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뿌리 표현의 상징적 의미와 조형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significance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in the root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허진만

Advisor
김성희
Major
동양화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동양화과, 2012. 2. 김성희.
Abstract
본 논문은 2004년부터 2011년 현재까지 제작된 본인의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하며, 소재 선택의 동기와 그 소재를 선택하고 관찰하면서 뿌리가 갖는 의미의 형성과정, 조형적 표현 연구, 제작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작업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작품 연구 논문이다.

인간은 자연의 무한한 변화와 조화 속에서 영향을 받으며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계속적인 관찰과 표현의 대상으로 삼아 왔다. 이러한 자연 형태의 표현 방법은 시대에 따라 다른 양식으로 형성되어 왔으며 현대에 와서는 자연을 있는 그대로 재현할 뿐만 아니라 관찰된 대상을 통해 얻어진 내적 감흥을 개성적으로 표현하는 독창성과 창의성을 중요시 하게 되었다.
본인의 작업은 시각과 지각에 의해 관찰되는 뿌리의 조형적 특성과 한 식물의 생명의 근원이라고 볼 수 있는 뿌리가 주는 의미에 주목하면서 일어나는 심리와 의식의 변화에 따른 형상을 표현하고 있다. 본인의 작업은 의미 있는 삶이란 과연 무엇이냐에 관한 필연적이고도 숙명적인 의문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물음에 대하여 무엇보다 내적인 성찰을 통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며 그 특성에 맞는 일에 몰입하는 것이라 깨닫게 되었다. 즉 본인이 뿌리를 통해 제시하려는 가치는 삶의 태도에 관한 것으로 힘든 상황에서도 부정하고 피하는 것이 아니고 자연의 순리를 받아들이고 극복해 나가는 강한 의지라는 믿음이다. 현실의 명확한 인식, 그러나 현실의 영역의 비좁음에 대한 부정과 반발이 아니라 오히려 한계의 영역 내에서 철저히 이를 긍정하며 깊이 뻗으려는 뿌리와 같은 태도를 지향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뿌리를 소재로 시․지각적 관찰을 통하여 본인이 발견한 의미의 변화에 따른 표현이 작품을 통하여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또 그 조형상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체 논문은 Ⅰ. 머리말, Ⅱ. 뿌리의 상징적 의미, Ⅲ. 표현의 전개 과정, Ⅳ. 조형적 특성, Ⅴ. 제작과정, Ⅵ. 맺음말의 여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Ⅰ장에서는 창작 동기와 소재의 선택 그리고 목적을 서술하고 연구의 내용과 방법 등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처음 본인이 뿌리를 작품의 소재로 사용하게 된 계기를 언급하고 다음으로 이어질 연구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한다.
제 Ⅱ장에서는 관찰과 이론적 고찰을 통한 뿌리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 서술하였다. 먼저 회화에 있어서 관찰에 대해 먼저 서술한 뒤, 뿌리의 기능과 역할, 구조와 형태, 환경과의 관계 등 관찰을 통해 알게 된 뿌리의 독특한 특성에서 발견한 뿌리의 상징적 의미를 생명의 근원, 역동성과 강한 의지, 사회 체계의 근간, 통일성과 다양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 Ⅲ장에서는 뿌리의 상징성에 따른 조형적 표현에 대해 세 가지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인 작업의 정체성을 찾기 위하여 다양한 실험과 시도를 했던 시기의 표현을 간략히 언급하고, 1절에서는 현실의 힘들고 어려운 상황을 받아들이고 이를 극복하고자 했던 본인의 강한 의지로써 수묵과 자유로운 필선을 통한 표현을, 2절에서는 예술 창작에 있어서 미래의 가능성을 찾고자 새로운 기법의 전환을 시도했던 작품들을, 3절에서는 뿌리를 보다 더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뿌리의 정확한 구조를 파악하여 가는 철선을 활용한 백묘 표현을 살펴보았다.

