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주거지 재생에 있어 공동체 문화형성 과정과 주민참여수준의 특성분석 : A Study on the Community's Cultural Formation Process and the Qualities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Residential Regener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화영

Advisor
조경진
Major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19. 2. 조경진.
Abstract
Broad, exclusive areas for individual families, and whether housing developments have parking lots and are close to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s and expressways, are what define comfortable residential areas in modern Korean cities. Past Korean generations spoke of the size of residential areas and neighborhoods as being distances that can be traveled before one bowl of soup gets cold. In other words, they believed it was a virtue to know ones neighbors and for people to help one another out. The factors currently used to evaluate Korean cities center on whether local issues are resolved locally, whether there are a wide range of local events, whether a wide range of ages live in the area, whether communication occurs between people, and whether people in the area settle down for the long term.
The reality today is that the focus on merely creating a comfortable residential area has led to a gradual increase in levels of anxiety in modern residential areas because people do not know who lives next door to them, given the anonymity that cities provide. Many local organizations and the current government have started to think seriously about residential area regeneration to resolve these issues. They have focused on providing residents with community-based lives in which residents of various classes and ages participate, along with creating systems where residents can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urban planning process from the planning stages.
For a long period of time, however, Korean cities have suffered from real estate speculation, and the focus has been less on community-based living than on increasing personal assets. Despite dreams of the ideal for a community-based lifestyle, it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to ascertain whether it is in line with the level of resident participation needed for achieving residential regeneration.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aimed to draw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culture of community in residential areas and the level of resident participation, and with this as a basis, the study conducted an on-site analysis of residential area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he areas selected by the city of Seoul in 2017 for second-stage urban regeneration. These areas were selected as targets for urban regeneration after having formed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preliminary preparation stage of the urban regeneration area in 2016. These areas allow for an analysis of the entire urban regeneration process, from the first stage of being selected as an urban regeneration area, to forming a local community, and, finally, to the creation of resident consultation bodies. These areas also allow an observation of where changes in resident participation levels occurred. With a focus on the process of forming communal culture in residential areas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is study analyzed six normal neighborhood regeneration areas: Gangbuk-gu Suyu 1-dong, Gwangak-gu Nangok / Nanhyang-dong, Dobong-gu Chang 3-dong, Seodaemun-gu Cheonyeon / Chunghyeon-dong, Eunpyeong-gu Bulgwang 2-dong, and Jungrang-gu Muk 2-dong.
This studys methodology rested on analyzing sources related to residential area regeneration, including the basic plan for urban regeneration, the resident public offering project plan and its results, and on-site surveys and data relating to the status of resident consultation bodies. In tandem with this, the study also conducted on-site observational investigation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resident groups and their coordinators, as well as with public servants in charge of on-site support centers, to ensure that the in-depth interviews were objective and grounded in expertise. With this as a basis, the study drew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cess of forming a culture of community and the levels of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en divided them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o approach and analyze the areas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formation process can be divided into four broad types or factors.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and on-site support centers, and categorized those areas where residents took leadership over the intervention of on-site support centers as resident-led areas, while those areas with a high degree of intervention of on-site support centers were categorized as on-site support center-led areas. Apart from this, this study further separated those areas into areas where confrontational relationships—or cooperative ones—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study conducted an additional analysis, by factor, of how the communities that were formed in this way actually divided the level of resident participation.
The first factor involved the formation of communities and sustained participation. This studys analysis found that, broadly speaking, due to early community participation, the interest in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a neighborhood was higher than interest toward community meetings in the areas observed. The reasons for continued participation were largely because of expectations that the areas would change, and because of the solidarity and friendships that were created through the meetings.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preventing continued participation were mainly feelings of burden, and difficulties in making the resident groups larger. The areas that showed the greatest interest in improving their own neighborhoods environment were Cheongyeon and Chungyeon, while Suyu 1-dong and Chang 3-dong showed a high degree of interest toward community groups.
The second factor concerned the forming of local solidarity and community growth. This study confirmed the numbers of people sharing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how in-depth this information was. It found that the formation of local solidarity occurred through the process of sharing information. The study accounted for detailed factors through the observation of systematically structured meetings and opportunities for openly sharing opinion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found that residents and the coordinators of on-site support centers scored relatively high in the two spheres of sharing meeting results and resident leadership.
