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장소성 재생을 위한 미디어 공간 설계 방법에 관한 연구-모바일 미디어를 중심으로- : Designing Media Space with Mobile Media for Regenerating the Sense of Pla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영석

Advisor
배정한
Major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생태조경학)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생태조경학), 2012. 2. 배정한.
Abstract
현대 도시에서 장소는 그 의미를 상실하고 있다. 장소의 겉모습뿐 아니라 분위기마저 비슷해져 촉각이 없는 경험 밖에 주지 못할 만큼 정체성이 약해지는 무장소성(placelessness)과 장소의 관계·역사·정체성이 결여되어 개인은 오로지 매개된 실재를 경험하는 비장소(non-place)가 만연하고 있다. 공간을 다루는 많은 분야에서 이러한 공간적 문제를 쇄신하려는 설계 프로젝트와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물리적 환경의 조성만으로 이와 같은 현상을 극복하는 데에는 많은 한계를 보여왔다.
3세대 무선 통신망과 같은 정보 인프라스트럭처의 구축, 휴대용 전자 기기의 발달, 휴대전화의 대중화는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양식과 공간 인식의 범주를 변화시켰다. 특히 모바일 미디어는 기존의 미디어를 개선·개조하는 재매개(remediation)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현실 세계에서 사회적인 인터랙션을 발생시키고, 장소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거나 이를 발생시킬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 된다. 또한 미디어 아티스트들은 이러한 모바일 미디어의 가능성을 활용하여 장소의 재구성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미디어 공간의 설계를 통해 비장소와 무장소의 극복을 시도한다. 미디어 공간 설계는 가상 공간과 물리적 환경의 공간적 배열을 근간으로 하며, 이를 통해 장소성의 재생 즉 비장소와 무장소로 인해 단절되고 파편화된 장소성의 재연결과 누적을 시도한다. 특히 미디어 공간 설계를 기존의 환경 계획 및 설계 과정에 적용하고, 대상지에 대해 도출한 미디어 공간 프로그램을 공간 경험 시나리오로 표현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소는 인간이 공간을 경험하는 매개이고, 인간은 감각을 통해 장소를 인식한다. 장소성은 이 감각을 통한 경험이 의미를 형성하게 되면서 장소에 대한 구체적인 현실성을 생성한 것이다. 또한 신체 감각을 공간 인식과 경험의 원초적 미디어라고 할 때, 재매개의 측면에서 모바일 미디어는 확장된 감각기로서 장소의 인식(장소감)을 고양하고 새로운 공간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2. 모바일 미디어를 활용하여 장소를 재구성한 미디어 아트 작품들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특성을 보인다.
첫째, 모바일 미디어는 시청각을 통한 입체적 경험을 제공한다. 모바일 미디어를 통해 수집한 공간의 시청각적 정보를 활용하여 도시에서 벌어지는 진부하고 일상적인 감각의 산물을 참여자의 움직임과 주위 환경에 따라 재혼합하여 새로운 공간 경험을 제공한다.
둘째, 모바일 미디어는 도시의 광역적 이해를 증진한다. 모바일 미디어는 현재 이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자기중심의 정보를 제공하면서 인간 척도에서 감지하기 어려운 넓은 지역에 대한 공간을 인식하게 한다. 이로 인해 개인이 인식하고 경험하는 스케일이 광역화되고, 자신의 위치 정보로부터 공간의 정보가 발생하고 재가공 되는 인식의 발판을 마련한다.
셋째, 모바일 미디어는 일상을 아카이빙할 수 있게 한다. 모바일 미디어를 통해 개인의 경험과 지역에 관한 기억을 물리적 공간에 직접 작성하고 기록 가능하게 한다. 특정 공간에서 발생하는 개인의 일상적인 사건과 경험들을 동시대에 같은 공간을 영위하는 커뮤니티와 공유하면서 장소 자체를 미디어화한다.
넷째, 모바일 미디어는 인간과 공간의 유희적 인터페이스이다. 이 유형의 작품들에서 플레이어는 물리적 공간(도시)을 뛰어다니며 가상 공간의 미션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플레이어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 공간을 포함한 새로운 공간 경험, 즉 확장된 장소감을 느끼게 된다. 이는 인간이 인식하는 공간의 범주를 물리적 공간뿐 아니라 가상 공간까지 확장하게 된다.
3. 미디어 공간 계획을 기존의 환경 계획 과정에서 다루는 하위 계획의 하나로 상정하고 미디어 공간 프로그램을 도출한다. 대상지 분석을 토대로 물리적 공간을 조작하는 외부 공간 계획을 작성하고, 미디어 공간을 구상하여 미디어 공간 프로그램을 가상 공간에 구현한다. 또한 미디어 공간 계획의 하위 단계로서 도입 프로그램의 도출-스마트 오브젝트 구상-미디어 공간 프로그램의 대안 선정을 진행한다. 이와 같은 미디어 공간 설계는 대상지의 물리적 공간을 다루는 외부 공간 계획과 미디어 공간 프로그램을 통한 공간 경험의 메커니즘을 동시에 시각화하는 공간 경험 시나리오가 적합하다.
Place has lost its meaning in contemporary urban areas. This phenomenon spreads out two aspects of placelessness and non-place. There were a lot of design projects and studies to revive from spatial ills in field of manipulating space. However there is a limit to overcome these spatial ills through creating physical environments.
In addition to several things, construction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advancement of mobile device and popularization of mobile phone have changed the personal mode of communication and the range of space recognition. Particularly, mobile media creates social interaction in various ways and opportunities to recognize relation between place and person, by remediation: a process of improving and remedying past media. Media artists try to reconstitute place by these possibilities of mobile media.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 phenomenon of placelessness and non-place through media space design. It is based on the arrangement of physical environment and virtual space. It also tries to reconnect and cumulate the placeness of which the meaning had been fragmented. Especially, media space design applies to the existing process of environment planning, and then visualizing media space program derived from space experience scenari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lace is a media of experiencing space to human, and human recognizes place by sensation. As physical sensation is a basic media of recognizing and experiencing space, mobile media enhances the sense of place and enables to new experience of space.
2. Through a consideration of media artists works, it becomes clear that specific features for reconstruction of place by mobile media consists of the following four parts. The first is that mobile media offers three-dimensional experience by visual and auditory senses. The second aspect of these features is that mobile media promotes a wide-areal understanding. The third issue is that mobile media enables archiving everyday lives. The final aspect is that mobile media can be an amusement interface between human and space.
3. Media space design derived media space program from the process of environment planning that media space design premise as subordinate to environment plan. Considering physical space to manipulating outdoor space and exploring virtual space to realizing media space program are based on the site analysis. Particularly, media space design involves following process "selecting spatial programs - drawing smart objects - choosing alternatives of media space program. Media space design has two spatial points: physical space applied to outdoor space plan and virtual space realized to media space program. Based on these two points space experience scenario can visualize space experience and mechanism of media space program simultaneousl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064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738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