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민간의료보험이 암환자 가구의 과부담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태욱

Advisor
권순만
Major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12. 2. 권순만.
Abstract
한국의 건강보험정책은 급여의 대상자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수행되어 왔으며 단기간에 전 국민을 포괄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하지만 낮은 보장성으로 인해 저소득층에게 사회안전망 역할을 해주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으며 정부의 보장성 확대노력은 급증하는 의료비로 인해 큰 진전이 없는 상황에 봉착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각에서는 민간의료보험시장 활성화를 통해 건강보험 재정에 안전을 기하며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민간의료보험에 관한 연구는 가입자의 도덕적 위해(Moral hazard)로 인한 의료비 증가가 있었는지를 분석한 연구와 민간의료보험이 건강보험재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하지만 소득 양극화가 심화되어 가고 있는 사회구조와 저수가-저보장 건강보험체계, 급성장하는 민간의료보험시장을 고려한 현실에 맞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05년 이후 암 산정특례 제도로 보장성이 확대되었으며 대표적 민간의료보험상품인 암 질환을 중심으로 과부담 의료비 개념을 적용하여 민간의료보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자료원으로 2008년 의료패널 자료(베타1.1.1) 및 2009년 상반기 자료(베타1.1.1)를 활용하였다. 2009년 상반기 자료가구 기준 가구 내 암 환자 구성원이 있는 가구를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이전 시점과의 차이 유무를 살펴보기 위하여 2008년 자료를 추가 분석하였다. 2009년 상반기에 조사된 가구 수는 총 6,798가구이며 이 중 암 질환으로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은 경우는 420가구로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관심은 세 가지로 첫째, 민간의료보험가입에 따른 도덕적 위해가 있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민간의료보험가입이 가지는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암 환자가 질환에 노출되기 전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한 경우만 민간의료보험가입으로 고려하여 도덕적 위해 발생 가능성을 줄였다. 두 번째로 가입된 민간의료보험의 개수에 따른 과부담 의료비 발생변화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민간의료보험의 영향을 보다 정확히 살펴보기 위하여 의료비 지출을 의료비와 민간의료보험료를 포함한 뒤 보험사로부터 환급을 받은 금액을 차감함으로서 실제 가구에서 지출된 순의료비로 과부담 의료비 발생 여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한 가구의 경우 과부담 의료비 발생 확률이 미가입 가구에 비해 1.71배 높은 것으로 도덕적 위해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두 번째 민간의료보험 가입개수에 따른 분석에서는 암 환자가 가입한 민간의료보험이 3개 이상이 된 경우 1개 가입자에 비해 과부담 의료비 확률이 0.44배 낮아졌으며 고소득자일수록 민간의료보험 가입이 증가하는 분석을 토대로 민간의료보험이 고소득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 민간의료보험료와 환급금을 고려한 분석 결과 미가입자에 비해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하였으나 환급을 받지 못한 경우 과부담 의료비 확률은 3.04배 높아지고 환급을 받은 경우 0.46배 낮아졌다. 가구소득에서 민간의료보험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며 실제 환급이 이루어질 경우 민간의료보험이 개인단위의 가구경제에는 안전망 역할을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세 가지 모형에서 차상위계층의 과부담 의료비 발생 확률이 의료급여 대상자에 비하여 일괄적으로 높은 결과를 제시한다. 이는 의료급여가구의 미충족 의료에 의한 결과이거나 의료급여대상자의 보장성 확대정책으로 인해 실제 차상위계층이 더 취약할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한데 어떠한 해석이든 저소득층의 보장성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적영역의 건강보험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민간의료보험시장이 확대되고 있다는 것은 개인의 효용수준은 높여줄 수 있으나 사회전체의 효율측면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의료제공자와의 교섭력 측면에서도 국가에 의한 단일계약자인 경우가 우위의 협상권을 가질 수 있다. 만약 민간의료보험재정에 지급되는 재원이 공적영역으로 유입되고 재원이 효율적으로 분배될 수 있는 제도적 안전장치가 마련된다면 개인 수준의 효용이 아닌, 사회전체의 효용을 높이며 사회정의의 원리에 기반을 둔 건강보장제도가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 has been certain level of success on expanding the coverage of the Social Health Insurance to all people in Korea. However, there also has been criticism regarding the shortage of the social safety net, especially for the low-income households. Moreover, efforts of the Korean Government to broaden the benefit coverage are facing obstacles due to rapidly increasing medical costs. Given the situation, there has been voice that this problem could be tackled through stimulating PHI (Private Health Insurance) market.

Currently, the researches regarding PHI are limited to the studies regarding increase in health expenditure due to the moral hazard of enrollees and the effect of PHI on the finances of the social health insur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which reflects the increasing level of polarization of wealth, low medical insurance-low coverage, and rapid growth in PHI market.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PHI on households with cancer patient applying the definition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Cancer is not only a disease that is a major subject of the PHI, but also a disease that reduced deductibles can be appli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Special Cancer Patient Protection Policy in 2005.

The study analysed the Korean Health Panel Data 2008(beta 1.1.1) and first half year part of the Korean Health Panel Data 2009 (beta 1.1.1). Major part of the analysis was based on 2009 data focusing on households with cancer patient, and in order to compare any alteration to prior time the full year data of 2008 were utilized. Out of 6,798 households which participated the survey in the first half year of 2009, 420 households were selected as samples since those households have family members diagnosed with cancer.

The study is composed with three parts. The first part explores the question of if there any effect of moral hazard due to the PHI.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regarding the endogeneity of PHI, the study redefined the meaning of joining the health insurance (only the study considers those who enrolled PHI before diagnosis with cancer) in order to reduce the effect of moral hazard. The second part concerns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caused by the number of PHI products. For the last part, the study has modified the concept of medical cost to a net-medical cost, which is the sum of medical expenditure and PHI fee subtracted by refund in order to predict the effect of PHI more accurately,

The results from the first part of the study depict the fact that households with PHI are 1.71 times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an those without PHI, implying that there exist effects of the moral hazard that induced medical utilization. The findings from the second part of the research indicate that patients with more than three PHI are 0.44 times less likely to be exposed to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an those with only one PHI. Since high income households are more likely to have PHI than low income households based on the descriptive results, this means PHI tends operate in favor of the high income household. Lastly, considering the net-medical cos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ccurred 3.04 times more when having PHI but being exempted for the refund from PHI compare to those without PHI. However, with refund, the odds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ere reduced by 0.46, and this depicts the importance of PHI on income and the fact that PHI protects household from economic crisis caused by excessive medical expenditure.

All three parts of the research have the equivalent result. The odds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ccurs to latent poverty households. It could be explained in different ways, but they have the same implication: social health insurance should protect low-income households and favor policies for them. Due to unmet medical need or results of deductible to low-income bracket, it's not too important matter. The implication is a matter.

There are benefits of PHI on micro-level, but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the whole society based on the social justice, PHI could yield more harmful effects on micro-level. Moreover, while National Social Health Insurance is able to enjoys advantages of a single payer when negotiating with providers, PHI cannot. If the resources of PHI can flow into the National Social Insurance and if there is a system that guarantees efficient distribution of these resources, National Health System of South Korea could be equipped with more durable social safety ne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925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05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