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부평 토지구획정리지구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 A Morphological Study on Changing Process of Bupyeong Land Readjustment Project A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범택

Advisor
조경진
Major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19. 2. 조경진.
Abstrac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overeignty of the nation was taken away by Japan, but also modern urban planning was initiated on the urban space and law.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planning that the traces of the plan are physically left in the urban space, it exists as a basic urban system untill now. Especially, Bupyeong land readjustment district that located at Bupyeong-station of Incheon line 1 designed in 1940s and distinctly show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like rotary or radial shape streets. After that, in process of urban expansion, this site took a role as center of Bupyeong-gu. Presents, the site became central commercial district with rotary as the center that include traditional market, amusement spot, main street, underground shopping area, etc. So this study proceed the research to clarify how the morphological basis of Bupyeong land readjustment district was adapted during the mordernization. the contents and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gure out the background and intetion of Bupyeong land readjustment district that design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literature data research. Gyeongin(seoul-incheon) city plan was national policy for war performance that secure the industrial satellite city site. The major districts in the plan included the industrial district and guess the postion for transportation of supplies had an effect like Gyeogin-railroad, Gyeongin-canal and port. Bupyeong land readjustment district was the only one that the construction started, and planned to dwelling district behind manufacture district. In case of Bupyeong district, it judged that selected one of Gyeogin city plan district becaused of Gyeongin-railroad and factories were existed before the plan, Especially, Bupyeong district was the only case that had land readjustment district, because of the plan want that the center of district to be developed by improvement of diverse land use. also an urban district was developed in undeveloped land, typic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was transplanted like rotary and radial street system.
Second, I grasped the phase change of the Bupyeong land readjustment district after independence. Bupyeong land readjustment district that starte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but makes little progress in construction was succeed to government after independence, and operated as central position of Bupyeong urban exoansion projects. it is considered that the government of 1960s who needs industrial districts for economic development plan has a stake in the urban plan of Bupyeong district before. And the Bupyeong Export Industrial Corporation and Gyeongin-Expressway was built around the same time. From this period, Bupyeong land readjustment district was operated as commercial center of Bupyeong-gu, but now in the period of diversification of incheon, it faced declinde phase and became to district that has various commercial space like traditional maket or main street,
Third, figure out the adaptation process to modernization of the Bupyeong land readjustment district, which was planned to be a residential area to changed into a commercial area, focused in changing process of plot and building by select 4 area. In case of plots, the plots shape in early stage had a lasting effect. Plot shape of each area in early stage that elongated, orthopedic, indeterminate form are still exist as a shape characteristic. The factors that cause changing of plots were different at each area, but case of the changing process and type, the factor that whether area is actively being used as a commercial site was operat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mplement the lack of research on urban plann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urban history of the Incheon Bupyeong area was illuminated from a formal point of view. Also by examined the adaptation process of urban space in Bupyeong district through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changing process of urban fabric, have identified the role and coordination of infrastructure elements in the process of urban transformation.
일제강점기는 국가의 주권이 다른 나라에 빼앗기게 된 민족주의적 차원에서 큰 치욕을 겪은 시기이나, 도시적 차원에서는근대 도시계획이 최초로 도입된 시기이다. 계획의 흔적이 물리적으로 도시공간에 남게 되는 도시계획의 특성상 일제강점기 시행된 근대 도시계획은 우리나라 시가지 곳곳에 기본적인 가로체계로서 존재하고 있다. 특히 부평 토지구획정리지구는 경인철도 부평역이 위치한 곳으로, 1940년대에 도시계획이 구상되고 실행된 곳으로, 로터리와 방사형의 근대 도시계획의 특성이 뚜렷하게 보이는 지역이다. 이후 시가지의 확장과정에서 부평 토지구획정리지구는 부평지역의 중심부로 기능하였다. 현재는 로터리를 중심으로 전통시장과 유흥가, 번화가 및 지하상가가 공존하는 중심 상업지로 자리잡았다. 이에 본 연구는 일부평 토지구획정리지구의 형태적 기반이 현대화 과정에서 어떻게 적응했는지 밝히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내용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자료를 통하여 일제강점기 구상된 부평 토지구획정리지구의 계획배경과 의도를 파악했다. 경인시가지계획령은 전쟁수행을 위한 국책사업으로서 공업 위성도시 부지의 확보를 위한 도시계획이었다. 계획 내 주요 지구들은 공업지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경인철도와 항구 등 물자주송을 위한 입지선택이 주요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부평지구는 경인시가지계획령 내 유일하게 진행된 사업으로, 공업지구와 배후 주거지를 위한 계획이었다. 이 지역은 계획 이전부터 경인철도 부평역과 공장지대가 존재하여 공업지구로 선택되기 용이한 곳이었다. 특히 부평지구의 경우 계획 내 유일하게 토지구획정리지구가 존재하는 지구로, 지구내 중심지가 다양한 토지이용의 증진을 통해 개발되길 원했기 때문이다. 또한 미개발지에 시가지가 개발되며, 근대 도시계획의 대표적인 형태적 특징인 로터리를 중심으로 한 방사형의 가로체계가 이식되었다.
둘째, 해방 이후 부평 토지구획정리지구의 위상변화를 파악했다. 일제강점기 시작되었으나 공사에 큰 진척이 없던 부평 토지구획정리사업은 해방 이후 정부에도 계승되며 부평지역의 시가지 확장사업들의 중심지로 작동한다. 이는 60년대 경제개발계획을 위해 수출을 위한 공업지구가 필요했던 당시 정부와 이전 도시계획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진행된 것으로 판단되며, 부평 수출공업단지와 경인고속도로의 개발이 비슷한 시기에 진행되었다. 이 시기부터 부평 토지구획정리지구는 부평지역의 상업중심지로서 작동했으나, 현재는 인천시 도시구조의 다원화 속에서 쇠퇴기를 맞이하고 다양한 기능을 보유한 상업공간으로 분화했다.
셋째, 주거지로 계획된 부평 토지구획정리지구가 상업지로 변하며 현대화 과정에 적응하는 과정을 4개 지번을 선정해 필지와 건축물의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파악했다. 필지 형태의 경우 모든 지번이 초기 단계에서의 필지형태가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각 지번의 비정형적, 세장형, 정형의 초기 필지형태 모두 현재 지번 내 필지형태의 특징으로 남아있다. 변천을 촉발시킨 요인은 각 지번마다 다르나, 변천과정과 변천유형의 경우는 대상 번지가 상업지로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요인이 작용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일제강점기 도시계획에 대한 부족한 연구를 보완함과 인천 부평지역의 도시사를 형태적 관점서 조명함을 통해 부평 토지구획정리지구가 공업지구의 배후 주거지로 계획되었고, 해방 이후 정치·경제적인 이유와 맞물려 부평지구가 개발되는데 큰 요인으로 작동했다는 것이 파악됬다. 또한, 도시조직의 변천과정을 형태적으로 분석함을 통해 부평지구 도시공간의 적응과정을 고찰하여 도시변천과정에 있어 기반요소의 역할과 조정과정을 확인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71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