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인천시 수변지역의 공간특성과 내부공간구조 분석 : Analysis of the Spatial Character and Structure of Waterfront in Inche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홍유진

Advisor
신정엽
Major
사회교육과(지리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교육과(지리전공), 2012. 2. 신정엽.
Abstract
국문초록

오래전부터 해안 도시 수변지역(waterfront)은 인간의 도시 생활에 있어 매우 중요한 경제적ㆍ사회적 기반이 되어왔다. 특히 수변의 기능적 장점이 물리적으로 발현된 항만(port)은 도시의 성장점으로서 20세기 중반까지 도시의 성장을 주도해 왔다. 항만의 영향으로 수변지역에는 대규모 제조업지대가 형성되었고 철도, 도로 등의 교통망이 항만을 향해 놓였으며, 해상 운수업, 제조업, 항만 관련 서비스업 등의 고용이 집중 되었다. 또한 블루칼라 노동자들과 선원들을 중심으로 한 독특한 수변지역 커뮤니티는 전통적 수변지역의 대표적인 특징이 되었다. 하지만 오늘날의 해안 도시 수변지역은 항만 이외의 다양한 프로세스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변화를 거듭하게 되었다. 항만과 도시의 상호작용의 방향과 크기가 변화하였으며, 21세기 세계화의 큰 흐름은 수변지역에 대해 전통적 항만지역으로부터 탈피한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였다. 또한 세계화에 대한 대응으로서 정부의 전략적 수변지역 개발과 포스트모더니즘적인 도시계획은 해안 도시 수변지역의 공간패턴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인천은 이러한 맥락에서 전통적 수변지역의 공간 특성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현재 세계적인 수변지역의 변화 프로세스들이 공간적으로 발현된 패턴을 확인하기에 매우 적합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천시 수변지역에 대해 비수변지역과 구별되는 공간특성을 파악하고 수변지역 내부에 존재하는 기능지역들을 파악함으로써 종합적으로 인천 수변지역의 공간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인구측면, 산업ㆍ경제적 측면, 토지이용측면에서 이루어졌으며 특히 이들의 최근의 변화에도 주목하였다.
그 결과 수변지역은 비수변지역에 비해 도시개발밀도가 낮았으며 운수업과 제조업의 고용 비율이 매우 높고, 시가지 중 교통지역과 공업지역, 공공시설지역의 면적이 넓었다. 특히 기타나지의 비율이 높은 것은 수변지역에서 개발이 진행 또는 예정되어 있는 지역이 많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수변지역 내부에는 상이한 기능을 가진 세부 기능지역이 존재하였는데, 크게 항만 기능지역(인천항과 항만주변 점이지역), 제조업 기능지역, 공항 기능지역, 복합 기능지역 및 주거 기능지역으로 유형화되었다. 이들 세부 기능지역들은 수변이라는 같은 위치적 특성을 갖고 있으나 인천의 급속한 도시성장 과정,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세계도시로 거듭나고자 하는 중앙 및 지방 정부의 노력, 시기별로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규모 매립형태의 도시개발 방식 등으로 나타난 것이다. 또한 인천 구도심지역의 재생 또는 재개발과, 신규개발지의 개발 내용은 공간적 다양성과 개성을 추구하는 포스트모더니즘에도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도시지리학 분야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던 해안 도시 수변지역의 공간특성을 밝히고 세부 기능지역을 유형화함으로써 인천 수변지역의 공간구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하지만 인천 외의 다른 해안 대도시들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하고 세부적인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기법의 정교화를 통해 좀 더 명확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From long time ago, the urban coastal waterfront area provided important economic & social base for human urban living. Especially, the port as being a physical manifestation of functional merit of waterfront has led to the growth of cities until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being a growth point of cities. Due to influence of port, large manufacturing zone was formed waterfront area, transportation networks such as railroad, and road were constructed directing to port, and employment was concentrated to the areas for marine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ies, port related services etc. And the unique community of waterfront area on the basis of blue collar labor and sailor became traditional typical feature of waterfront. However, todays coastal cities waterfront area has experienced continuous changes through influences from various processes other than being a port. The magnitude of direction and size of interaction between port and city has been changed, and the major stream of globalization of 21 century has imposed waterfront area renewed role different from that of traditional port area. Also the strategic waterfront development by the government in response to globalization as well as post-modern urban planning has changed totally the spatial pattern of waterfront of coastal cities.
In this context, Incheon is a very proper city to verify the manifested spatial pattern in connection with current global waterfront area changing process while maintains traditional spatial characteristics of waterfront area.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comprehensively spatial structure of Incheon waterfront area through verifica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waterfront area contrasting to non-waterfront area of Incheon city, and to verify functional area exists interior waterfront area. This analysis was conducted in terms of population, industry, economy, land utilization perspectives, and attention was paid to their changes as wel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aterfront area indicated lower Urban Development Density compare to non-waterfront area, and indicated high employment ratio in transportation and manufacturing businesses, and had wide area for traffic, industry, public facilities among city area. Specially, there indicated higher bare land ratio which represents there have many areas where development is under process or planned in the waterfront area.
Second, Interior Incheon's waterfront area existed detailed functional areas with different functions classified mainly, Incheon port, around port area, waterfront manufacturing area, Air port area (gate function area), Multi-functional area and residential area. Though such detail functional areas have common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front area, but it has been represented through various undertakings such as rapid Urban growth, and efforts of central & local government for rebirth of global city in the stream of globalization of Incheon city, and the city development method of large reclamation to achieve certain objective in terms of respective period etc. Also, the details of old down town regeneration or re-development, or development of new area indicated to have influenced from post-modernism seeking Spatial diversity and Individual Character.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to have analyzed comprehensively the spatial structure of Incheon waterfront area through verifica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stal city waterfront area and classification of specific functional area that has been treated roughly so far in the field of Urban Geography. However, additional researches for other costal cities other than Incheon has to be implemented which more precision analysis for which it requires various detailed data collection as well as precision analysis techniqu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978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11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