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여성 진로상담 사례개념화에서 환경요소를 강조하는 상담자의 관점에 대한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Counselors Perspectives for Environmental Factors in Career Counseling for Wome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하나

Advisor
김계현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 2019. 2. 김계현.
Abstract
상담자들은 내담자를 둘러싼 환경적 요소를 고려함으로써 내담자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특히 여성 진로상담에서 이는 매우 중요하다. 고용과 승진에 있어서의 차별, 경력단절, 다중역할 갈등,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 경제적 어려움과 같은 문제들은 내담자의 심리적 어려움만을 다루어서는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여성 진로에 관한 선행연구들과 최근 부각되고 있는 다문화상담, 사회정의상담, 여성주의상담에서는 상담자들이 내담자를 이해하고 개입하는 데에 있어 환경과 개인 간의 균형 잡힌 시각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지금까지의 여성 진로에 대한 연구들은 진로장벽과 같이 여성의 진로선택과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탐구되어 왔으며, 이에 더하여 상담 실제 측면에서 여성 내담자를 돕기 위한 전략과 실증 연구들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환경요소에 대한 상담자의 관점에 초점을 두고, 상담자가 환경요소를 고려하는 것이 사례개념화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3개의 집단을 구성하였는데, 집단 구분은 제시문과 연습문제를 통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는 환경요소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촉진하는 제시문을 제공받은 환경강조집단, 제시문에 더하여 환경요소를 상담에 적용하는 연습을 한 환경강조연습집단, 마지막으로 진로이론들을 소개한 제시문을 제공받은 주요진로이론집단을 설정하였다. 주요진로이론집단은 일종의 기저선으로서, 별도로 환경요소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담자들에게 익숙한 진로상담이론을 활용하는 경우를 비교하기 위해 포함되었다. 이후 각 집단에게 가상사례에 대한 사례개념화를 수행시키고 그 내용을 비교하였으며, 집단별로 내담자에 대한 평가와 상담자의 효능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주요 진로이론을 소개하는 제시문과 환경요소를 강조하는 제시문, 연습문제를 개발하였다. 또한 진로문제를 호소하는 기혼 직장여성에 대한 가상사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들을 활용하여 총 93명의 상담자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자들은 주요진로이론집단, 환경강조집단, 환경강조연습집단으로 각 31명씩 무선배정 되었다. 참여자들은 사전검사 이후 조건에 따라 제시문 또는 제시문과 연습문제를 제시받았고, 이후 워킹맘에 대한 가상사례를 읽고 사례개념화를 작성하였다. 사례개념화는 내담자 문제에 대한 이해와 개입방안에 대하여 각각 서술형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또한 내담자에 대한 평가와 상담자의 효능감에 대해 평가했다. 참여자들이 작성한 사례개념화는 정량적 분석과 내용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정량적 분석을 위해 환경요인이 포함된 정도와 중요도에 따라 3인의 평정자들이 평정하여 점수화한 뒤, 환경요인 점수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비교했다. 내용 분석을 위해서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방법으로 각 집단에서 나타난 의미와 주제들을 분석했다. 또한 집단별 네트워크의 유사성을 확인하기 위해 QAP(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상관분석(QAP correlation)을 실시하였고, 환경요소에 해당하는 단어들과 그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텍스트 네트워크상의 미시체계와 거시체계 단어들을 집단별로 비교하였다. 내담자에 대한 평가와 상담자의 효능감은 집단별 평균점수를 비교했다.

사례개념화를 분석한 결과, 내담자 문제의 이해 영역과 개입방안 영역 모두에서 환경강조연습집단, 환경강조집단, 주요진로이론집단 순으로 응답자들이 작성한 문장 수가 많았다. 또한 내담자 문제의 이해 영역과 개입방안 영역 모두에서 환경강조연습집단이 주요진로이론집단보다 환경요인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워킹맘 가상사례에 대한 사례개념화의 내용과 의미에 대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결과, 세 집단은 모두 육아, 직장, 업무를 중심으로 내담자의 문제를 파악하고 있었고, 개입방안에 대해서도 육아와 직장을 중심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즉 내담자의 문제와 개입에 있어 핵심이 되는 큰 주제는 세 집단 모두 비슷했다. 그러나 각각의 주제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 방식은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다. 집단별로 살펴보면, 주요진로이론집단의 경우 내담자의 문제에 있어 미안함, 스트레스 등과 같은 개인적 차원에 더 초점을 두고 있었고, 가족과 상의하거나 내담자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 등 개인의 적응이나 노력에 초점을 둔 개입방안들이 주요 의미로 나타났다. 또한 텍스트 네트워크 상에서 미시체계와 거시체계 요소에 해당하는 단어 수가 세 집단 중 가장 적었고, 미시체계 요소 단어와 거시체계 요소 단어 간의 연관성도 낮았다. 반면에 환경강조집단의 경우 세 집단 중 가장 거시적 환경의 관점에서 사례를 이해하고 있었다. 여성 역할의 내면화, 지지 부족 등을 내담자 문제로 보고 있었고, 지원 사업 서비스 이용, 가사 분담 등 주변 자원의 이용에 대한 내용이 주요하게 나타났다. 환경강조집단은 세 집단 중에서 거시체계와 관련된 단어를 가장 많이 언급하고 있었으며, 미시체계 요소 단어와 거시체계 요소 단어들을 서로 연관시켜 파악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환경강조연습집단에서는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모두 중요하게 언급되고 있었다. 죄책감과 같은 개인적, 심리적 관점에서의 문제 이해와 동시에, 여기에 기여하는 환경적 요인들을 함께 고려하고 있었으며, 개입방안에서는 관계 어려움, 워킹맘처럼 관련 주제들 위주로 개인적 노력과 환경적 변화의 가운데에서 보다 중립적인 표현들을 사용하고 있었다. 환경강조연습집단의 텍스트 네트워크는 세 집단 중 가장 많은 노드와 링크를 포함하고 있었고, 세 집단 중 미시체계 요소 단어를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었으며, 미시체계와 거시체계 요소 단어들을 서로 밀접하게 연결하여 파악하고 있었다.

