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집트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소 습득 연구 : The acquisition of Korean sounds by Egyptian learn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SARAH MAGED FAYEZ BENJAMIN

Advisor
이호영
Major
인문대학 언어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언어학과, 2019. 2. 이호영.
Abstract
이 연구는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한국어 음소들을 어떻게 지각하고,이들이 발음한 한국어 음소들이 한국인에게 어떻게 지각되는지 밝히고, 고변이 음성 훈련을 통해 이들의 한국어 음소들에 대한 지각이 얼마나, 어떻게 향상되는지 알아보고, 음소별 학습 용이성(learnability) 정도를 파악해 이집트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발음 훈련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1은 이집트인 학습자가 한국어의 음소를 어떻게 지각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이집트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53명의 초급과 중고급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식별과제(Identification task)로 구성된 지각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집트인 학습자들은 한국인 3명이 발음한 159개의 한국어 자극 단어를 무작위로 듣고 어느 단어를 들었는지 객관식으로 고르는 과제를 수행했다. 그 결과 이집트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종성을 가장 잘 지각했으며, 초성에 가장 큰 어려움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집트인 학습자들은 L1 음소와 비슷한 한국어 음소들을 구별하여 지각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반면 L1에 존재하지 않는 한국어 음소들은 비교적 잘 지각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험2는 이집트인 학습자들이 산출한 한국어 음소들의 정확도를 밝히고, 이집트인의 개별 음소 발음이 원어민 화자의 수준에 얼마나 근접하는지 조사하는 유사도 평가(goodness rating)도 함께 진행했다. 이집트인 학습자 9명이 산출한 자극 단어 477(53개*9명)개를 한국인들에게 무작위로 들려주고, 식별과제를 통해서 들은 소리와 일치하는 한국어 단어를 고르게 하고, 자극 음소의 발음이 원어민 수준에 얼마나 근접하는지 여부를 1(비원어민 수준)~5(원어민 수준)점 척도로 평가했다. 그 결과 실험 1의 지각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이집트인 학습자들이 가장 잘 산출한 음소는 종성이며, 그 다음으로는 모음, 가장 못하는 음소는 초성으로 나왔다. 그리고 산출 양상을 관찰한 결과 이집트인 학습자는 L1음소와 유사한 한국어 음소를 잘 산출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L1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음소를 산출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집트인의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L1음소와 이와 범주화되는 L2음소가 음성적으로 비슷한지 다른지가 지각과 산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L1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한국어 음소를 지각하는 것은 쉬운 반면 이러한 음소들을 산출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L1 음소와 비슷한 한국어 음소는 잘 산출하지만 지각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실험1과 실험2에서 관찰된 지각과 산출 오류를 개선하고 단기간의 지각 훈련을 통해 한국어의 어느 음소가 배우기 쉽고, 어느 음소가 배우기 어려운지 밝히기 위해 고변이 음성 훈련(High Variability Phonetic Training)을 실험 3에서 실시하였다. 고변이 음성 훈련용 자료는 한국어의 모두 200개의 단어와 152개의 문장으로 구성되었다. 50명의 이집트인 초급 집단과 중고급 학습자 집단이 10회의 고변이 음성 훈련을 2주간 받았으며, 각 세션은 약 30~40분간 진행되었다. 각 훈련 세션의 자극과 화자의 목소리는 모두 다르게 구성되었다. 사전과 사후 테스트 비교 결과, 이집트인 초급과 중고급 집단의 한국어 모음과 초성 지각 능력이 뚜렷하게 향상되었으며, 사전 테스트에서도 높은 지각률을 보였던 종성 지각 능력도 향상하였지만 향상폭은 천장 효과로 인해 다소 낮았다. 각 음소에 대한 지각 정확도와 향상도를 통해 학습 용이성(Learnability)을 측정하고, 이집트인 학습자가 혼동하는 음소 대립쌍에 대한 학습 용이성 위계를 학습 단계별로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Korean sounds by Egyptians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nd to define the learnability gradient of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through High Variability Phonetic Training (HVPT).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e first experiment examined the perception of Korean vowels, initial consonants and final consonant. 53 Egyptian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that Egyptians were able to identify Korean final consonants, meanwhile they had difficulty identifying Korean vowels and initial consonants.

The second experiment examined how native Koreans perceived the production of Korean sounds by Egyptian learners. Eight native Koreans identified and gave goodness ratings to Korean vowels, initial and final consonants produced by nine Egyptians.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s were able to identify most of the vowels and final consonants produced by Egyptians, but not the word initial consonants. In light of the experiment results, it appears that in the case of Egyptians learning Korean, production precedes perception for phonemes similar to L1. Meanwhile, perception precedes production when L2 phonemes do not exist in L1.

The third experiment examined whether HVPT can improve the perception of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that Egyptian learners have difficulty with. 50 Egyptian adult learners of Korean (27 low proficiency learners and 23 high proficiency learners) participated in ten sessions of high variability phonetic training for Korean vowels, word initial and word final consonants. Participants were tested on their identification ability of Korean vowels, word-initial consonants, and coda consonant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low and high proficiency groups did benefit from the training, however low proficiency learners showed a higher improvement rate than high proficiency learners. A phoneme learnability index was calculated by the average of identification scores of individual phoneme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and a pairwise learnability index was establish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phoneme learnability indices of two contrastive sounds.

This study prov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in L2 acquisition depe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1 and L2 phonemes, where similar sounds are harder to perceive but easier to pronounce and new sounds are easier to perceive but harder to pronounce. Also, it proves that HVPT is a successful training method for Egyptians learning Korean, where it improved both similar and new sounds of L2. Based on the HVPT results, a learnability gradient has been established to give insights in determining Korean sounds that need additional training in L2 acquisi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76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