The third factor concerned the improvement of resident participation levels. This study analyzed the chances of reconciliation after a conflict occurred, and the formation of trust through everyday relationships with residents. The results of this found that the Suyu 1-dong area received high points in all factors. While Chang 3-dong and Cheonyeon and Chunghyeon received relatively high points from residents for each factor, the points given to on-site support centers were low. This meant that residents felt differently toward on-site support centers than toward other residents.
The fourth factor involved the impact of on-site centers and administrative agencies. The main factors here were internal conflicts at on-site centers, the absence of on-site support centers, the releasing of information publicly by administrative agencies, unclear relationship dynamics, and the setting of project scopes. The highest impact factor among these was found to be unclear relationship dynamics between administrative agencies, residents, and on-site centers.
Broadly speaking,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initial process of forming communities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resident participation level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however,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at there is a need for a detailed, stage-based approach toward understanding the appropriate amount of support from on-site support centers, along with the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administrative agencies required to reach the final stages of resident participant level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current urban regeneration areas.
For a long period of time, Korean cities have developed rapidly with a focus on growth. Resident participation has been typically referred to in terms of civil complaints, sit-ins, and procedural public hearings. Belatedly, there are efforts to understand these issues and identify urban plans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and resident leadership
however, there are no detailed procedures and stage-based approach methodologies to achieve the ideal of resident participation and resident leadership. It is now time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search for a detailed and specific response plan toward a stage-based formation of communities and levels of resident particip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having conducted a stage-base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community formation process and the level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residential part of the urban regeneration areas selected during the preliminary preparation stage.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six areas rather than one, this study will become a foundational source regarding the process of change in regeneration projects in residential areas, and regarding plans to resolve difficulties in the future. However, because of the existence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this study cannot become a reference to evaluate the entirety of residential area regeneration. There is a need in the future to draw out specific factors and establish urban planning methodologies centered on resident participation and resident leadership that is applicable for all residential areas.
개별 가구당 넓은 전용면적, 주차장 여부, 용이한 대중교통망 및 고속도로와의 근접여부 등이 현대 한국 도시의 살기 편한 주거지가 될 수 있는 요소 로써 작용되고 있다. 옛 선조들은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주거지역 혹은 근린 생활권을국 한 그릇이 식기 전 도달할 수 있는 범위로 설정했었다. 즉, 내이웃이 누구인지 인지하고 서로 상부상조하는 것을 덕으로 여겼다. 지역 내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동네, 지역 내 다양한 행사가 많은 동네, 다양한 연령층이 사는 지역, 상호간 소통이 잘 되는 지역, 정주율이 높은 동네와 같이 공동 체에 대한 부분은 한국도시를 평가하고 규정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요소로도 적용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편한 주거지역만을 고수하다 보니 내 옆집에 누가 살고 있는지 알지 못한다는 불안감과 도시에서 주는 익명성으로 인해 현대 주거지 지역에서 주는 불안감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지역단체 및 현 정부에서는 주거지 재생에 대한 고민하기 시작하였다. 다양한 계층과 연령의 주민이 참여하는 공동체적인 삶을 지향함과 동시에 주민 개인이 속해 있는 지역에 일어나는 도시 계획 분야에 대해 계획 단계부터 주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오랜 기간 동안 한국의 도시는 부동산 투기라는 몸살을 겪으면서, 공동체적인 삶보다는 개인자산 증식에 혈안이 되었고, 공동체적인 삶의 이상 향을 꿈꾸면서도 파편적으로 주민모임이 조성되거나 완장효과 혹은 텃새현상 등으로 인해 현 주거지 재생에서 이루고자 하는 주민참여의 수준에 부합한지에 대한 여부판단이 어려워 지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주거지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공동체 문화형성과정과 주민참여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 현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2017년 선정된 2단계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 선정지역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본 대상지는 2016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사전준비 단계를 통해 지역 내 공동체를 형성한 뒤,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으로 주거지 지역 내 초기 공동체 형성과정에서부터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으로 선정된 이후 주민협의체까지의 전체적인 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지역임과 동시에 주민참여수준의 변화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지역으로 판단된다. 주거지 지역에서 일어나는 공동체적 문화형성과정과 주민참여수준에 초점을 두고자 근린재생 일반형 6개 지역, 강북구 수유 1동, 관악구 난곡·난향동, 도봉구 창 3동, 서대문구 천연·충현동, 은평구 불광 2동, 중랑구 묵 2동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도시재생활성화계획 기본구상(안), 주민공모사업 계획 및결과자료, 주민협의체 실태조사 및 현황자료를 기반으로 주거지 재생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고, 현장관찰조사와 설문조사 및 심층 면접조사를 병행하였 다. 특히, 심층 면접조사에 있어서는 객관성과 전문성을 가미하기 위해 주민 그룹 뿐만 아니라 해당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 및담당 공무원을 인터뷰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공동체 문화형성 과정과 주민참여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였고, 내·외적요인으로 구분하여 복합적으로 지역을 접근 및 분석하였다.
