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Necessity of "Legendary Mist" : 나다니엘 호손의 『일곱 박공의 집』에 나타난역사와 로맨스의 서사양식
History and the Style of Romance in Nathaniel Hawthorne's The House of the Seven Gabl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채선이

Advisor
강우성
Major
영어영문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2012. 2. 강우성.
Abstract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style of romance in Nathaniels Hawthornes The House of the Seven Gables (1851) in relation to the writers historical consciousness. Facilitated by its relative freedom from realistic representation, the romance engages in a reconstruction of legendary history that departs from official records of the past. This reconstruction not only reveals a history of elided conflict but also leads to a critical portrayal of domestic ideology in antebellum America.
Chapter one examines Hawthornes theory of romance as delineated in the preface to The House of the Seven Gables while also discussing its relation to the task of historical reconstruction. Chapter two discusses the New Americanists reassessment of the American romance before reiterating the significance of Hawthornes work in questioning the validity of historical narratives. By drawing upon legendary accounts of the Maules, the narrator challenges official records of the past that favor the Pyncheons claim to entitlement while also questioning the ideological narrative of history legitimized as a realization of democratic polity.
Chapter three analyzes the manner in which a newly established domestic home temporarily resolves the historical antagonism between the Pyncheons and Maules. Sympathizing with characters victimized by Judge Pyncheons effort to take possession of the dynastic house, the narrator portrays the development of a democratized community made possible by Phoebes domestic arrangement. This community based on ties of sympathy prompts the aristocratic Hepzibah and Clifford, as well as the radical Holgrave to accept a peaceful practice of society.
Chapter four examines the heightened fictionality of mise-en-abyme as cases of narrative distanciation. Holgraves narration of Alice Pyncheon allows readers to discern the authors critical stance towards this disruptive version of history founded on resentment. In the case of Governor Pyncheon, the narrator becomes both author and character in entering the scene and staging a spectacle for the readers. This distanciation of the narrator provides the key for evaluating the work. While the narrator depicts the domestic home as a resolution to historical conflict, the author remains critical of the fanciful arrangement of such reconciliation.
Despite striking a regrettable moral compromise of supporting the Union and its rhetoric of democratic polity at the expense of abolition, Hawthorne presents in his work a qualification of both conservative wish for continuity and radical zeal for reform. His romance sounds the warning that, without critical reflection on appeals made to democratic principle as a means of justifying a reconciled community, the attempt to redress historical conflict may result in a repeated elision of truth.
본 논문은 나다나엘 호손의 두 번째 장편 『일곱 박공의 집』에 나타난 로맨스 서사양식과 작가의 역사의식을 연관시켜 논의한다. 로맨스 서사양식은 사실을 단순히 재현하는 대신 역사를 전설의 형태로 재구성하며 공식 역사가 은폐하는 사회적 대립을 드러낸다. 1851년 발표된 이 작품은 이러한 로맨스 장르의 특성을 통해 1850년 타협(Compromise of 1850) 직후 미국 사회에 여전히 남아있는 정치적 갈등 및 급격한 산업화에 따른 사회적 혼란에 대응하여 확산된 가정성 이데올로기(domestic ideology)를 비판적으로 조망한다.
1장은『일곱 박공의 집』의 서문에 집약된 호손의 로맨스 론을 살피고 작품에서 로맨스 서사양식이 역사의 재구성이라는 구체적 과제와 맞물리는 양상을 밝힌다. 2장에서는 신비평을 비판한 신미국학자들의 논의를 되짚어 보면서 로맨스가 이상적인 미국사 이면의 역사를 비판적으로 되살려내고 있음을 주장한다. 작품의 화자는 공식적인 역사와 그에 새겨진 핀천 가문의 특권적 위치에 대항하여 몰 가문에 대해 구전되는 전설을 서사에 도입하고 있다. 미국 역사를 민주주의의 성취과정으로 간주하면서 과거의 사회적 갈등을 은폐하는 이데올로기적 역사관을 공식 역사와 전설이 교차하는 서사가 비판하는 것이다.
3장에서는 핀천 가문과 몰 가문 간의 대립이 새로운 형태의 가정 공동체를 통해 잠정적으로 해소되는 양상을 분석한다. 화자는 핀천 판사와 대립 관계에 있는 헵시바와 클리포드를 옹호하면서 평민 출신인 피비가 민주적인 가정을 형성하는 과정을 긍정적으로 그린다. 혈통이 아닌 공감을 통해 맺어진 가정 공동체는 몰락한 귀족 헵시바와 클리포드, 그리고 몰 가문의 후예 홀그레이브로 하여금 평화로운 사회생활을 받아들이게 한다. 하지만 로맨스는 가정을 형성하는 피비의 신비한 능력을 강조하며, 가정을 통해 제시되는 민주적인 화합과 역사의 연속성이 현실 사회의 모순을 다시금 묵인하게 되는 위험을 밝혀준다.
4장에서는 허구성을 통해 진실에 접근하는 로맨스의 역설적인 특징이 부각되는 예로 작품의 미장아빔(mise-en-abyme)을 살핀다. 홀그레이브가 직접 서술하는 앨리스 핀천 장(章)은 홀그레이브의 급진주의적 역사관에 내재한 원한의 감정을 서사에 반영하고, 이로써 그를 옹호하는 화자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해준다. 주지사 핀천 장에서는 화자가 서사 공간 내에서 허구적인 장면을 연출함으로써 호손과 구분되는 면모를 보인다. 미장아빔을 통해 확인되는 작가와 화자의 입장 차이는 작품의 결말부를 평가하는 단서가 된다. 즉 화자가 피비의 가정성이 과거의 갈등을 해소하고 현재의 사회적 분열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그려낸다면, 작가는 이러한 가정성이 현실로부터 스스로를 유리시키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계한다.
호손이 1850년 타협(Compromise of 1850)을 통해 인종문제를 묵인하고 잠시 안정의 모습을 찾은 연방의 보존을 기원했음은 사실이다. 그러나『일곱 박공의 집』은 미국의 역사로부터 은폐되어온 갈등을 해소하려는 노력이 민주주의적 가치를 내세우며 스스로를 정당화하는 새로운 가정 공동체에 대한 반성 없이는 현재의 사회적 대립을 다시금 은폐하는 것에 지나지 않을 수 있다는 비판적 인식을 함께 보여준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257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504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