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health determining factors of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in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은경훈

Advisor
김창엽
Major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12. 2. 김창엽.
Abstract
연구배경 : 최근 우리나라에서 다문화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대부분 결혼이주여성의 유입에 기인한다. 그런데 이들은 익숙지 않은 한국문화와 한국어 장벽에 노출되어 있고 이것이 이들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결혼이주여성사이의 건강수준차이를 알아보고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보건사회연구원의 2009년 전국다문화가정실태조사 원자료를 연구자료로 이용하였다. SPSS 12K를 이용하여 이 자료에 대해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포함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총인구는 n=69,394명이었고 종속변수는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이었다. 독립변수는 결혼이주여성의 연령, 교육수준, 수입 등이었다.

연구결과 :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출신 국적별로 다른 분포를 보였다. 이는 출신 국적별로 결혼이주여성의 연령분포 등 사회인구학적 분포, 월가구소득 등 사회경제적 수준의 분포 차이에 기인했다.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한 결과 결혼이주여성의 교육수준이 높거나 취업을 한 경우, 개인월수입이 높거나 건강보험에 가입한 경우, 한국어 말하기 능력이 좋은 경우, 지역사회 봉사활동에 참여한 경우 이들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결혼이주여성의 한국내 거주기간이 길수록, 차별을 경험한 경우 이들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연구토의 : 결혼이주여성이 우리나라에서 점점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의 건강상태를 대규모로 자세히 조사한 연구는 드물다.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가 알 수 있었던 것은 결혼 이주여성이 교육수준이 높거나 취업하여 근로를 통해 개인월수입을 많이 올릴수록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고, 건강보험에 가입하거나 한국어 말하기 능력이 우수하거나 지역사회봉사활동에 적극 참여할수록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어 말하기 능력이 좋을수록 주관적 건강수준이 높고 개인월수입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수준이 높다는 점은 결혼 이주여성이 한국생활에서 힘든 점을 들었을 때 언어문제와 경제적 어려움을 첫 번째와 두 번째 어려움으로 지적한 것과도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이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취업을 통해 경제적 상태를 향상시키는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결혼 이주여성이 지역사회봉사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할수록 건강수준이 좋으므로 결혼 이주여성이 지역사회활동에 활발히 참여할 수 있는 정책도 실시해야 하고 이들에 대한 차별이 있을수록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지 않으므로 차별을 없애는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Background: Recently Korean society sees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e based families. This is largely due to increasing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in Korea. But they are exposed to unaccustomed Korean culture and Korean language barrier. These factors may do harm on their health.

Purpose: We studied health differences among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in Korea and the health determining factors of them. We want the result of our study to be used to implement policies for their health.

Methods: We used the data of '2009 Study on Korean multiculture families status' by Korean Public Health and Social Study Institute.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12K. Total analysed number of data was n=69,394. Outcome variable was subjective health status of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in Korea. Dependent variables were their age, education levels, monthly personal incomes and etc.

Results: There were different health distributions among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from original countries in Korea. These different health distributions resulted from the different distribution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including their age and socioeconomic status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ollowing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goo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in Korea.; Higher education level, employed status, higher monthly personal income, status under Korean health insurance coverage, good korean speaking ability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y. And als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ollowing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goo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m.; staying years in Korea and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Discussion: Although we see increasing number of female 'marriage based' immigrants in Korea, To our knowledge, little studies concerning the health status of them on a large scale have been done. Our study results reveal that higher education level and higher monthly personal income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etter subjective health status of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in Korea than otherwise. And also, Status under health insurance coverage, good korean speaking ability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y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etter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m than otherwise.
Especially the fact that good korean speaking ability and the decent monthly personal income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goo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m coincides with that their most challenging problems are Korean language barrier and economic hardship in their Korean lives.

In conclusion, to promote the health status of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in Korea the following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by Korean Government and local communities.

The first, a policy to promote Korean speaking ability of female 'marriage based' immigrants in Korea.

The second, a policy to give them job opportunities to promote their economic statuses.
The third, a policy to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various community activities.

The fourth, a policy to make Korean society a discrimination free society against foreigners including female 'marriage based' immigrant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919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54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