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거꾸로』의 실패한 칩거와 아이러니 : L'avortement de la réclusion et l'ironie dans A rebou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지원

Advisor
이건우
Major
불어불문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2012. 2. 이건우.
Abstract
이 논문은 위스망스의 소설 『거꾸로』에 그려진 칩거의 실패를 현대적 아이러니의 관점에서 독해하려는 시도이다. 은둔처에 이상적 인공 세계를 세우려는 데 제쎙트의 시도가 맞이하는 말로는 우스꽝스러운 풍자와 진지한 비극의 경계에 서 있다. 우리는 이 모호한 아이러니의 근원이 소설의 서술적 장치 이전에 주인공의 현대성에 있다고 본다. 절대와 통일성에 대해 회의하는 현대적 의식은 인간 조건은 물론, 모든 종류의 예술적 표현에서 아이러니의 여지를 발견한다. 데 제쎙트는 이와 같은 현대성을 점차 자각해가는 인물로, 자신의 미적 이상에 스스로 비판의 시선을 가하고, 최종적으로는 칩거의 와해를 자처한다.

1장은 칩거처의 독자적 원리인 인공성의 특질을 분석한다. 보들레르의 신봉자인 주인공에게 현실의 제약은 자연으로 대변되며, 인공은 그것을 거스르는 반-자연에서 출발한다. 유형적인 순서에서부터 무형적인 가치 위계까지, 외부 세계는 오직 반대로 역전되는 한에서만 퐁트네 성 내부의 세계로 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꾸로 하기의 역량은 실제와 외양이라는 이원론을 전도시키면서 새로운 지평으로 들어선다. 데 제쎙트는 비루한 실제를 기만하는 아름다운 외양에서 이상으로 가는 길을 발견하고, 퐁트네 성의 사물들을 연극적인 눈속임으로 조작한다. 이러한 작업은 궁극적으로 세상을 주관의 전능한 상상 속으로 환원시키는 보들레르적 인공낙원으로 귀결된다. 반-자연으로서의 인공은 모든 물질로부터 자유로운 초자연으로 나아간다.

2장은 자신 안의 현대성을 묵살하고자 하는 데 제쎙트를 다룬다. 인공이 인간 조건의 초월이라는 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모순을 역설로 융화시키는 시적 순간에 대한 믿음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믿음 그 자체를 의심하는 현대적 의식은 이 역설을 아이러니로 이격한다. 데 제쎙트 역시 스스로의 믿음을 회의한다. 이와 같은 비판적 자기 반성은 주인공의 의식을 둘로 양분하며, 스스로를 대상화하고 조롱하는 반성적 아이러니가 나타난다. 이상을 갈구하는 데 제쎙트는 환상 속에 스스로를 가두고 내적 회의를 부인하려 한다. 하지만 부인하려 하면 할수록, 반성적 아이러니는 끊임없이 고개를 들며 그의 의식을 무한 분열로 몰아간다. 통일성을 지향한 주인공의 의식은 다수성으로 분산되고, 조화로워야 할 칩거처의 세계는 도리어 혼란에 빠진다.

3장은 데 제쎙트에게서 아이러니의 필연성을 직시하고 나아가 긍정하는 아이러니스트의 면모를 탐색한다. 칩거처는 탈물질의 세계로 비추어지지만, 사실상 전권을 쥐고 있는 것은 주인공의 몸이다. 몸은 이상에 대한 내적 회의를 질병으로 실체화하며 칩거생활을 지속할 수 없음을 알린다. 죽음의 위협 앞에서 거울을 꺼내드는 데 제쎙트는 몸의 존재를, 나아가 전락한 이상의 실태를 고통 속에 직시한다. 이는 곧 아이러니의 수긍을 의미하는 것으로, 칩거의 최종적 실패를 부르는 직접적 계기가 된다. 하지만 말라르메의 시를 통해 노래되는 또 다른 거울보기에서, 데 제쎙트는 명증한 자기 인식을 환멸과 함께 더 완전한 이상의 도래를 알리는 매혹적인 것으로 받아들인다. 이는 끊임없이 자신을 쇄신해가는 현대적 아이러니의 힘을 긍정하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볼 때, 『거꾸로』의 결말을 장식하는 묵시록적 외침은 단지 현실 혐오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세상의 잔해 속에서 솟아날 새로운 시작을 요청하는 혁신의 외침, 아이러니스트의 외침이다.

