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언론사 공신력과 기사 정보량이 루머 댓글 읽기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두 가지 설명 모형
설득효과모형 대 의제설정모형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영지

Advisor
박승관
Major
언론정보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언론정보학과, 2012. 2. 박승관.
Abstract
사람들은 인터넷을 통해 수많은 정보를 접한다. 그 중 하나의 경로는 포털을 통해 온라인 뉴스 기사를 읽는 것이다. 이 때, 사람들은 언론사 기사라는 공식적인 성격의 정보와 함께, 댓글란을 통해 비 공식적인 정보를 접하게 된다. 이러한 댓글은 때론 공식적인 출처가 부재하면서, 공식적인 기사와 반대되는 내용을 가진 루머를 포함하기도 한다. 과거 루머가 주위 사람들에 통해 관련 관심을 두는 사건들에 대해서 구전으로 전해졌다면, 이제 루머는 별다른 사전 정보나 노력 없이도 온라인 상에서 언제 어디서든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기사와 댓글이 루머의 전파지로 지목받아왔지만, 실제 이러한 환경에서 루머가 어떤 방식으로 수용자에게 인식되며, 다른 곳으로 전달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사와 댓글이 통합적으로 수용된다는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기사와의 관계에서 이러한 루머 댓글 읽기의 영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온라인 뉴스 기사에서 언론사와 기사 내용, 즉 기사 내 정보량은 각각 정보원과 메시지로서 이용자에게 영향을 미친다. 이용자들은 포털을 통해 뉴스를 소비하며, 종이신문구독과는 달리 다양한 뉴스 기사를 소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인지된 언론사 공신력은 이용자의 기사와 댓글 수용에 영향을 준다. 또한 기사 정보량은 메시지로서 이용자에게 영향을 미친다. 루머 댓글 읽기의 효과로는 인지적 차원에서 루머의 신뢰와 함께, 루머의 정보적 성격을 고려하여, 루머 확산을 예측할 수 있는 루머 관련 정보 추구 행동 및 정보 전달 행동을 보았다. 또한 실제로 기사에 따른 행동을 할 것인지, 루머에 따른 행동을 할 것인지를 보기 위해 기사 실천 행동을 보고자 했다.
이용자가 지각한 언론사 공신력과 기사 정보량이 루머 댓글 읽기 효과로서 루머에 대한 신뢰, 루머 관련 정보 추구 행동, 루머 관련 정보 전달 행동, 기사 실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서로 다른 가정이 가능한 두 가지 설명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하나는 설득효과모형이다. 이 모형에서, 공식적인 정보로서 기사와 비공식적인 정보로서, 기사와 반대되는 내용의 루머는 상호배타적이며 반비례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이 모델에서 언론사 공신력과 기사 정보량은 기사의 설득력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기사의 설득력은 루머 댓글 읽기 효과에 반비례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가정하였다. 이에, 언론사 공신력이 높아지고 기사 정보량이 많을수록, 이와 대립적 관계에 있는 루머 신뢰는 낮아지며, 루머 관련 정보 추구 행동 및 정보 전달 행동을 감소시키고, 기사 실천 행동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다른 하나는 의제설정모형이다. 이 모형에서, 이용자는 기사 혹은 루머 중 하나의 정보만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 정보 모두 해당 이슈에 대한 이용 가능한 정보로 통합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공통 이슈에 대한 기사와 루머 댓글은 이용자의 해당 이슈의 중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설득효과와는 언론사 공신력이 높고 기사 정보량이 많을수록, 루머 관련 정보 추구 및 정보 전달은 더 많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설득에 의한 수용과는 달리, 이러한 인지적 차원의 변화는 루머 신뢰나 기사 실천 행동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두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서로 다른 두 개의 언론사와 이슈를 이용하여 두 차례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두 실험에서 다음의 동일한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언론사 공신력과 기사 정보량이 루머 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두 번째, 언론사 공신력과 기사 정보량이 루머 관련 정보 추구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언론사 공신력의 주효과가 나타났으며, 언론사 공신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더 많은 정보 추구 행동 의도를 보였다. 세 번째, 언론사 공신력과 기사 정보량이 루머 관련 정보 전달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언론사 공신력의 주 효과가 나타났으며, 언론사 공신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더 많은 정보 전달 행동 의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언론사 공신력과 기사 정보량은 기사 실천 행동 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비록 기사 정보량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러한 결과는 언론사 공신력과 기사 정보량이 의제 설정 모형에서 가설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루머 댓글 읽기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식적인 정보로서 기사와 루머를 대립적이며 상호배타적으로 수용된다는 전통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이 둘이 상호보완적으로 이용자에게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기존 연구가 의견기사와 태도를 중심에 둔 것과 달리, 정보적 성격의 일반 보도를 대상으로 하여 그 효과를 봄으로써 기사와 댓글 관계에 있어 다양한 다른 경로의 존재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People come in contact with tons of information via internet every day. One in particular is the rumor, information with characteristics directly opposite to that of official information such as news articles. Online news articles and replies, users comments in commentary box under news articles, are where official information(news articles) and unofficial information (inaccurate rumors) coexist and they are often viewed as primary source of rumors. Studies, however, were insufficient in determining what aspects influence readers confidence in rumors and readers intention to deliver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whether the effect of reading rumor-containing replies is affected by how readers perceive the press (press credibility)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an article contains (the amount of information in article). To evaluate the effect of reading rumor-containing replies, this study examined readers confidence in rumors (rumor credibility), their actions to pursue information related to rumors (pursuit of rumor-related information), their actions to deliver related information (delivery of rumor-related information), and their behavioral conformity to article information (willingness to conform to article).
To this day,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y empirical study on how press credibility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in article influence the effect of reading rumor-containing replies. This study developed two models that predict the contradicting results of dependent variables and verified which one of the two models is more compatible.
First model is persuasion effect model. Persuasion effect model understands the relationship of news article and rumor as contradictory and mutually exclusive. This model assumes that press credibility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affect the persuasiveness of an article, and that persuasiveness has an effect of changing readers attitude towards the article subject. Thus, higher press credibility and larger amount of information is expected to decrease rumor credibility, pursuit and delivery of rumor-related information and to increase willingness to conform to article.
Second model is agenda setting model. Agenda setting model understands the relationship of news article and rumor as compatible and complementary. In this model, it is assumed press credibility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encourage readers to perceive the significance of the issue in article. With higher press credibility and larger amount of information, readers perceive the specific issue as more significant. Therefore, higher press credibility and larger amount of inform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pursuit and delivery of rumor-related information. Rumor credibility and willingness to conform to article, on the other hand, is not expected to be influenced by press credibility and amount of information.
To verify the contradicting hypotheses of two models, two independ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wo different article issues from different pr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The effects of press credibility and amount of information on rumor credibility were not found.
(b) The main effect of press credibility on pursuit of rumor-related information was found. Participants who perceived the press to be more credible showed they had more intention to pursue rumor-related information than those who perceived the press to be less credible. The effect of the amount of information was not found.
(c) For delivery of rumor-related information, the main effect of press credibility was found. Participants who perceived the press to be more credible showed they had more intention to deliver rumor-related information. The effect of the amount of information was not found.
(d) The effects of both press credibility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on willingness to conform were not found.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ess credibility and amount of information influence effect of rumor-containing replies in the way agenda setting model assum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224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08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