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가치붕괴의 증상으로서의 몽유 : Das Schlafwandeln als Symptom des Wertzerfalls - eine Studie zu Hermann Brochs Roman Die Schlafwandler
헤르만 브로흐의 『몽유병자들』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수민

Advisor
임홍배
Major
독어독문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독어독문학과, 2012. 2. 임홍배.
Abstract
세기 전환기의 오스트리아에서는 시대 변동에 따른 불안과 혼돈을 작품에 반영한 작가와 예술가들이 적지 않았다. 오스트리아의 작가 헤르만 브로흐는 철학적인 에세이와 문학이론 그리고 소설을 통해 당시의 사회를 비판적으로 통찰하였다. 그의 삼부작 소설 『몽유병자들』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이르는 시기에 유럽 사회를 배경으로 등장한 인물들의 가치붕괴적인 내면을 모더니즘의 소설형식을 통해 표현하였다. 본 논문은 브로흐가 이 소설에서 몽유병이라는 상징을 통해 나타낸 가치붕괴적인 인간 성향을 작품 내적인 분석을 통해 살피고 있다.
이 작품에서 몽유병은 비유적인 의미를 지니며 인간이 지닌 인식의 형태와 그 행위를 규명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3부작으로 이루어진 이 소설의 주인공들은 각기 세기 전환기의 서구 유럽 사회에 몸담고 살아가는 인물들이며 이들은 각각의 시대에 등장하는 평범한 인물의 전형들이다. 그러나 이들의 평범함의 이면에는 가치가 붕괴되어가는 시기를 관통하는 인간의 속물적인 근성과 비판적 인식이 부재한 혼돈스러운 내면이 숨어있다. 이러한 면모는 브로흐가 주장한 가치붕괴적인 세계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그는 20세기 초의 정치 ‧ 경제의 빠른 사회 변동과 더불어 이러한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는 인간의 본래적인 속성을 가치붕괴적인 세속화의 과정이라고 평가하였다. 말하자면 몽유병은 서구 유럽의 가치붕괴의 양상이 인간의 의식과 행동양식의 비합리성을 통해 발현되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브로흐는 가치붕괴 이론을 통해 르네상스 이후로 근대화의 과정을 겪는 유럽사회를 철학적이며 사회비판적인 시각으로 분석하였다. 그에 따르면 가치붕괴적인 세속화는 인간의 이성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근대에 와서 가속화 되었다. 말하자면 인간이 최대한의 자율성을 토대로 이성을 사용함으로써 근대의 산업은 눈부시게 발전하였지만, 여기에는 이와 더불어 합리적 이성을 절대적으로 맹신하는 무비판적인 태도가 드러났다. 이러한 가치붕괴 이론을 브로흐는 『몽유병자들』을 통해 소설로 형상화하였으며, 여기에서 인간은 절대성을 추종하여 그것을 맹신하는 가운데 그 과정을 비판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더불어 그러한 태도의 옳고 그름조차 판단할 수 없는 상태에 놓여있다. 이로써 소설의 인물들은 미처 꿈에서 깨지 못하여 의식하지 못한 채 행동하는 몽유병자들에 비유되고 있다. 몽유병자들의 행위는 그들이 속한 가치체계의 합리성을 철저하게 따르는 것으로 겉으로 보기에 타당한 듯 보이나, 그러한 체계의 논리성만을 무비판적으로 추종하는 까닭에 끝내 불합리한 것으로 판명된다. 이러한 몽유병자들의 비합리적 성향은 전체 세계의 통일성을 와해시키면서 인간가치의 무화를 조장하는 동인이 되고 있다.
『몽유병자들』의 1부와 2부에 등장하는 요아힘 폰 파제노와 아우구스트 에쉬는 둘 다 시대에 뒤떨어진 낡은 가치를 고수하면서 그것에 절대성을 부여하고 있다. 요아힘은 프로이센의 장교 출신으로 자신에게 낯선 시민세계에 느끼는 혼란을 피해 장교의 제복을 갑옷과 같은 방패로 인식하고 그것을 신봉한다. 에쉬는 1부에서의 혼란한 상태에서 더 나아가 광기를 드러낸다. 그는 개인적인 체험에서 비롯된 사회의 무질서한 면모를 전체 세계의 무질서와 카오스로 여기고, 기독교적인 맹신에 사로잡혀서 세계를 구원하려고 한다. 이러한 비현실적인 욕망은 인간가치를 하락시키고 인간을 사물화 · 도구화하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3부의 주인공 빌헬름 후게나우가 이러한 면모를 가장 극명하게 드러낸다. 그는 인간을 살해하면서도 자신의 행위를 비판하거나 반성하지 못하는 탈가치적 인물이다. 요컨대 그는 상인으로서의 물질적 이익만을 절대적으로 추종할 뿐 여타의 가치들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이렇듯 오직 물질적인 가치만을 중시하는 즉물주의적 태도는 1차대전의 전시를 배경으로 등장하는 기회주의적인 행위의 전형으로 떠오르며 인간가치의 타락과 종말을 예견하는 가치붕괴의 시대적 양상으로 해석되고 있다.
Um die Jahrhundertwende reflektierten in Österreich nicht wenige Schriftsteller und Künstler in ihren Werken die Unruhe und Zweifel ihrer Epoche. Hermann Broch hat die zeitgenössische Gesellschaft in seinen philosophischen Essays und Romanen kritisch analysiert. In seiner Romantrilogie Die Schlafwandler stellt er den „Zerfall der Werte‟ dar und zeigt Individuen, die von den Symptomen des Zerfalls charakterisiert werden. Die vorliegende Arbeit untersucht das Motiv des „Schlafwandelns‟ als Symptom des Wertezerfalls.

