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상규의 국악관현악곡에 나타난 화음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보윤

Advisor
김승근
Major
음악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과, 2012. 2. 김승근.
Abstract
국악관현악은 시대적인 흐름 속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음악이 아닌 국악의 현대화를 목표로 만들어진 형태이다. 관현악이란 형태는 수직적인 음악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악관현악은 작곡가들에게 기존의 우리음악에 없던 개념인 화음을 전통어법과 함께 운용해야하는 과제를 안겨주었다.

본고는 국악관현악이 형성되고 발전하는 과정에서 화음이 어떻게 운용되면서 바뀌어가고 있는지 이상규의 시대별 국악관현악 작품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는데서 출발하였다. 작곡가ㆍ연주자ㆍ지휘자의 이력을 함께 가지고 있는 국악창작 1세대인 이상규의 시기별 4개 작품의 화음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60년대 작품인 는 전통합주에서와 같은 수평적 구조의 선율을 운용하고 있어서 수직적 구조인 화음의 사용 정도가 적다. 다만 종지에서는 전통어법의 종지법이 아닌 화음으로 종지하고 있다. 그리고 전통음악 와 같은, 악기간의 병진행으로 화음을 만들고 있다. 전통합주의 선율진행이나 서양의 중세시대의 기법 등이 혼용되고 있는 이유는, 이 시기가 국악관현악이 막 형성되었을 때로 아직 화음의 개념과 관현악법이 확실하게 정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둘째, 1970년대 후반 작품인 는 서양의 현대음악 어법처럼 어느 한 화음의 역할이 두드러지지 않도록 선법과 각 음의 기능을 약하게 하여 모든 화음을 비슷한 역할과 기능으로 골고루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전통음악 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울림인 감5도ㆍ감3화음을 사용하여 이전의 작품들과 다른 울림을 실험하고 있다. 서양의 현대음악 어법과 전통음악에서 잘 사용하지 않던 화음을 활용하는 이유는, 이 시기가 국악관현악에서 서양 작곡가들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국악계도 현대적인 흐름에 익숙해져 가던 때로 양쪽의 음악어법을 활용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1980년대 후반 작품인 은 안정적인 3화음을 곡 전체에 사용하고 있다. 다만 그 화음들이 화성적인 기능을 하지는 않고 수직적으로 풍성한 울림만을 만들고 있다. 그리고 전통음악《표정만방지곡(表正萬方之曲)》중 의 도약하는 선율진행과 사진행 선율을 모티브로 활용하고 있다. 이전 시기에 비해 3화음의 활용정도가 더 높아진 이유는, 이 시기가 국악관현악이 대중적으로 익숙해지던 때라 청중들의 취향을 고려한 작품들을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넷째, 2000년대 작품인 은 표제음악으로 클러스터(cluster), 미분음, 대위적인 선율의 확장, 기능화성의 반주 그리고 특수주법 등을 활용하고 있다. 한 작품 안에서 이러한 다양한 기법들을 사용하는 이유는, 이 시기가 국악관현악을 비롯한 문화예술 분야에서 여러 장르가 결합하는 것이 익숙해진 때이고, 국악관현악이란 장르가 시작 된지도 40여년이 지나 작곡가 각자의 개성과 예술관이 담긴 작품들이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고에서는 이상규의 , , , 의 시기별 4개의 작품을 분석하여 그의 화음 사용기법을 살펴보았다. 40여년의 작품 활동을 통해 이상규는 전통어법을 기반으로 한 화음을 국악관현악에서 활용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다양한 음역대의 악기편성을 시도했으며, 전통악곡의 수평적 선율진행 속에서 만들어지는 화음을 자신의 작품 속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런 그의 해법은 이 작품들에서만 시도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비슷한 시기의 그의 다른 작품들, 동시대의 다른 작곡가의 작품들에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서양의 화음 사용기법과는 다른 국악관현악 속에서 전통어법을 활용하는 화음 사용기법들이다. 이에 국악관현악 작품에 새로운 전통음악 어법을 토대로 한 화음을 작품에서 활용하려하는 작곡가들에게 본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is a formula created with an aim to modernize gukak-Korean traditional music- instead of being a music formed naturally in the stream of ages.
The formula of Orchestra maintains Vertical music structure, thus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brought to the composures the subject to operate traditional music grammar together with chord concept that never existed in the traditional music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chord being operated and changed in the course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through artworks of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written by Lee Sang-Kyu by periods.

The results of the study examined the chord of 4 artworks of Lee Sang-Kyu the 1st generation of gukak composition who has careers of being composure, player, conductor based on time periods are as follows;

First, the 1960s artwork -eternity way- was operated by Horizontal structure of tune like Traditional ensemble thus Vertical structure of chord was less used.
But in the cadence, it ended with chord instead of Cadence of traditional music grammar and creates a chord being made of Parallel Motion between musical instruments like traditional music .
The reason of mixed use of Melodic progression of Traditional ensemble and techniques of Medieval Ages etc. was because the period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was just formulated as such the concept of chord or orchestration was not clearly established yet.

Second, the artwork of latter 1970s -stone man- all chords were equally used with similar role & function with diminished mode or tone function being not to be noticeable to any one particular chord similar to the contemporary Western musical language method.
And it was experimenting different beats compare to existing artworks by using distinctive diminished 5th, Diminish Triad Chord beat, being expressed in traditional music .
The reason of being used chord that has not been used frequently in the contemporary Western musical language method as well as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because it was the period the activities of western composures in Gugak Orchestra became active, an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ociety as well became familiar with contemporary stream of tendencies, thus various attempts were being made by using both musical language methods.

Third, the artwork of latter 1980s -glory- uses stable Triad Chord in the whole music. But such chord was not performing Harmonic Function but was making only for vertical enrichment of beat.
And it utilized skip Melodic motion and Oblique Motion with motif of traditional music among 《Pyojeong-
manbanjigok》.
The reason of higher level usage of Triad Chord compare to previous period was because it was the period when the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has become popular to public thus artworks were composed of taken into consideration of audience tastes.

Forth, the artwork of 2000s period -automn- is a programme music being used cluster, microtone, contrapuntal melodic expansion, functional harmony accompaniment and Special play Techniques.
The reason of utilization such various techniques in one artwork was because it was the period convergence of various genres became familiar in the field of arts & culture including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and already 40 years has passed since the genre of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was introduced therefore artworks were being composed of that contains the character or view of art of individual composure.
As stated above, in this article, it was examined the chord using technique of Lee Sang Kyu through analysis of 4 periodic artworks of Lee Sang Kyu - , , , .

Lee Sang-Kyu, through over 40 year composition activity, intended as priority to organize instruments with various musical range, in order to apply chord on the basis of traditional musical language to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and utilized in various methods in his artworks of the chord being composed of in the horizontal melody progression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uch of his explanation method is the chord use technique to use traditional grammar in the Gugak Orchestra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 chord use technique being noticed not only in these artworks but also other artworks of his compositions in the similar periods as well as artworks of other composures in the same period.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help for those composures wishes to utilize to their composition the chord on the basis of new traditional music grammar.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300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085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