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령자 활동적 삶을 위한 도시 생활권 공공공간 계획요소와 정책에 관한 연구 : On Policy and Planning Elements of Urban Public Space for the Senior's Active Liv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영현

Advisor
조경진
Major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전공, 2019. 2. 조경진.
Abstract
인구고령화에 대한 문제는 시급하게 다루어져야 할 사회적 이슈 중 하나이며, 이러한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건강과 웰빙, 성공적 노화에 대한 관심은 점차 증대되고 있다. 고령화 속도가 OECD 가입국 중 가장 빠르게 진행 중인 우리나라는 최근 고령친화도시 정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나 보건․의료분야를 중심으로 노인 개인건강 및 돌봄서비스에 중점을 두고 있다. 도시 환경에 해당되는 정책은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주로 노인복지시설을 확대하거나 노인 전용주거인 실버타운을 조성하는 정책에 중점을 두고 있다.

노인복지 정책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되어야 한다. 노인 개인에 대한 정책에서 지역사회로 정책대상이 바뀌어야 한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노인복지시설 공급이나 복지서비스 확대 정책만을 내세우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른다. 빠르게 증가하는 고령자 수에 맞추어 노인복지시설을 확대한다는 것은 한정된 국가 및 지역 예산 상황에서 어려운 상황이며, 실제로 노인복지시설 수용범위는 전체 노인의 10%도 되지 않는다. 노인 자신이 그동안 살아왔던 도시, 익숙한 지역사회, 근린환경에서 가능한 더 오랫동안 지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Aging in Place의 개념으로 정책방향이 변화되어야 한다.

특히 노인복지시설 부족 및 지역간 공급불균형 등으로 인해 해당 시설 이용에 제약이 따르는 취약계층 노인 대부분은 열악한 주거환경을 벗이나 집 앞 생활가로나 공원 등에서 보다 많은 여가와 사회적 교류 활동을 하고 있다. 고령자의 신체활동을 촉진하고, 고독감과 외로움 등을 탈피하여 보다 건강하고 활동적인 노화(Active Aging)를 위해서는 고령자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도시 생활권에서의 공공공간에 대한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 일상생활에서의 활동행태와 생활환경 실태를 파악하여 공공공간이 고령자 건강과 활동적 삶에 어떠한 역할과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고, 고령친화적인 공공공간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노인 활동행태 및 생활환경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2017년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노인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공공공간에 특화되어서는 고령친화도시로 지정된 서울, 부산, 수원, 정읍, 제주 등 5개 지자체 거주노인 5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정책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평가하기 위해 고령친화도시 관련 전문가 23인을 대상으로 AHP 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결과, 운동 등 신체활동과 여가문화활동, 사회적 교류 활동 등을 활발히 하는 고령자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았다. 그리고 이러한 노인 활동은 대부분 외부 공공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운동 등 신체활동은 73.3%가 집주변 일상생활에서 산책을 하거나 공원에서 노인운동기구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가문화활동도 산책(걷기) 18.7%, 스포츠 참여 11.1% 등 외부 공공공간에서 활동하는 비중이 높았다. 노인복지시설인 경로당은 다양한 노인 활동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노인복지관은 여가문화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나 시설이 멀리 위치해 있고, 접근성이 좋지 못해 이용자는 전국 노인의 9.2%에 그쳐 노인복지시설에 의존하는 현재의 노인복지 정책은 한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공공간 이용을 저해하는 원인으로는 노인이 주로 이용하는 공공공간 및 복지시설의 접근성이 부족한 문제, 공원 및 가로에 노인 휴식공간 부족 문제, 노인에 특화된 프로그램 부족 등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도출되었다. 외부활동 및 외출에 불편을 느끼는 원인도 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하거나 보행환경이 좋지 않은 이유가 가장 많았다. 특히 나이가 많을수록, 여성 노인인 경우 이러한 도시 환경 문제는 더욱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고령친화도시를 먼저 추진한 미국은 고령자 활동적 삶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공공공간 정책을 추진하고 있었다. 일상생활에서 보행 및 신체활동을 유도하기 위해 노인들이 주로 이동하는 가로를 중심으로 고령친화사업(Age-friendly Business)이나 문화예술공연 이벤트를 개최하고, 고령친화도시 핵심사업으로 고령친화공원을 조성하였다. 보행 중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지역주민과 함께 보행환경이 좋지 않은 지역을 함께 진단하고 유니버셜 디자인을 적용하는 등 도시계획적 측면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고령친화도시를 추진한 5개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공공공간 계획요소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노인들이 만족하지 못하는 요소로 개선이 필요한 항목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안전환경, 운동환경, 교류환경, 접근환경, 쾌적환경, 편의환경 등 요인 적재치에 따라 6개 공공공간 환경 개선요인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6개 요인과 19개 계획요소에 대해 전문가 대상 AHP 분석을 통해 중요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고령자에 있어서 보다 가깝고, 쉽게 공공공간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공공공간 이용 상에 교통사고, 낙상, 범죄 등으로부터 안전해야 하며, 다양한 여가문화 및 사회적 교류 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장소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거주노인의 만족도와 전문가 중요도 평가결과를 종합하여 IPA 분석한 결과, 가장 시급하게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는 공공공간에서의 노인 운동강좌 프로그램 운영과 여가 및 취미생활을 위한 공간 및 프로그램 마련등 노인에 특화된 프로그램 마련이 가장 시급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공공공간의 쾌적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해 낙상 등 노인 생활안전을 위한 유니버셜디자인을 확대 적용하고, 교차로 및 횡단보도 등 노인 교통사고에 대한 대비, 폭염, 혹한 등 기후, 기상 등 자연재해 대응 등 안전환경에 대한 측면도 매우 시급히 개선해야 할 계획요소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 생활권 공공공간이 고령자 활동적 노화(Active aging)와 활동적 삶(Active living)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고령친화형 공공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필요한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정책적으로 공공공간 계획 요인간 상대적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공공공간의 고령친화도를 진단하여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계획요소와 정책과제를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roblem of population aging is one of the social issues that needs to be addressed urgently. With this demographic change, interest in health, well-being, and successful aging is gradually increasing. Korea is the fastest growing among the OECD member countries in recent years, but Korea has been actively promoting aging-friendly city policies, but focusing on health an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he policy for the urban environment is relatively inadequate and focuses mainly on expanding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creating silver towns for the elderly.

