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Determinants of gastric cancer screening attendance in Korea: a multi-level analysis : 한국인에서 위암 조기검진 수검 결정 요인: 다수준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윤녕

Advisor
유근영
Major
의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2. 2. 유근영.
Abstract
Backgrounds: Gastric cancer is the leading site of cancer in Korea. Early detection of gastric cancer by screening and timely treatment can reduce mortality and morbidity. However, gastric cancer screening participation rate is not optimal and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factors associated with gastric cancer screening attendance.

Materials and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individual- and area-level factors associated with gastric cancer screening attendance. Data on gastric cancer screening and individual-level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from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09 (KNHANES IV). The area-level variables were collected from 2005 National Population Census, 2008 Korea Medical Association, and 2010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s with the STATA version 10.0.

Results: According to KNHANES IV data, an estimated participation rate in gastric cancer screening (adhered to Korea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guideline) was 44.0% among Korean individuals aged over 40 years. Among individual-level variables, the highest income quartile, college or higher education level, living with spouse, having a private health insurance, limited general activity, previous history of gastric or duodenal ulcer, not currently smoking were associated with better participation in gastric cancer screening. Among area-level variables, areas with most urbanized quartile (odds ratio (OR) 0.71; 95% confidence interval (CI) 0.62-0.82) and areas with second most urbanized quartile (OR: 0.82; 95% CI: 0.72-0.96) was less likelihood of gastric cancer screening attendance than areas with least urbanized quartile. Most deprived area was related with lower likelihood of gastric cancer screening attendance compared to least deprived areas (OR: 0.83; 95% CI: 0.71-0.97). The number of primary physicians per unit area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in gastric cancer screening, while numbers of gastric cancer screening center per 1000 persons had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screening attendance. After adjusting all individual and area-level factors, urbanization showed only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with gastric cancer screening attendance among area-level factors.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re might been differences in gastric cancer screening attendance according to both individual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private health insurance status, smoking status) and regional area characteristics (urbanization, probably area deprivation). To improve gastric cancer screening participation effectively, targeted intervention strategy to those population who are vulnerable to gastric cancer screening (individuals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living in urban and probably more deprived areas) is needed.
배경: 위암은 한국인에게서 발생률이 높은 암이다. 조기 검진을 통한 위암의 조기 발견 및 치료는 위암으로 인한 이환 및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인의 위암 조기검진 수검률은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위암 조기 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방법: 위암 조기검진 수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 및 지역수준의 요인에 관한 단면 연구를 수행하였다. 위암 조기검진 및 개인수준 변수에 관한 자료는 제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07-2009) 자료를 이용하였다. 지역수준 관련 변수들은 2005년도 인구주택총조사, 2008년도 대한의사협회회원실태조사, 2010년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등을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TATA version 10.0을 사용하여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국가조기암검진 권고안에 따른 40세 이상 한국인의 위암 조기검진 수검률은 44.0%였다. 개인수준 변수에서는 최고 소득사분위와 대졸 이상의 학력, 배우자가 있는 경우, 민영의료보험에 가입한 경우, 활동제한이 있는 경우, 이전에 위십이지장 궤양 과거력이 있는 경우, 현재 흡연자가 아닌 경우 유의하게 위암 검진 수검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수준 변수 중에서는 가장 도시화된 사분위수에 속하는 지역과 두번째로 도시화된 사분위수에 속하는 지역에서 가장 도시화가 덜 된 사분위수에 속하는 지역에 비해 유의하게 위암검진 수검률이 낮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박탈지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가장 낮은 지역에 비해 위암검진 수검률이 유의하게 낮았다. 단위면적 당 개원봉직의 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위암검진 수검률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인구천명당 위암검진기관수는 수검률과 관련을 보이지 않았다. 모든 개인수준 및 지역 수준 변수들을 보정한 결과 지역 수준 변수 중에는 도시화 정도만이 위암 조기검진과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위암 검진 조기검진 수검에 여러 개인수준 (소득, 교육 수준, 결혼상태, 사보험 유무, 흡연상태) 및 지역 수준 변수 (도시화 정도, 아마도 지역박탈지수)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암 조기검진 수검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위암 조기검진 수검률이 낮은 군을 중심으로 한 맞춤형 중재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348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08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