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설득적 텍스트 쓰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persuasive writing education
논증 구조의 고쳐쓰기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정연

Advisor
윤희원
Major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12. 2. 윤희원.
Abstract
본 연구는 설득적 글쓰기 교육의 실태를 검토하고 학습자들이 설득적 글쓰기의 논증을 구성하고 고쳐 쓰는 양상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설득적 글쓰기 논증 구성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수 학습 내용을 구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이 증가하면서 문어를 통해 타인과 관계를 맺고 자신의 주장을 펼치는 설득적인 글쓰기 능력이 점점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설득적 텍스트 쓰기는 학생들이 여러 유형의 담화 중 가장 어려워하는 영역이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설득적 글쓰기의 문제와 고쳐쓰기를 통한 문제 해결 양상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정책 논제에 대한 설득적 텍스트 초고와 수정본 100편을 기초 자료로 논증 구조를 분석하였다. 개요지, 반성적 질문지, 소집단 협의, 면담 자료를 활용하여 텍스트 구성과 고쳐쓰기 과정을 분석하였다. 논증 분석은 윌리엄스와 콜럼이 수정한 툴민의 논증 모형에 기반했고, 텍스트 수정 과정 분석은 헤이즈와 플라워의(Hayes․Flower)의 수정 모형의 틀을 바탕으로 하였다.
설득적 글쓰기의 내용과 방법을 마련하기 위해 II장에서 텍스트 언어학과 툴민(Toulmin), 윌리엄스와 콜럼(Williams․Colomb)의 논증 이론을 바탕으로 설득적 텍스트의 본질을 정리하였다. 설득적 텍스트는 논증의 구조를 지닌다. 또 독자의 태도 변화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독자 지향성이 높다. 이상적인 설득적 텍스트는 논증 조직의 균형을 이루어야 하고, 논증 요소의 타당성을 지녀야 하며, 독자 지향적인 전략을 활용해야 한다.
III장에서는 논증 구조의 균형, 논증 요소의 타당성, 논증 구조를 보완하는 독자 지향성의 측면을 전체 논증과 단위 논증의 층위로 나누어 논증 구성과 고쳐쓰기 양상을 분석하였다. 논증 구조의 균형과 관련해서 문제 양상은 주장에 비해 뒷받침 내용이 부족하고, 근거에 비해 이유가 부족하며, 반론 수용에 비해 반박이 부족한 양상이 주로 발견되었다. 대부분 부족한 구성요소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고쳐쓰기가 이루어졌고 점진적으로 균형감이 향상되었다. 특히 근거와 이유가 잘 연결되지 않고 이유가 명시화되지 않는 문제가 많았고, 이유를 명시화하고 첨가함으로써 근거와 이유의 균형이 조정되었다.
논증 요소의 타당성은 관련성과 수용 가능성, 반론에 대한 설득 가능성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관련성은 화제의 연결과 쟁점과의 연결에 대해서 분석했다. 화제 연결의 문제는 내용의 재배열이나 대체를 통해 수정되었고, 쟁점과 관련성이 적은 내용은 삭제와 대체의 방법으로 수정되었다. 관련성과 관련된 문제 양상은 협의에서 잘 진단되고 고쳐쓰기의 완성도가 높았다.
수용 가능성은 추론의 합리성과 근거의 객관성, 신뢰성 등을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합리적이지 않은 추론에 기반한 이유는 문제가 감지되기는 하였으나 정확하게 잘 진단되지 않았고, 사고의 한계에 기반한 경우가 많아서 고쳐쓰는 과정도 어려웠다. 객관성이 부족한 근거는 문제가 발견되었으나 진단이 통일되지 않았고 고쳐쓰기는 필자의 진단 수용 여부에 따라 상대적으로 행해졌다.
반론에 대한 설득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독자가 제기할 수 있는 의문과 반론을 수용하기는 했지만 충분히 반박하거나 방어하지 못하여 주장이 약화되는 문제 양상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 양상은 주장을 도입하기 전에 반론을 먼저 제기하는 쓰기 습관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쓰기 방법이 바뀌고 고쳐쓰기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또 다양한 반박 전략을 익히지 못한 경우도 많았으나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양상이 있었다.