결론에서 우리는 데 제쎙트의 여정을 데카당스 개념의 정체화 과정의 은유로 읽길 시도한다. 데카당스라는 인식은, 최초의 완벽한 창조를 상정한 뒤, 그에 견주어 자신을 이해하는 데에서 비롯된다. 이는 창조를 위해 앞선 이상적 예술을 변질시킬 도리밖에 없는 자기 반성적 현대 예술의 회의과 불안을 표현한다. 하지만 고전의 불변성 대신 혁신의 유동성을 우위에 두게 될 때에 데카당스는 아방가르드라는 이름을 얻는다. 부동의 칩거가 실패할 수밖에 없음을 깨닫고 스스로 그것을 부수는 데 제쎙트의 이야기는 이와 같은 미적 현대성의 만개를 예고한다.
Cette étude est un essai dexpliquer, sous le concept dironie moderne, lavortement du refuge isolé dans À rebours. Le projet de des Esseintes, dont lintention était de construire dans sa maison récluse un monde idéal artificiel, est conduit à un dénouement qui oscille entre une bouffonnerie dérisoire et une tragédie sérieuse. Cette ambigüité de lironie est, plus quun effet de structure narratologique, une représentation de la modernité du héros. La conscience moderne, qui prend comme irrécupérable lidée même de labsolu ou de lunité, perçoit les indices de lironie dans toutes les expressions artistiques, voire dans lexistence humaine. Une telle modernité séveillant en lui, Des Esseintes est voué à prendre une distance critique à son propre idéal, et finit par détruire son refuge lui-même.

La principe sur laquelle fonde la réclusion est lartifice. Des Esseintes, grand admirateur de Baudelaire, envisage la nature comme la réalité délimitée ; faire lartifice, cest tout dabord sopposer directement à elle. Le monde extérieur ne peut entrer dans le monde de Fontenay quen tant que renversé. Cette « re-broussement » à la lettre, soit de lordre physique, soit de lhiérarchie métaphysique, acquiert une capacité élevée en intervertissant léchelle des valeurs impliquées dans le dualisme de lêtre et le paraître. Le paraître étant la belle illusion qui dissimule lêtre cru et hideux, le héros manipule la surface apparente des objets, les transforme en trompe-loeil. Lartifice sachève finalement par le paradis artificiel baudelairien où le monde entièr est tout réduit à limagination du sujet. Lanti-nature avance vers la surnature.

La puissance de lartifice, qui redresse lartiste au-dessus de la condition ironique de lhomme, est générée exclusivement par la foi sur le moment poétique où se concilient les contraires sous une forme de paradoxe. Le manque de foi qui caractérise la conscience moderne disjoint cette paradoxe en deux, en ironie une fois de plus. Cest ce quil arrive à Des Esseintes, se défiant de foi et par conséquent de soi-même qui tente de croire. Cette auto-réflexion condamne la conscience du héros à une dédoublement, et lironie devient réflexive : le héros est joué par son propre jeu. Lhomme moderne malgré lui, idéaliste déchu, Des Esseintes sobstine en vain à rester ignorant des doutes intérieurs ; plus il les réprime, plus ils prolifèrent ; reste seulement sa conscience indéfiniment morcelée par une auto-réflexion effrénée. Lunité souhaitée se disperse en pluralité, le prétendu cosmos qui est son ermitage se révèle en réalité un chaos.

Sous cet aspect marquant de lanti-ironiste, se trouve un ironiste qui constate, voire désire lironie démantelante. Ce qui règne le soi-disant abri de nature, est paradoxalement le corps de Des Esseintes. Son corps manifeste le scepticisme interne en manière de maladie intense, signalant expressément que la réclusion nest plus tenable. Menacé par la mort corporelle imminente, Des Esseintes se dresse devant le miroir, et celui-ci lui reflète brutalement la présence de son corps jusqualors déniée et son idéal irrémédiablement chuté. Cependant, au contraire de cette horreur que produit le miroir réel, un autre miroir autocritique, évoqué dans la poésie de Mallarmé, le rend fasciné, faisant allusion dun nouvel idéal plus sublimé qui arrivra après le désabusement. Cette fascination est un témoignage de son affirmation de lironie moderne, lironie qui renouvelle lidéal sans fin ni cesse. Le cri apocalyptique final serait donc, par-delà celui dun misanthrope pessimiste, lappel dun ironiste à un commencement à venir, surgissant sous les débris de lancien monde.

Ce parcours de Des Esseintes pourrait être compris comme métaphore de létablissement du concept de la décadence. Quand la création trop parfaite paraît préexistante, et on ne peut se considérer que par rapport à elle, on sidentifie comme décadent. Nayant aucune possibilité de créer sans détériorer quelque idéal antérieur, des artistes postérieurs se sont engouffrés dans langoisse et la détresse dêtre trop tard ; telle est la condition inévitable à laquelle nous soumet lautonomie de lart moderne. Cependant, du moment où limmuabilité du canon cède son place de vertu esthétique à la nouveauté révolutionnaire, la décadence se débaptise comme avant-garde. Des Esseintes, qui se rend compte de lirréalisabilité dun monde artistique immuable, quoique amèrement, annonce lépanouissement de cette modernité esthétiqu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965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83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