아울러 내담자 평가에서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상담자의 효능감에서는 환경강조연습집단이 환경강조집단보다 가상사례 내담자의 문제를 더 잘 다룰 수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의 다른 효능감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여성진로상담에서 환경요소를 고려하는 것과 이를 연습하는 것에 따라 상담자의 환경요소에 대한 관점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탐색하였다. 주요진로이론집단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상담자들은 기본적으로 진로상담 사례개념화 시 환경요소들을 고려하여 내담자를 이해하고 있었다. 그러나 환경요소에 대한 간략한 안내나 연습이 주어졌을 경우, 주요진로이론집단에서는 포착하지 못했던 환경요소들을 더 많이 찾아냈고, 미시적 수준과 거시적 수준을 연결시켜 보다 유연한 관점을 가지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진로상담에 있어 기존 연구들에서 제안되어온 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상담을 실증적으로 탐색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여성진로상담을 위한 상담자 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Female clients come into career counseling to speak about various problems. It is difficult to solve problems such as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and promotion, career breaks, multiple role conflicts, stereotypes about gender roles, and economic hardship solely by addressing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the client. In career counseling for wome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text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urrounding the client. From previous studies on womens careers, multicultural counseling, social justice advocacy counseling, and feminist counseling, it has found that a balanced view of the environment and the individual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of the client and intervening on their behalf. So far, studies on career counseling for women have been explored with central focus on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womens career choices and career development, such as career barriers. In addition to these studies, it is a high time that needs to develop strategies and empirical studies to help female clients in terms of counseling practice.

Based on this necessity,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how counselors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manifests in counseling practice, focusing on counselors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factors. Specifically, we sought to explore counselors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factors that are evident in case conceptualization by using simulated cases, and aimed to identify its effects on the assessment of the client and the efficacy of the counselors.

Career counseling involves considerable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areer theories that underpin its characteristics and purpose. Therefore, considering the collective proposals on major career theories as the baseline, this study emphasized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explored the impact of its practice.

To answer the research problem, we developed a stimulus that introduces main career theories, a stimulus that emphasizes environmental factors, and a practice exercise, as well as a virtual case about married women who complain of career problems.

A total of 93 counselors participated in the study using the developed tool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group of 31 counselors: the main career theory group that receives stimulus on main career theories
environmental emphasis group that receives stimulus on environmental emphasis
environmental emphasis exercise group that receives stimulus on environmental emphasis and the practice exercise. After the pre-test,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a stimulus or a stimulus with a practice exercise depending on the conditions, and drafted a case conceptualization after reading the virtual case.

The case conceptualization was written in a narrative form, each for understanding of the client problem and the intervention plan. We also evaluated the assessment of the client and the efficacy of the counselor. Quantitative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ase conceptualizations created by the participant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moderators rated the conceptualizat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lusion and importance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 the scores were compared. For the content analysis, text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meanings and themes apparent in each group. For assessment of the client and efficacy of the counselor, average scores of each group were compar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erspectives in case conceptualization are as follows. The environmental emphasis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e main career theory group in both understanding of the clients problems and intervention plans. In terms of content, all three groups identified parenting, workplace, and work responsibilities as the clients problems, and focused intervention plans on parenting and workplace. By group, major career theory group had stronger focus on the individual dimension for both the clients problems and the intervention plan, had fewer words in the case conceptualization that corresponded to the microsystem and macrosystem, and weaker association between words that correspond to the microsystem and words that correspond to the macrosystem. Conversely, the environmental emphasis group understood the case in terms of the macro environment, has most frequently mentioned the words related to macrosystems among the three groups, and understood the macro- and micro-system words by associating them together. Finally, the environmental emphasis exercise group mentioned both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s important, has most frequently mentioned the words related to the microsystem, and understood the macro- and micro-system words by associating them togeth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assessment of the client. In the efficacy of the counselor, the environmental emphasis exercise group felt more adept than the environmental emphasis group to handle the problem of the virtual case cli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erms of 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its practice in career counseling for women affect counselors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factors. The counselors considered environmental factors in understanding the clients when conceptualizing the case
and when provided a brief guideline or practice exercise about environmental factors, the counselors found out more environmental factors that were not captured when applying only the major career theories, and adopted flexible viewpoints by linking the micro level to the macro level.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empirically explored counseling in career counseling for women that considers the environmental and contextual factor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and that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counselor education for career counseling for wome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32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