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자이너의 콘셉트 표현 과정에서의 인지적 사고 특성 : Cognitive Thinking Characteristics in Concept Representation Process of Design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웅

Advisor
박영목
Major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19. 2. 박영목.
Abstract
디자이너만의 독특한 사고방식을 디자인 사고라고 일컫는다. 디자이너들이 다른 전문가들과 다른 지식 체계를 가지고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 여러 학자들은 주장한다(Cross, Christiaans and Dorst, 1996/Lawson, 2005). 디자인 사고라는 추상적인 주제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디자이너가 무엇을 알고 있고, 어떻게 생각하는지 관찰해야 한다. 그러나 디자이너의 머릿속에서 내재적으로 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을 직접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본 연구는 디자이너가 머릿속에 떠올렸던 개념이 현실 공간에서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과정에서 디자이너가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표는 디자이너의 생각, 의도의 집합인 콘셉트(concept)라는 추상적인 정보가 디자인 행위를 거쳐서 상징적인 글이나 형태를 묘사하는 스케치와 같은 표현물(representation)로 재현되는 과정에서 디자이너의 사고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디자인 콘셉트가 반영되어진 표현물을 직접 관찰하고 표현물들의 관계를 파악하면 콘셉트가 표현되는 과정에서 정보들이 처리되는 특성, 패턴, 구조의 가능할 것이라는 전제를 가졌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서 조사를 진행하였다. 먼저 디자인 사고의 개념, 디자인 콘셉트 표현 방법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관찰과 분석 방법, 실험 체계를 정립하기 위해서 인지과학의 이론, 디자인 행위 관찰 기법, 프로토콜 분석법(protocol analysis), 네트워크 분석 방법(network analysis)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현재까지의 디자인 사고 선행 연구들은 경험 많은 디자이너를 인터뷰하거나, 디자인 행위 과정을 참여자 스스로 보고하게 하거나, 디자인 결과물 중심으로 요소를 분절하여 분석하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었다. 디자인 사고 연구들이 본격적으로 관심을 받기 시작한 시점이 불과 25년 정도로 상대적으로 짧고, 경험적 연구의 표준화된 절차 및 체계가 정립되어 있다고 볼 수 없다(Dinar, 2015). 이에 연구자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존의 방법들을 부분적으로 차용하고 혼합하여 디자인 콘셉트 표현물을 입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하였다.

연구에서 수행 하였던 실험은 실제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디자인 과제를 제공하고 행위 과정 및 결과를 관찰하는 통제된 실험관찰법이다. 실험은 대략 세 달에 걸쳐서 초보자 그룹과 전문가 그룹의 참여자 8명을 대상으로 참여자별로 2차례씩 16번 진행되었다. 실험 과제는 새로운 형태의 조명 디자인을 목표로 참여자들이 머릿속에 떠올린 콘셉트를 조형적으로 표현하게 유도하였다. 참여자들은 최초 떠올렸던 콘셉트를 글로 적고, 콘셉트와 어울리는 이미지를 검색하고, 스케치로 표현하였는데, 이때 표현 행위를 분리하고 시간을 통제하였다. 실험이 완료된 시점에 참여자의 표현 의도와 표현물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심층 인터뷰 형식의 사후 프로토콜(retrospective protocol)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참여자별, 차수별, 표현 형식별, 시간 순으로 자료를 개별화하고 정렬하여 코딩(coding)하였다. 비디오 녹화된 프로토콜 자료를 토대로 참여자의 표현의도와 표현물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표현물 정보의 연결 관계를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분석 패키지인 제피(Gephi. 0.9.2)를 활용하였다. 16개 사례의 코딩을 개별적인 노드로 간주하여 디자인 콘셉트 표현물의 관계를 시각화하여 네트워크 그래프를 생성하였다. 사례별 네트워크의 특성을 나타내는 연결 정도, 밀집도, 지름, 콤포넌트, 평균 거리 등의 지수를 측정하고, 링크 분석(link analysis), 클러스터링(clustering) 분석, 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표현 시퀀스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표현되었던 콘셉트의 의미 범주가 표현 시퀀스가 완료된 시점에서 표현되었던 콘셉트의 의미 범주와 비교했을 때 유의미한 수준에서 불일치되었다. 콘셉트 표현물의 생성 순서에 따라서 특정 표현물에 연결이 집중되면서 디자인 콘셉트의 의미 범주의 생성과 분화에 영향을 끼치는 현상이 자주 관찰되었다. 그러나 표현이 진행되면서 다른 정보들과 더 이상 연결을 짓지 못하는 고립되는 표현물도 자주 관찰되었다. 네트워크 그래프는 표현이 진행되면서 여러 개의 하위 콘셉트로 조합되거나 분화되면서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사례별로 네트워크의 클러스터의 개수, 구조, 밀집도에서 편차를 보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디자인 콘셉트 표현 과정의 사고 특성을 설명하는 모형을 작성하였고, 콘셉트 표현 과정의 상호작용 특성, 정보의 연결 패턴, 콘셉트의 구조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디자인 교육 및 실무에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20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