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문명화 사명과 선교에 대한 영국인 관리들의 태도 : British Officials' Attitude Towards the Civilizing Mission and Christian Mission
19세기 중엽 인도 마드라스 관구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동혁

Advisor
박지향
Major
서양사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서양사학과, 2012. 2. 박지향.
Abstract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19세기 중엽, 인도 마드라스 관구(Madras Presidency)의 영국인 관리들이 인도인들에게 주입시키려 한 문명과 기독교의 관계를 새롭게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지금까지 인도를 통치했던 식민지 관리들은 중립적 태도로 인도의 문명화를 추구한 단일한 집단으로 여겨졌다. 기존 연구들은 관리들과 선교사들이 인도의 근대화라는 공통된 관심을 가졌을 뿐이라고 주장하며 관리들의 종교적 태도와 그것이 인도 사회에 끼친 영향에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나 관리들은 중립적 태도를 지닌 단순한 하나의 집단이 아니었다. 그들은 종교적 열성에 따라 세 부류로 나누어졌고, 그 중 대다수를 차지한 두 번째 부류의 관리들은 공적으로 본국 정부의 종교 중립 정책을 따라 중립을 지키는 동시에 사적으로는 인도의 기독교화를 위해 선교사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한 사람들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선교에 대한 식민지 관리들의 이중적 태도가 인도인 엘리트들의 반발과 그에 따른 제국의 불안정을 초래했음을 주장한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본문에서는 1857년 인도봉기 전후 변화되는 관리들의 모습과 인도인 엘리트들의 반응을 밝히는 데 집중하였다. 영국 동인도회사가 1813년의 특허장 개정을 통해 선교사들의 활동을 허락한 이후 식민지 정부와 선교사들의 관계는 점차 가까워졌다. 관리들은 영어교육의 도입, 노예제 폐지와 같은 개혁적 성격의 정책들을 선교사들과 협의하여 결정하였고, 결과적으로 그러한 개혁 조치들은 카스트 제도에 기반을 둔 인도 엘리트들의 전통적 권위를 약화시켰다. 또한 관리들은 개인적 신념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선교사들을 물심양면으로 후원하였다.
1857년 발생한 인도봉기는 표면 아래 감추어져 있던 통치의 불안정이 표출된 사건이었다. 인도인들의 반란을 접한 영국인들은 충격에 빠졌고 정부가 추진하던 개혁 정책은 이제 변화를 요구받았다. 비록 상당수의 복음주의자들은 인도에서의 재난이 인도의 기독교화에 소극적이던 정부에 대한 신의 심판이라 주장하며 선교에 대한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지원을 요구했지만, 본국 정부와 식민지 관리들은 기존의 개혁 조치들이 인도인들의 종교와 관습을 침해하여 인도 통치를 불안정하게 한 원인이었음을 인정하였다. 빅토리아 여왕은 선언문을 발표하며 보다 엄격한 종교 중립 정책을 약속하였고, 인도 정부의 관리들 역시 원주민들의 오해를 살 수 있는 개혁들을 삼가며 국가 관리로서의 정체성을 보다 확고히 가지려 노력하였다.
그렇지만 마드라스 관구의 관리들은 인도봉기 이후에도 변화되지 않았다. 인도봉기의 충격이 휩쓴 북부 지역과 달리 남부의 마드라스 관구는 평화를 유지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마드라스의 고위직 관리들은 이 지역에서 활동하던 선교사들의 적극적인 선교사업과 상대적으로 많은 인도인 개종자들의 존재가 제국의 안정에 기여했다고 믿었다. 이에 따라 마드라스의 관리들은 1813년 이전의 철저한 중립 정책으로 돌아가려는 본국 정부의 의도에 반(反)하여 지속적인 개혁을 추구하였다. 결국, 관리들의 문명화 사명과 종교적 열정은 인도 사회를 지배하고 있던 인도인 엘리트들과의 갈등을 유발하였고 틴네벨리와 트라방코르 소요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인도인 엘리트들은 관리들이 개혁이란 이름으로 힌두교를 탄압한다고 이해한 것이다.
인도인 엘리트들의 불만은 마드라스 원주민 협회(Madras Native Association)를 통해 표출되었다. 그들은 틴네벨리 소요가 불공정하게 처리되는 현실을 목격하며 관리들이 선교사들을 돕고 있다고 확신하였다. 마드라스 원주민 협회는 본국 정부에 청원서를 보내 전통 관습에 대한 탄압과 교육 정책 문제에 있어 관리들의 불공정한 행태를 비난하며 즉각적인 시정을 요구하였다. 하지만 마드라스의 고위직 관리들은 인도인 엘리트들의 비판이 오해에 불과할 뿐이라고 해명하며 자신들이 공정하게 행동했음을 주장하였다. 중립을 지키려한 관리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선교에 대한 개인적 후원과 적극적인 개혁 시도가 인도인 엘리트들의 오해와 편견을 만들어냈던 것이다.
표면적으로 마드라스 원주민 협회의 청원은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처럼 보였지만 현실은 변화된 상황을 받아들이고 있었다. 먼저 본국과 인도 정부의 관리들은 일부 복음주의자들의 불만에도 불구하고 1813년 이전의 철저한 종교 중립 정책으로 돌아가려 노력하였다. 정부 학교의 교과서로 성경을 도입하려던 복음주의자들의 요구는 거부되었고, 선교사 학교에 편중되어 지급되던 교육 보조금 역시 점차 균형을 이루어갔다. 또한 1859년 3월에 마드라스 관구의 총독으로 부임한 찰스 트리벨리언(Charles Trevelyan)은 인도인들의 종교적 감성을 잘 이해하여 그들의 전통 종교를 자극하지 않으려 노력하는 동시에 앞선 두 소요를 일으킨 자들에게 관용을 베풀어 인도인 엘리트들의 불만을 크게 누그러뜨렸다.
