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이 대사증후군 유소견자의 식이 습관 개선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on improvements of dietary habits in subjects with metabolic syndrome-The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sychosocial factors as moderator-
심리사회적 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영배

Advisor
유승현
Major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12. 2. 유승현.
Abstract
본 연구는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이 대사증후군 유소견자의 식이 습관 개선에 미치는 영향과 식이 습관 개선에 심리사회적 요인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40, 50대 성인 대사증후군 유소견자 219명(관리군 125명, 비교군 94명)이며, 관리군-비교군 사전사후 측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은 3개월 간 관리군에게만 제공되었고, 관리군과 비교군 모두 중재 전과 후 설문 조사와 건강 진단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조사는 인구학적 특성, 식이 습관(채소류 섭취, 과일 섭취), 대사증후군 관련 심리사회적 요인 등으로 이루어졌다.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빈도와 백분율, chi-square test, t-test,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남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에서 중재 전과 후 채소류 섭취가 관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과일 섭취가 비교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중재 전과 후 심리사회적 요인은 지식 항목만 남성은 관리군에서, 여성은 관리군과 비교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심리사회적 요인 중 기술이 남성의 중재여부와 채소류 섭취 변화의 영향관계에서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과일과 채소 섭취에 심리사회적 요인이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과일과 채소 섭취의 지속적인 실천을 위해서는 식이 습관과 관련된 심리사회적 요인을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건강한 지역사회 환경을 조성하는 등 생활습관 중재 프로그램의 건강증진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한 보다 포괄적인 차원의 보건정책적 접근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on improvements of dietary habits in subjects with metabolic syndrome and the effects of the psychosocial factors as moderator.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aged 40 to 59 years (N=219) and randomly allocated to intervention group (n=125) and control group (n=94) at baseline.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was provided only to intervention group for three months.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 and physical examina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period from both intervention group and control group. A questionnaire consists of sociodemographics, dietary habits (vegetable intake, fruit intake), metabolic syndrome related knowledge and psychosocial factors.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at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 test, t-test,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by sex,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men but vegetable intake significantly improved in intervention group in women and fruit intake significantly reduced in control group in women. After intervention, only knowledge showed significantly improvement in intervention group in men, both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 in women. Of all psychosocial factors, only the skill was the moderator between intervention effect and vegetable intake change of men. The findings showed that psychosocial factors can influence on fruit and vegetable intake. Also, the results suggest that more extensive approaches of the public health to make health promotion effects of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better such as making healthy community environments as well as understanding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to dietary habit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926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38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