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상업건축의 가로의 내부화와 내부공간의 거대 영역화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ernalization of streets and huge interior domain in commercial area
광장시장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건영

Advisor
김승회
Major
건축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2. 2. 김승회.
Abstract
광장시장은 1904년에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재래상설시장으로써, 종로 4가 예지동 일대에 청계천 변을 따라 위치한 거대 시장 영역이다. 일제 초기 형성된 광장시장은 1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같은 장소에 유지되어 왔다. 하지만 초기 광장시장 영역이 재래시장이었던 반면 지금의 광장시장 영역은 도매-상설시장에 가까운 복잡한 쓰임을 가진다. 즉, 광장시장은 하나의 장소에 요구되는 다양한 시간적 층위의 요구를 공간구조의 점진적이고 자생적인 변화를 통해 대응해 왔다.
하지만 2002년에 씌워진 아케이드로 인해 기존 도시 조직이 하나의 거대한 내부 공간이 되면서 공간구조는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형성된 기존 외부 가로가 아케이드로 인해 내부가 되었다. 그에 따라 도시 조직 전체가 내부공간으로 연결된 하나의 시설물로써 기능한다. 이는 자생적으로 진화된 거대 구조물(Megastructure)의 예로 볼 수 있다.

광장시장이 가지는 도시-건축적 의의는, 도시조직에서 외부 가로가 내부공간이 되면서 만드는 거대한 내부 영역과 그에 따른 종합적인 소비 상업 시설로써의 공간 체계로 요약 될 수 있다. 더욱이 오랜 시간 동안 주변 조직과 맥락에 적응하며 진화해온 광장시장은 도시적 형성물의 예로써 현대 대도시 서울의 특이성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동시에 건축에 있어서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집단적인 보편성의 실마리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광장시장을 통해 도시조직에서 가로의 내부화와 내부 공간의 거대 영역 화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광장시장의 복도(내부화된 가로)는 도시조직의 일부였던 만큼 주변 가로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그로 인해 블록의 경계면에 주변 조직과 연결된 다수의 출입구를 만든다. 이는 주 출입구의 개념을 약화 시키고, 영역 전체에 공간적 위계를 균질하게 만든다. 두 번째로 내부화된 가로를 중심으로 기존 건물의 내-외부 관계가 재편된다. 외부 가로와 건물 내부가 모두 내부공간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개별 건물들은 가로와의 관계를 각자의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게 된다. 이는 가로가 건물들을 연결하는 전이공간이 아닌 자체로써 공간의 중심이 되게 하며, 이로 인해 프로그램들은 영역-중심이 아닌 가로-중심으로 선적으로 형성되고, 가로에 따라 형성된 만큼 블록 주변으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세 번째로 기존 가로와 건물 내부의 복도 사이에 구별이 없어짐으로써 가로와 복도가 일체화 된다. 건물이 형성하는 경계가 사라지고, 대신 건물의 복도가 기존 가로와 조직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둘 사이에 구분이 없어지며, 오직 복도가 만드는 경계들만이 공간의 지배적인 체계로써 작용한다. 다섯 번째로 이에 따라 사람들이 이동하는 복도(구별이 없어진 기존의 가로와 건물의 복도)와 개별 영역들이 접하는 면의 면적이 늘어나면서 조직은 상품의 진열과 전시에 유리한 방향으로 잘게 분절된다. 이는 상품과 사람이 직접적으로 대면하는데 유리한 공간적인 조건을 만들며, 그 조건에 부합하는 상점과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고, 기존 조직을 재편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광장시장은 건물 내부의 콘텐츠(Contents)들이 아무런 전이와 경계 없이 서로 만나고 지각되는 특이한 공간적인 성질을 가진다. 여섯 번째로 내부화된 기존 가로는 영역 전체에 공간적인 위계를 균질하게 만들기 때문에 광장시장의 쓰임, 즉 콘텐츠들의 점유와 영역의 변화를 더 유동적이게 한다. 일곱 번째로 내부화된 가로는 조절 가능한 외부 환경인만큼 외부 가로에서 보다 일시적인 활동들이 활성화 된다. 여덟 번째로 광장시장은 지상 층을 제외한 이층 이상의 건물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일층과 구별되는 체계를 가진 새로운 수평적인 영역을 형성한다. 아케이드가 일층 부분에 가로를 따라 선적인 성격들을 강조는 만큼 동시에 이층을 일층과는 분리시키며, 이에 따라 이층의 공간적인 체계는 일층과 상이하게 전개되고 서로간의 단순한 연결점(수직 동선)만을 가지는 서로 독립적인 영역으로 존재하게 한다. 그리고 열 번째로 이러한 두 개의 독립적인 수평적 영역은 각 개별 건물이 가지는 수직 동선으로 인해 서로 다층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각기 서로 유동적인 공간의 속성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들은 현대 상업 시설과 건축 공간의 하나의 중요한 측면을 보여준다.
이로써, 광장시장은 기존 도시조직의 변형으로 형성된 상업시설의 새로운 면모를 가지게 된다 된다. 이는 주변 맥락과 상황에 기인한 변화이며, 하나의 주체나 계획가에 의한 의도적인 변화가 아닌 여러 주체와 복합적인 요소에 의한 자발적인 변화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실에 효과적으로 적응한 건물 유형의 예로써의 가치를 가진다.
Gwang-Jang market is first modern market area in Korea built at 1904 by local korean merchant. It has been existing around a hundred year without redevelopment. The initial stage, it was able to be defined just local 'Market' but now, it can't be defined just market because of complexity of its commercial aspect. Gwang-Jang market area has evolved itself to adjust to changing of surrounding context.

In 2002, The arcade was installed ing Gwang-Jang market area. It has been uniting each buildings interior space to huge interior domain. So, Gwang-Jang market area is not just area but also unified facility like one building. therefore, it can be seen as Mega-structure grown by itself.

The architectural meaning of this market can be summarized to 1. huge interior domain in commercial building 2. fatti urbani can represent indentity and speciality of metropolis Seoul and show important notion of collective generalit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ternalization of street and huge interior domain in commercial build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is market has numerous entrance because it was not a building but a urban fabric, therefore, there is no main entrance of this commercial area and pedestrian flow is organized of lots of coordinating streets, corridor. and it homogenize the hierarchy of space.
2. Relationship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is reorganized by interior-ized streets. Because the both became interior space. So, Boundary is readjusted for increasing display space. It is various from each shop's contents.
3. And This made the corridor important more than building space. as a result, Program is formed in the linear street, not the building inside. The building inside become subservient support space to streets, corridors.
4. Corridors of inside building and interior-ized streets was connected each other and made combined movement space fablic, generating homogeneous space system.
5. And This system makes environment for display. because this system has a lot of advantage for displaying contents, it integrates each building space to one large interior domain, making the buildings connected each other in three-dimensional way.
6. Certain programs are activated by this system, environment. and these programs are increasing by this system, and these programs are re-activating this system, making it dominate space system.

In conclusion, Gwang-Jang market area is a new commercial building type. not just a market, not just a commercial building. And not just a urban fabric, not just a one building. It lies in between. This was orientated in urbanizaion of metropolis Seoul, by collective demands. So, it has meaning as a kind of working commercial building type, unexpect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461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454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