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탁금지법이 부패경험에 미친 효과 : Effect of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on corruption experience
부패경험과 부패인식의 관계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경동

Advisor
고길곤
Major
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2019. 2. 고길곤.
Abstract
It has been over a year since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hereinafter referred to as Act) came into effect in Korea in 2016. The purpose of this Act is to ensure that public officials and relevant persons fulfill their duties uprightly and to secure public confidence in public institutions by forbidding improper solicitations to public officials and relevant persons and by prohibiting them from accepting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Act reduces corruption by preventing any improper solicitation and whether the Act has achieved its intended impact. Many empirical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mainly in the context of the economic impacts of the Act. Since the purpose of the Act is to eradicate corrupt practic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Act. However, literatures focusing on the effect of reducing improper solicitation along with corruption experiences are scarce.
This research analyzes the perception factors influencing corruption experience and the effect of the Act on corruption experience by using 「the Survey on the Status of Corruption in the Public Area」 of the KIPA. The analysis method is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ecause the corruption experienc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is a binary variable. The explanatory variables of the model are corruption perception variable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divided into the economic, cultural, and institutional dimension. The effect of the Act on corruption experience is measured by corruption perception variables with the Act variable treated as a dummy variab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year, there is no variable which has time-series stability from 2011 to 2017. The expected benefit variable has significancy statistically, and the direction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is consistent until 2015, bu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has been lost since 2016. From 2016, punishment level variable, corruption practices variable, regulatory level variable, and income level variabl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combined model of 2016 and 2017 data, the Act dummy variable, punishment level variable, and the income level variabl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Odds Ratio of the Act dummy variable and the punishment level variable are 0.57 and 0.6, respectively. These means that odds are decreased by 43% compared to the previous Odds after the Act implementation and if the punishment level is increased by one unit, the Odds decreases by 44% compared to the previous Odds. On the other hand, the income level variable's Odds Ratio is 1.34. That means if the income level is increased by one unit, it can be seen that the Odds increases by 34% compared to the previous Odds.
According to the relative influence through the Odds Ratio of the variable, the punishment level variabl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rruption experience as compared with other variables. However, the analysis of marginal effects assuming that the other variables are average means that the probability of corruption experience is very tiny. Especially after enforcement of the Act, the marginal effect of the level of punishment level is almost zero. It implies that the policy approach to reduce the experience of corruption by raising corruption costs may be not releva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extends previous studies by explaining the explanatory factors of corruption experience chronologically and determin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variable. Second, this research derives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from distinguishing statistical significance from the size of the effect based on the marginal effects of the variables. However,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that the corruption experience variable can be underestimated and the influence of the Act can not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time-series trend. In subsequent research,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exact size of the effects of the Act by separating the time-series effects of corruption experiences.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하 청탁금지법)이 시행된 지 1년이 지났다. 청탁금지법은 대가성을 불문한 제재를 통해서 부정청탁 관행을 근절하고 공직자등의 공정한 직무수행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탁금지법이 부정청탁 관행을 근절하여 부패행위를 감소시켰는지, 과연 청탁금지법의 의도한 효과를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청탁금지법의 효과에 관해서는 주로 경제적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청탁금지법의 목적이 부정청탁 관행을 근절하는 것이기 때문에, 청탁금지법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법 시행 전후를 비교하여 부패행위가 줄어들었는지를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음에도 이에 관한 실증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한국행정연구원의「정부부문 부패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부패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부패경험에 대한 청탁금지법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인 부패경험이 이항변수이기 때문에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설명변수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경제적 차원, 문화적 차원, 제도적 차원의 부패인식변수들로 구성하였고, 청탁금지법 더미변수를 포함하여 청탁금지법이 부패인식과 함께 부패경험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도별 분석결과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시계열적으로 안정성을 보인 변수는 없었다. 기대이익 변수의 경우 2015년까지 회귀계수의 방향이 일관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2016년과 2017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이후로는 처벌수준, 관행, 규제수준, 소득수준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모습을 보였다.
2016년과 2017년 자료를 통합하여 종합모형 구성한 뒤 분석한 결과 청탁금지법 변수, 처벌수준변수, 소득수준변수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탁금지법 변수와 처벌수준 변수의 오즈비는 각각 0.57, 0.6으로,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의 오즈가 이전의 오즈에 비해 4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처벌수준의 경우 처벌수준이 한 단위 증가하면 이전의 오즈에 비해 4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득수준의 경우 오즈비가 1.34로, 소득수준이 한 단위 증가하면 이전의 오즈에 비해 34%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처벌수준 변수의 오즈비를 통해 상대적 영향력을 판단한 결과 처벌수준 변수가 다른 변수들에 비해서 부패경험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다른 변수들이 평균적이라고 가정하고 한계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패경험확률의 변화는 매우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로는 처벌수준 변수의 한계효과가 거의 0에 가까워졌다. 이는 향후 부패비용을 높여 부패경험을 줄이고자 하는 정책적 접근은 그 효과가 미미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부패경험의 설명요인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우선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변수들의 상대적 중요성 판단을 선행연구로부터 이어가고 있다는 점, 통계적 유의미성의 판단을 효과의 크기와 구분함으로써 변수의 한계효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 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부패경험이 과소측정될 수 있다는 점, 청탁금지법의 영향력을 시계열적 추세와 완전히 분리하여 분석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부패경험의 시계열적 영향을 분리하여 청탁금지법의 정확한 효과크기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6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