The paradigm for the elderly welfare policy should be changed. The policy object should be changed from the policy for the elderly individual to the community.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the provision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expansion of welfare services. This is because the aging rate is so fast that it is difficult to meet the elderly welfare facility capacity. In fact,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can not accommodate less than 10% of the elderly. The Age-friendly cities emphasized by WHO are 'aging in place' and 'livable community for all age'. The policy should be promoted so that the elderly can live longer in the city they have been living in, the familiar community, and the neighboring environment.

Especially, the elderly who have difficulty in using the facility due to lack of welfare facilities and the supply imbalance among the regions have more leisure time and social activities in the streets and park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urban public space that can support various activities in the daily life of the elderly in order to promote the physical activity and to move away from the feeling of lonel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ole and meaning of public space in elderly people 's health and active living by analyzing the activities and behavior of the elderly in their daily life. As a result, it proposes a policy direction to improve into an aged friendly public space. In order to analyze the behavior of the elder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environment, we used the micro data of the elderly situation survey research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17. And surveyed 549 elderly residents of Seoul, Busan, Suwon, Jeongeup, and Jeju that were designated as age-friendly cities. In order to evaluate the policy importance and priority, AHP analysis was conducted on 23 age-friendly city related exper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lderly who actively engaged in physical activity, leisure cultural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showed higher subjective health status than those who did not. Most of these elderly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the public space. 73.3% of the elderly used physical activities such as walking in the park or using the elderly sports equipment in the park. Leisure cultural activities also accounted for 18.7% of strolling and 11.1% of sports participation. Most of the elderly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external public spaces. The elderly welfare center is located far away from the facility, and the accessibility of the elderly is poor, so that only 9.2% of the elderly were using the center.

The most serious problems were the lack of access to public spaces and welfare facilities, the lack of resting areas in parks and streets, and the lack of programs specialized to the elderly. Most of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y in external activities and going out were the inconvenience of using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buses or the poor walking environment. Especially in the case of older or females, it was found that these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were taken more seriously.

The United States, which promoted aging-friendly cities, is pursuing a variety of public space policies to encourage active living for the elderly. In order to induce walking and physical activity in daily life, 'Age-friendly Business' or culture and art performance events are held mainly in the streets where elderly people move.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safety during walking, the government is making a lot of effort in the urban planning aspect by diagnosing areas with poor walking environment together with local residents and applying universal design.

The elderly who live in five cities that promoted aged - friendly cities were surveyed about their satisfaction with public space planning factors.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items that need improvement in the elderly are as follows: such as 'Safety environment', 'Health & Exercise environment', 'Social network environment', 'Accessibility environment', 'Pleasant environment'. The factors that improve the environment of six public spaces were derived.

The six factors and the 19 planning elements were assessed by the AHP analysi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so that the elderly can get closer to the public space easily, and to secure the public space from traffic accidents, falls, crimes, etc. and to support various leisure culture and social exchange activi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IPA on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of elderly residents and the importance of experts, the most urgent improvement items are 'Running a program for senior citizens in public spaces and Preparing spaces and programs for leisure and hobbies' etc.

In addition, to improve the comfort and safety of public spaces, universal design for the safety of the elderly such as falls', Measures to address traffic accidents of senior citizens, such as crossroads and crosswalks', 'Measures for natural disasters such as climate and weather etc. The aspect of the safety environment has also been drawn up as a factor to be urgently improved.

This study emphasizes that urban public spa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active aging and active living of elderly people, and draws the planning elements necessary to create aged-friendly public space.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public space planning in terms of policy and quantitatively analyze the elderly affinity of public space, and propose planning elements and policy tasks that should be improv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30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