공동체 형성과정에서의 특징으로는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뉠 수 있었다.
지역 내 주민과 가장 많은 접점이 있는 현장지원센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나누어 주민의 주체성이 현장지원센터의 개입보다 더 높은 지역을 주민주도형 지역으로 구분하였고, 현장지원센터의 개입도가 높은 지역을 현장지원센터 주도형 으로 나누었다. 그 외에 상호 간의 대립적인 구도를 띄고 있는 지역과 상호 간의 협력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지역을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공동 체를 기준으로 주민참여수준이 어떻게 나뉘는지를 요인별로 추가 분석하였다.
첫 번째 요인은 공동체 형성 및 지속적인 참여요인이다. 분석결과, 전반적 으로 공동체 초기 참여 이유로 주변 환경 개선에 대한 관심이 지역 내 공동체 모임에 대한 관심보다 높았고, 지속적인 참여이유로는 지역이 변화될 것이라는 기대감과 공동체를 통한 친분유대관계 때문이라는 이유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하지만, 반대로 지속적인 참여를 저해하는 요소로는 주민모임확 대에 대한 부담감 및 어려움을 가장 큰 이유로 손꼽았다. 지역적으로 보았을 땐, 천연·충현 지역에서 주변 환경 개선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으며, 수유 1동과 창 3동 지역에서 지역 내 공동체 모임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두 번째 요인은 지역 공감대 형성 및 공동체 성장요인이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얼마나 깊이 있는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였다. 공유과정을 통해 지역 내 공감대 형성이 이루진다 보았다. 체계적인 회의구조와 의사발언의 기회 등을 세부요소로 설정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수유 1동의 경우가 회의 결과 공유 및 주민 주체성 부분 두 개의 영역에서 주민과 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 모두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책정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 번째 요인은 주민참여수준 향상 요인이다. 다양한 계층의 참여, 갈등 발생 시 회복 가능성, 평소 주민과의 관계를 통한 신뢰도 형성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유 1동 지역이 모든 요인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창3동과 천연·충현의 경우 상대적으로 요인별 주민의 책정 점수는 높았으 나, 현장지원센터의 점수는 낮게 책정되어, 현장지원센터와 주민과의 체감도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 번째 요인으로는 현장센터 및 행정기관의 영향요인이다. 현장센터 내부 갈등과 현장지원센터의 부재, 행정의 정보공개, 불명확한 역할관계, 사업의 범위설정 등을 주요요인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가장 높은 영향 요인으로 도출된 것은 행정과 주민, 현장센터 상호간의 불명확한 역할 관계였다.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지역별 특성에 따라 초기 공동체 형성과정과 이후 주민참여수준의 변화과정이 다양하게 모색되었으나, 핵심적으로는 현재 도시 재생활성화지역에서 거론되는 주민참여수준에서 최상위 단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현장지원센터의 적절한 지원과 행정기관의 책임과 역할 위임에 대한 세부적인 단계별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미 오랜 기간 한국의 도시는 성장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빠르게 발전 하였다. 그 속에서 주민참여는 단순 민원, 농성, 절차상의 공청회 정도로만 진행되어왔다. 현재 뒤늦게 해당 문제를 인식하고 주민참여와 주민주도를 통한 도시계획을 모색하고 있으나, 이상적으로 바라는 주민참여와 주민주도의 단계에 도달하기 위한 세부적인 절차와 단계별 접근방법은 부재한 상황이다. 이러한 현재 상황을 인식하고, 단계별 공동체 형성과정과 주민참여수준에 대한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대응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때이다.
본 연구는 사전준비단계를 통해 선정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중 주거지 지역을 중심으로 공동체 형성과정과 주민참여수준의 특성을 단계별로 분석하였 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특정한 한 개 지역이 아닌 여섯 개 지역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주거지 지역에서의 재생사업에 대한 변화과정과 애로 사항 그리고 향후 개선방안에 기초가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여겨진다. 하지만, 지역적 특성과 차이가 존재함으로 전반적인 주거지 재생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향후, 세밀한 요인도출과 전체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주민참여와 주민주도 중심의 도시계획 방법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7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