독자 지향 전략으로는 서론에서 주장을 예비하기, 결론에서 논증을 요약적으로 제시하기, 논증 요소에 대한 표지 제시하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서론에서 주장을 예비하지 않고 단도직입적으로 도입하는 문제는 독자들이 불편감을 느낀다는 진단을 받고 주장을 예비하는 내용을 첨가하여 수정이 이루어졌다. 논증의 요약적 제시와 표지 사용은 텍스트의 독자 지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되었다.
위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설득적인 글쓰기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논증 구조의 균형, 논증 요소의 타당성, 논증 구조를 보완하는 독자 지향 전략에 대한 교육 내용과 반성적 점검 내용을 구체화하였다. 협의 중심 고쳐쓰기 교수 학습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해 효과를 검증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providing the education contents of argumentation construction of persuasive writing. For this I reviewed the reality of persuasive writing education, and analyzed aspects of constructing argumentation in persuasive writing and rewriting.
Persuasive writing skills are increasingly required. But writing persuasive text is an area that learners consider the most difficult among different types of discourse. I analysed aspects of problems and problem-solving of persuasive writing, focusing on argument structure. For this I collected data from students' persuasive writing and rewriting on policy topic. And I analysed argument structure of students' writing and the process of rewriting based on text, outline, reflective questionnaires, small group discussion on revision and interviews. Argument analysis were based on argument model by Williams, Colomb, Toulmin. Revision process analysis were based on framework of Hayes revision model.
Chapter2 reviews the theory of persuasive text and examines the nature of persuasive writing performance. The nature of persuasive text is 'argumentation' in structure, and highly reader-oriented in that it aims to change the attitude of readers. Ideal persuasive writing should be balanced in argument structure, be equipped with validity in argument element, and utilize reader-oriented strategy to complement argument structure. The ability of constructing argument in persuasive text is the one, which can realize the nature of this kind of persuasive text. The ability contains constructing argument and rewriting argument.
In Chapter3, I analysed 'balance of argument structure, the validity of the argument elements, reader-oriented strategy complementing structure' of persuasive writing and rewriting in layers of argument structure and sub structure.
In respect of balance of the structure, Problem is has been found primarily in aspects of the lack of supporting the claim, the lack of reason and the lack of rebuttal. Most insufficient components are added in revision process and balance has been gradually improved.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problems, where the evidence and reasons are not connected and there are not explicit reasons.
The validity of the argument was divided into aspects of 'relevance' and 'acceptability', 'possibility rebuttal'. Relevance is topic connection and argument element - issue connection. Disconnection of claim and reason and evidence is due to unclear recognition about argument element, disagreement with expressing intention and expressed text. This problems were modified by rearrangement and replacing. Problems related relevance were exactly diagnosed in group discussion and well accepted by writer. So revision about relevance were reached high maturity.
Acceptability is analysed based on reasoning of the rationality and evidence of objectivity and reliability. Problems related acceptability were due to the limit of ability of thinking, so rewriting process is difficult and uneffective. Unreasonable reasoning is detected, but the exact causes were not found in group discussion. Evidence problems caused by lack of objectivity and reliability were found in group discussion, but diagnosis were not unified. Rewriting was done relatively according to acceptance of diagnosis.
Objection acknowledgements and rebuttal were done to accept questions and objections. But responses were not enough to defense claim, so it weakened claims and argument. The problems were due to writing habit arranging long objection before main claim. Through interview with teacher, problems was diagnosed and writing method was changed. Most student were not able to use various rebuttal strategy effectively, there was gradual improvement in rewriting.
Reader-oriented strategies to complement argument structure are making preparation for claim by contents in the introduction, summarizing arguments and claim in conclusion, giving sign to show the structure. Suggesting claim without preparing background and motive of claim made reader feel uncomfort and embarrassed. This problem was revised through group discussion diagnosis. Showing summary of argument and providing signs of argument element were not serious problems. But revisions were done for readers to understand text comfortably and effectively. Revisions were successful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ersuasive text.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study suggested content persuasive writing education. The study provided reflective questions to detect and diagnose problems of argument structure in terms of 'balance, validity, reader-oriented strategy'. These reflective questions can help students to evaluate and activate argument structure in persuasive writing. The study recommended persuasive writing education model focus on group discussion and revisions, and presented actual lessons practice. The principle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internalize argument construct strategy and replace inefficient strateg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628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00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