많은 수의 식민지 관리들은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달리 인도의 기독교화를 자신들에게 주어진 소명으로 믿었고, 그들의 친선교사적 태도는 제국의 안정을 위협한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물론 그들은 공적인 자리에서 관리로서의 중립을 지키려 노력하였고, 그 노력은 문명화와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표현되었다. 그렇지만 인도인 엘리트들은 관리들이 사적으로 선교사들을 후원하는 모습을 보고 그들이 추구한 개혁이 자신들을 기독교화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오해하였던 것이다. 관리들의 이러한 이중적 태도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관리들이 인도인들에게 주입하려 한 문명화 사명과 기독교 선교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영제국과 기독교의 상호관계를 새롭게 이해하는 데에도 유용할 것이다.
British Officials' Attitude Towards the Civilizing Mission and Christian Mission

This article is to study new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vilization and the Christianity that British officials in Madras Presidency India attempted to spread to Indian People in the middle of 19th century. To date, the British officials ruled colonial India has been regarded as an unique group pursued to spread civilization of India with neutral attitude.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it claimed both British officials and missionaries only had common interest in modernization of India as such they were paid not much attention to the religious attitude of government officials. However, those officials were not a simple group with neutral attitude.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religious fervor, among which the second group that shares majority officially observed neutrality in accordance with the religious neutrality policy of home country but at the same time they were the group privately provided active support to missionaries for Christianization of India.
In this article, it claims that the dual attitude of officials toward Christian mission caused opposition from Indian elite group as well as subsequent instability of the colonial empire. To support this argument, in this article an emphasis was placed to highlight the attitude change of British officials and response of Indian elites of pre & post Indian uprising 1857. Since activity of missionaries was allowed through revision of charter in 1813 by East India Company,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nial government and missionaries became close gradually. The officials set up the reformative polici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and the abolition of slavery system in cooperation with missionaries. Accordingly, these reforms weakened the power of Indian elites that were based on the caste system. And those officials supported missionaries materially and spiritually insisting on their personal belief.
Indian uprising in 1857 was an event of exposure of governance instability hidden beneath the surface. Britishes were shocked upon faced with Indian revolt, thus the reform policy processed by the govt were requested to be changed. Although, many evangelists strongly insisted on the government more active support to the missionaries on the ground of the belief that the calamity of India was a divine judgment against governments passive attitude for Christianization, but the home government and colonial officials acknowledged the fact that the reformative policies infringing Indian religion and custom made the governance of India unstable. Queen Victoria promised more strict religious neutrality through announcement of the proclamation, and Indian officials as well refrained themselves from reforms which could buy misunderstanding from native Indians and tried to have firm identity as a government official.
However, the officials of Madras Presidency did not change even after the Uprising in 1857. That was because the Madras Presidency in the southern region could maintain stability contrary to the Northern area that swept the shock of Indian uprising. Above all, those high ranking officials in the Madras Presidency believed that the active missionary activities in this region as well as the existence of relatively higher number of Indian converts contributed to the stability of empire. According to this belief, the Madras officials pursued reform persistently against the intention of the home government returning to before 1813. After all, the civilizing mission and religious fervor of British officials brought about tensions with Indian elites who governed Indian society, and eventually being expressed as the Tinnevelly and the Travancore disturbances. Most Indian elites understood govt officials oppress Hinduism in the name of reform.
The grievance of Indian elites was revealed by the Madras Native Association. They witnessed the unfair treatment of Tinnevelly disturbance, and they assured that the officials had helped missionaries. Madras Native Association sent a petition to the home government, in which they criticized unfair behaviors of British officials and requested immediate correction with regard to the oppression to traditional culture and problem of educational policy. However, the high ranking officials in Madras Presidency claimed that they behave fairly by explaining the criticism of Indian elite was merely based on misunderstanding. Despite effort of govt officials to stand neutrality, private support for missionary and active trial of reform created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to Indian elites.
Superficially, the petition of Madras Native Association seemed not to be accepted, but in reality the changed circumstance was being accepted. Firstly, home country and the officials of Indian government tried to return to strict religious neutrality policy before 1813 despite evangelists complaints. Evangelists request to introduce Bible as textbook of governmental school was declined and the subsidy paid in favor of missionary school became balanced gradually. Moreover, the new governor of the Madras Presidency Charles Trevelyan posted in March 1859, understood the religious feeling of Indians, and tried not to provoke their traditional religion and gave clemency to the rioters of two previous riots to appeased Indian elites' anger.
Unlike to be known previously, many colonial officials believed Christianization of India was their mission, and their pro-missionary attitude served as a decisive factor threaten the stability of Empi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officials endeavored to observe neutrality in public as government administrators, and its efforts were expressed in the name of civilizing and reform. Nevertheless, Indian elites misconstrued reforms as a strategy to christianizing Indians due to officials' supporting missionaries privately. Finally,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dual attitude of colonial officials will not only provide help in figur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lizing mission of govt officials and missionaries but also to be useful to comprehend interrelationship between British Empire and Christianit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068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899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