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동사 '오르다, 올리다, 내리다의 의미와 용법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영영

Advisor
김창섭
Major
국어국문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2. 2. 김창섭.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오르다, 올리다와 내리다의 의미적 특성과 용법을 전반적으로 기술하고 이를 토대로 오르다와 자동사 내리다, 올리다와 타동사 내리다의 대립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오르다와 내리다(자), 올리다와 내리다(타)는 대립어이지만, 결합양상이 대칭적이지 않다. 이에 본고에서는 세 동사의 결합양상을 구와 복합어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기본의미로 쓰이는 단어 사이의 대립관계에서 벗어나 대립관계를 구에서 드러나는 대립관계와 복합어에서 드러나는 대립관계로 나누어 새로운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각각의 구 구성을 일반구, 연어, 숙어로 분류하여 세 동사의 의미와 용법에서 나타난 차이를 밝혔다. 오르다와 올리다는 방향 의미가 드러나는 경우와 도달점에 초점을 두는 경우가 있으나, 내리다는 항상 방향 의미를 드러내며, 위에서 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체와만 결합한다. 또한 오르다와 올리다는 장소명사와 잘 결합하는 반면에, 내리다는 추상적 장소명사와 결합하지 못한다. 이 밖에도 사람이 지배할 수 있는 일이면 상향 이동을 나타내는 오르다와 올리다는 긍정적인 가치 평가를 지니는데 내리다는 긍정이나 부정의 가치 평가를 나타내지 않는다.
오르다와 내리다(자), 올리다와 내리다(타)가 참여한 구에서 나타나는 대립관계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 대립관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비대칭의 경우를 존재적 비대칭과 기능적 비대칭으로 분류하여 대립관계를 이루지 못하는 이유를 최대한 구명하였다. 오르다, 올리다만 쓰일 수 있고 내리다가 쓰일 수 없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세 동사의 의미 때문이며, 내리다만 쓰일 수 있고 오르다, 올리다가 쓰일 수 없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이동체가 상향이동 하는 것은 일상생활에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복합어를 살펴봄으로써 세 동사의 단어형성 양상과 복합어에서 드러난 의미를 밝혔다. 세 동사가 선행하는 경우에는 접사화되거나 단어형성 전용 요소로 쓰이는 경우와(올리/내리/내려(타)), 일정한 장소를 요구하는 동사들과 결합하는 경우가 있다(올라/내려(자)/올려). 전자의 경우에는 세 동사가 방향 의미만 나타내고, 후자의 경우에는 방향 의미만 나타내거나 방향 의미와 이동 의미를 동시에 나타낸다. 반면에 세 동사가 후행하는 경우에는 이동방식을 나타내는 동사나 방향성이 일치하는 동사와 결합하며, 세 동사가 방향 의미와 이동 의미를 동시에 나타낸다. 그리고 본고는 세 동사가 합성동사에서 나타내는 의미를 -서의 삽입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또한 오르다와 내리다(자), 올리다와 내리다(타)가 복합어에서 나타내는 대립관계의 성립 여부와 그 원인을 구명하였다. 대립쌍을 이루는 경우는 대체로 결합 성분이 방향성과 관련이 적은 동사일 때이다. 따라서 방향성에 의해 대립관계가 형성된 것이다. 대립쌍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는 보통 방향성이 일치하는 동사와 결합할 때이며, 방향 동사가 방향성이 일치하는 동사와 잘 결합하지만 방향이 상반되는 동사와 결합할 수 없기 때문이다.
本论文的目的是全面阐述오르다、올리다、내리다的意义特征及用法,进而阐明오르다和自动词내리다、올리다和他动词내리다的反义关系。虽然오르다和내리다(自)、올리다和내리다(他)是反义词,但是它们的搭配方式并不对称。因此,本论文从短语及合成词(복합어)的结构特点,对这三个动词的搭配方式进行了剖析研究。并且,本论文摒弃传统意义上对单词基本意义之间的反义关系的研究,把反义关系分为短语中出现的反义关系和合成词(복합어)中出现的反义关系,以全新的视角予以全面考察。
本论文主要由以下四部分构成。首先,将短语按照意义及构成分为一般短语(일반구)、连语(연어)和熟语(숙어),阐明了三个动词在意义和用法上的不同表现。오르다和올리다有表示方向的用法和将焦点放在到达点上的用法,但是내리다只有表示方向的用法,而且只能与可以从上到下移动的移动体搭配。另外,오르다和올리다容易与场所名词搭配。相反,내리다不能与抽象的场所名词搭配。除此之外,如果是人可以控制的事情,表示向上移动的오르다和올리다一般带有肯定的价值判断意义,而내리다并不含有这种肯定或否定价值判断的意义。
然后,本论文对오르다和내리다(自)、올리다和내리다(他)在短语构成中出现的反义关系进行了分析,并得出了如下结论,即:在短语构成中,这两对反义词语维持反义关系的情形极少。笔者还把不对称情形分为存在性不对称情形和功能性不对称情形,深入阐明了之所以不能形成反义关系的根本原因。只能用오르다和올리다,不能用내리다的情形一般是由三个动词的意义所导致的。而只能用내리다,不能用오르다和올리다的情形一般是因为相应的移动体上移或被上移的事情在实际生活中根本不存在。
同时,本论文在阐述复合词时,重点剖析比较了这三个动词的单词形成方式和在合成词(복합어)中的意义。这三个动词处于单词首位时,可分为两种情形,即:前缀化或作为单词形成专用成分(단어형성 전용 요소)使用的情形以及与需要一定场所的动词搭配的情形。前者,这三个动词只表示方向意义;后者,只表示方向意义或同时表示方向意义与移动意义。相反,这三个动词处于单词末尾时,一般与表示移动方式的动词或与其方向性一致的动词进行搭配,此时,这三个动词同时表示方向意义和移动意义。本文还将这三个动词在复合动词(합성 동사)中的意义通过添加-서的方法进行了
验证。
本文还考察了오르다和내리다(自)、올리다和내리다(他)在合成词(복합어)中的反义关系及其成立与否的原因。这两对词语形成反义的情形,搭配成分一般是与方向性关系较少的动词,此时,方向相反导致反义关系的形成。反之,不能形成反义的情形,搭配成分一般是与其方向性一致的动词,因为方向动词一般与方向一致的动词搭配,却不能与方向相反的动词搭配。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638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48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