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명화의 차용을 통한 일상의 재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Daily Life through Appropriation of Masterpieces
본인의 회화 작품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운성-
dc.contributor.author김성국-
dc.date.accessioned2019-06-25T15:56:03Z-
dc.date.available2019-06-25T15:56:03Z-
dc.date.issued2012-02-
dc.identifier.other00000000044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50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446-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서양화과, 2012. 2. 한운성.-
dc.description.abstract일상 속에서 한 인간은 자율적인 사유를 통해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를 지속한다. 개인은 타인과의 의사소통과 적절한 자기노출로 인해 역으로 자신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성숙하게 된다. 하지만 산업화와 대중 매체의 발달은 이러한 관계 형성을 어렵게 만들었다. 또한 일상은 하루하루의 생활들이 뇌에 기억되어 축적됨으로써 만들어지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사람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망각하거나 왜곡하여 결국 일상에 대한 일정부분의 기억을 잃어버린다. 타인과의 관계와 기억의 작용은 본인이 재현하는 일상 이미지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개인의 일상이 회화의 주제로 처음 다루어진 것은 17세기 이후 네덜란드에서였다. 이 당시의 네덜란드 회화는 전통적인 소재에서 미를 찾는 이탈리아 회화와 달리 일상의 모습에서 미를 부각시켰다. 이것은 청소하는 여성이 고대 신화의 영웅이 있던 자리를 대체한 것으로써, 일상의 평범한 장면을 차용을 통하여 부각시키는 본인 작업의 주제와 연관성을 가진다.
19세기 이후 산업화로 인한 감수성 발달의 저하는 소외 현상을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감정의 상태는 본인의 일상에서도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영향은 일상의 장면을 사진으로 촬영한 후 영속적인 장면으로 박제화하는 기록적 성향의 작업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기록적 성향의 작업은 자신에게 의미 있는 일상을 그려서 소유하는 행위를 통한 일시적인 위안으로 작용하였다. 이후 명화의 차용은 본인의 작업에서 보여지는 일상의 단면이나 의미를 확장시켜 줄 수 있는 계기가 되면서도, 또한 관객과의 소통을 위한 관계의 창이 될 수 있었다.
미술사에서 차용은 이데올로기 비판, 해체주의 전략, 예술의 미적 강조, 표현 수단 등으로 다양하게 쓰인다. 1900년 전후에 많은 작가들에게서 차용이 활용되어 주목 받았지만 차용은 르네상스 시대에도 중요한 작품 제작 수단으로 사용되는 방법이었다. 1960년대 이후 미국 미술에서 차용은 모더니즘과 사회 체제에 대한 비판적 성향을 가졌지만, 1980년대 이탈리아의 트랜스 아방가르드 작가들은 이와는 무관하면서도 다양한 성향의 작품을 그들의 역사와 신화를 차용하여 제작하였다.
서양 명화를 차용하는 이유로는 일상의 단면이나 의미를 확장하기 위한 수단, 고전 명화 속 세계관과의 비교를 통한 본인의 시대 인식 표현, 유화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본인의 사실적 재현과 어울리는 명화의 표현과 재질감 등을 들 수 있다. 본인의 작업은 현실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하는 일상 속 인물, 현상들을 차용을 통하여 드러내고 그 의미를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특정한 장소, 사건, 인물이 강조되는 과거 작품 이미지들의 부분이나 전체 혹은 기존 과거 작품 이미지에 본인의 상상을 더하여 만들어낸 것을 현실의 일상 이미지와 비교하거나 대조,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이미지를 차용할 때 고려되는 사항으로는 기존의 작품이 그려진 배경이나 내용, 구도와 함께 이후 세대에 의한 평가와 시대성 등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차용된 이미지들은 본인 주위의 문화, 환경, 사고 등을 나타내는 현실의 이미지들과 특수한 조건(형태, 구도, 색감, 현재의 관점이나 인식 등) 아래 캔버스 안에서 상호간에 반응한다.
작업 과정에서 연출된 사진을 찍은 후 유화로 다시 재현하는 이유는 두 매체의 상이한 특성 때문이다. 사진의 결과물은 인화 과정에서 우연적인 측면이 강조되지만 유화는 화면을 천천히 그리면서도 수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작가의 개성, 표현력, 표현 의도를 관객에게 충실히 전달할 수 있는 시간과 여건을 제공한다. 일상의 장면에 대한 일종의 증거 자료로써 사진 이미지를 제작 과정에서 자료로 활용하지만, 현실과 과거의 이미지를 이질감 없이 회화적인 느낌으로 한 화면에 묘사해야 하는 본인의 작업에 적합한 표현 매체는 유화라고 생각한다.