„Schlafwandeln‟ hat hier einen metaphorischen Sinn und beschreibt die Perzeption und das Handeln der Menschen. Die Protagonisten erscheinen als Durchschnittsbürger der damaligen Gesellschaft. Doch hinter den modellhaften Masken verbergen sich Philister ohne eigene Wertevorstellungen. Die Mentalität dieser Menschen befindet sich in einem schlafwandelnden Zustand. Schlafwandler zu sein bedeutet hier das Unvermögen, sich selbst und die Realität zu erkennen, die Menschen verfallen dem Wahnsinn. Broch betrachtet die Unruhe der Moderne in Zusammenhang mit den erkenntnistheoretischen Aspekten der Menschen. In dem Roman versucht Broch den Einfluss des Wertezerfalls auf das menschliche Geistesleben kritisch darzustellen.

In seiner Theorie über den „Zerfall der Werte‟ setzt sich Broch mit der Entwicklung der europäischen Moderne seit der Renaissance auseinander. Nach Broch beschleunigt sich der abendländische Wertezerfall durch die Instrumentalisierung der Vernunft. Hinter der konsequenten Applikation der Vernunft steht der blinde Glaube an die Rationalität der Vernunft. Broch gestaltet diesen vernunftskritischen Gedanken in Die Schlafwandler durch die moderne Romanform: die Protagonisten der Trilogie verfolgen das Absolute, aber in ihrer Unreflektiertheit vermögen sie nicht, über ihr eigenes Verhalten kritisch zu urteilen. Sie verhalten sich, als ob sie aus ihrem Traum noch nicht erwacht wären, so sind sie mit Schlafwandlern vergleichbar. Sie zeigen scheinbare Nomalitäten, da sie die rationalen Gesetze ihres Wertesystems radikal einhalten. Doch durch die radikale Rationalität isolieren sie sich und werden gleichgültig gegenüber anderen Menschen. Nach Broch ist der Schlafwandler in seiner Einsamkeit irrational, und dies ist das Bild einer zerfallenen Welt.

Im ersten und zweiten Teil der Trilogie sind Joachim von Pasenow und August Esch jeweils in ‚Moral-Dogmen‛ gefangen. Sie versuchen, in den zerfallenen Werten einen absoluten Charakter zu finden. Joachim, ein preußischer Offizier, betrachtet die zivile Welt als eine fremde und chaotische Welt, und fasst seine Uniform als Schutz gegen dieses Durcheinander auf. Er verehrt die Uniform, die als ein Zeichen des wilhelminischen Konservatismus gilt. Diese Verwirrung wird bei August Esch noch gesteigert. Esch verfällt dem Wahn, dass ausschließlich durch die katholische Religion die Erlösung der in Chaos zerfallenen Welt möglich sei. Solcher Glauben wird auf Kosten der menschlichen Werte erkauft. Diese Symptome kommen bei Wilhelm Huguenau am radikalsten zum Vorschein. Huguenau ist frei von allen moralischen Werten und nur in seinen eigenen Interessen verfangen. Selbst wenn er einen Menschen ermordet, rechnet Huguenau als Geschäftsmann nur seinen eigenen Gewinn aus. Solche Kälte ist vor dem Hintergrund der Zeit des ersten Weltkriegs als ein Vorbote der Vernichtung der menschlichen Werte und eines apokalyptischen Weltunterganges einzuschätze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824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09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