제 Ⅳ장에서는 작품에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이에 본인이 뿌리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선의 활용, 구도, 여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본인의 작업 형식을 백묘, 수묵, 탁본과 종이부조를 활용한 뿌리 표현으로 나누었고,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밑그림 제작부터 완성에 이르는 일련의 제작 과정을 서술하였다.

제 Ⅵ장에서는 본론에서 논의된 내용의 요약 및 연구의 성과들 그리고 본 작업에 나타난 한계점에 관하여 서술하면서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스스로 전망해 보았다.

이상의 작품 연구를 통해서 본인의 작품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작업과정을 정리하게 됨으로써, 향후 지속될 작업의 방향을 새롭게 모색하고 한 단계 더 발전된 작업의 기반을 확고히 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rtistic research to present my artwork systemicall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y works created from 2004 to 2011. Having observed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root as the main subject of my work, the development of its meaning, its artistic expressions, and the process of my work were analyzed.

Human beings have been influenced by the infinite change and harmony of Nature, have discovered Natures beauty, and viewed it as the subject of observation and expression. These types of artistic expressions of Nature have formed different styles as time went by, and these days not only its real representation but also its creativities and uniqueness which reveal inner inspiration through observations of Nature become important.
I expressed many images of the root by the changes of psychological state and consciousness while focusing on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sense of sight and perception and its meaning, which can be the origin of the life of a plant. My work can be stemmed from an inevitable and a fatal question, that is, what is the Meaningful Life. While seeking for an answer to the question, I realized,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discover his or her inner being through contemplation and devote to work what really characterized the most. In other words, the value I am trying to put forward is the attitude towards the life; do not deny nor defy against all odds, accept the laws of Nature, and have a strong willpower. It is pursuing an attitude like a plant whose root reaches out further accepting the boundary imposed upon as opposed to a clear understanding of reality, which is neither a denial nor a resistance to the confined realm of realit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for analyzing how the works expressed the changes of meaning as a result of my discoveries by visual and perceptive observation of the root and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ic qualities of it.

The research consists of six main parts; Chapter I. Introduction, Chapter II. The Significant Meaning of Roots, Chapter III, the Development of the Expressions, Chapter IV. Formative Characteristics, Chapter V. Work Process, and Chapter VI. Conclusion.

In the Chapter I, I described the motivation for my work, selection of the main material, and its reason and briefly introduced the contents and process of the research. I, first, mentioned how I decided to choose the root as my main subject of the work and then the process.

I made a description of the significant meaning of the root through observations and theoretical research in the Chapter II. In the beginning, the definition of observation was explain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root, which was resulted from its unique qualities and based on observations, such as investigating its function and role, its structure and shap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roundings, was specified by the origin of the life, dynamism and a strong willpower, the basis of social system, and unity and multiplicity.

In the Chapter III, artistic expressions accompanied by the significance of the root were looked over by three sections. I specified when I had made a variety of experiments and trials in search of the identity of my work. In the section 1, expressions created by Indian ink and free brushstrokes, which represented my strong willpower to accept and overcome the harsh and grim reality were explained. Many works seeking for new artistic techniques were illustrated in the section 2. In the section 3, expressions throughout Ink-line paintings which were created by fine t'ien hsien(鐵線) and the precise analysis of the root for its realistic expression were taken into details.
I gave full details of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from my work in the chapter IV. There was a description of the usage of brushstroke, composition, and a blank space, which was utilized for my works.

In the Chapter V, the mode of the root in my works was divided into Ink-line, Indian ink, and a rubbing and paper relief by its styles of the root, and, in common, a set of process, from an idea sketch to the final completed piece, was fully described.

In the Chapter VI, I summarized the main discourse, documented my accomplishments from research, and, at the end, prospected the direction of my works in the future.

While conducting a research, I have a goal to reestablis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rganize the work process of my artwork, search for a new way for my ongoing work, and, finally, strengthen the foundation for my work in the futur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834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096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