본인의 작업에서 두드러지는 표현상의 특징은 일상의 장면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보여주지만, 관객에게 실제 일상과는 다른 이질적인 느낌을 준다는 점이다. 브레히트의 말을 빌려 이를 생소화 효과라고 부르는데 이를 위한 형식적 특징으로는 명화 이미지의 차용, 연극적 무대 이미지, 화면 내 소품의 제한적 사용, 색의 강조가 있다. 이러한 생소화 효과는 수동적인 관객을 예민한 관찰력을 가지고 세상의 발전 과정에 참여하는 능동적인 관객으로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일상의 모습과 의미 그리고 더 이상적인 일상 속 관계를 찾는 과정으로 일상 이미지와 서양 명화 이미지가 본인의 작품에서 어떠한 의미와 형태로 화면에서 제시되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결과물이 관객에게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작업의 형식적 특징들로 유화의 특성이나 생소화 효과를 분석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일상의 새로운 의미와 일상 속 이상적 관계의 기준을 찾는 과정을 끊임없이 지속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dc.description.abstractA man continues a relationship with another for autonomous reasons on a daily basis. An individual observes oneself and matures via communication with the others and the appropriate exposure of the self. However, industrialization and growth of mass media have made these types of relationships difficult to form. Moreover daily life is an abstract idea resulted from accumulated memories of everyday routines; people neglect and skew them as time passes and ultimately lose a part of the memories.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operation of memory are crucial factors that make up the author's representation of daily life.
It was in the Netherlands after the 17th century where an individual's daily activities appeared as a motif in paintings. Unlike the Italian paintings, which found beauty within traditional subject matter, Dutch paintings acclaimed beauty within ordinary life. A woman cleaning her house substituted a hero of the classic myths; this relates to the author's artwork, which borrows ordinary scenes of common life.
The decline in sensitivity after industrialization in the 19th century caused 'alienation.' Such emotional state also surfaced in the author's life, leading to the archival process of photographing a routinal scene and freezing it into an eternal landscape. Such archival quality in the work acted as only temporary satisfaction through painting and owning the daily life. Moreover, appropriation of masterpieces became an opportunity to expand a section of daily activities and its meanings, as well as the 'window of relationship' for communicating with the viewers.
Appropriation in art history is used in diverse situations such as criticism of an ideology, de-constructivist strategies, emphasis and expression of artistic aesthetics, etc. Briefly before and after 1900, many artists were using the technique, but appropriation was also a crucial one during the Renaissance. After 1960, appropriation in American art had critical tendencies towards Modernism and social systems but the 1980s Italian trans-avantgarde artists produced diverse works appropriating their history and myths, irrelevant to such critical standing.
The reasons for appropriating Western masterpieces is to augment simple daily activities and their meanings, to express the author's own consciousness of the times by comparing it with the original paintings time period, and to make use of the masterpieces' physical qualities such as texture as the author's main medium is oil paint. The author's artwork reveals the unrecognized characters and situations in daily life through appropriation and scrutinize their meanings.
A part or a whole of the past masterpieces emphasizing specific space, events, and characters, or the work of the past fabricated by the author is compared and contrasted through the juxtaposition with the contemporary daily imageries. When appropriating an image, the considered factors are: background,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original work alongside with certain evaluation of the generation and sense of the time period. The contemporary images revealing the author's culture, environment and ways of thinking and specific conditions (form, composition, color scheme, and the current point of view and awareness, etc) induce the appropriated images to mutually react with each other on canvas.
The author re-enacts in oil paint after photographing the choreographed scenery because of the eclectic characteristics of two media. The result of photographs emphasizes the fortuitous aspect in the developing process but with oil paint, one cannot only regulate the speed of drawing, but also edit later. It provides enough time and room for the artist's individuality, expressiveness and intentions to be truly delivered. The author uses photographs as a type of evidence for the scenes they captured. But oil paint is more suitable for the authors work, which portrays the present and the past without a sense of estrangement in one image.
A unique aspect in the authors expression is that although a moment in daily life is realistically depicted, the viewers still feel alienated from it. This is called 'distancing effect,' a term coined by Brecht, which is formally alluded by appropriation of masterpieces, images of theatrical stages, limitation in the usage of props, emphasis on the colors, etc. The 'distancing effect' is to convert passive viewers to active viewers who effectively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the world with keen observation.
This dissertation will look into how daily imagery and Western master paintings suggest meaning and form in the process finding multifarious outlook of daily life and meanings and more ideal relationship within everyday life in the author's artworks, as well as what this results in the viewers. It will also discuss the formal attributes of the works within the context of oil painting's characteristics and the 'distancing effect.' Such research's purpose is to continuously seek for novel meanings in daily activities and the standards in having an ideal relationship within everyday life.
-
dc.format.extentiv, 64p-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59.94-
dc.title명화의 차용을 통한 일상의 재현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Daily Life through Appropriation of Masterpiece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Sung-Kook-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서양화과-
dc.date.awarded2012-02-
dc.title.subtitle본인의 회화 작품을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서양화과-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06▲000000000011▲00000000044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