사한다.
본론 3 장은 라슨이 재즈 형식을 소설 장르에 어떻게 전용하는지 탐구한다. 반복, 당김음, 즉흥 연주와 같은 재즈 기법의 차용은 독자들의 규범적 기대와 대립하며 읽기 과정에서의 긴장감을 조성한다. 또한 절제 기법을 통해 라슨은 재즈가 원시적 음악이라는 편견을 허물고 의미를 교란시키는 퀴어 미학을 구현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54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