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valuation of stability using two-dimensional cephalometric analysis and three-dimensional model analysis and the effects on surrounding tissue after treatment of anterior open bite with the skeletal anchorage system : 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전치부 개방교합 치료의 안정성 및 주변조직에 미치는 영향 평가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마수정

Advisor
임원희
Major
치의과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과학과, 2012. 2. 임원희.
Abstract
Objectiv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compare the vertical measurements from 3D analysis with those from 2D analysis, (2) to evaluate the dentoskeletal changes after treatment of open bite with the skeletal anchorage system (SAS) using two-and three-dimensional analyses, and (3) to investigate post-treatment reactions of the surrounding tissu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wo anterior open bite participants (5 men and 17 women; 11 extraction and 11 non-extraction cases) were selected who had undergone orthodontic treatment with SAS for intrusion of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To quantify the skeletal and dental changes, lateral cephalograms and maxillary dental models were obtained at the beginning (T1), and completion of the treatment (T2), and during retention (T3). Panoramic radiographs were also obtained at the same time point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alveolar bone and root length. To evaluate the periodontal status, probing depth (PD) and bleeding on probing (BOP) were registered.

Results:
1.The vertical changes in both the maxillary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D and 3D analyses.
2.The intruded maxillary first molars relapsed by about 23 %, while the premolars (28.7%) and second molars (33.8%) had a tendency to be relapsed even more.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which were extruded during treatment exhibited more extrusion during the retention period. Despite the extrusion of the posterior teeth, the obtained positive overbite was maintained during the retention period.
3.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sitional changes of the teeth between the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4.Molar intrusion had no discernible effect upon the surrounding tissues and root length.

Conclusions:
2D and 3D analyses showed that skeletal and dental changes remained relatively stable after the intrusion of the maxillary molars with SAS. The intrusion of the maxillary molars with SAS could be a valid modality for anterior open bite treatment.
목 적:
본 연구에서는 (1) 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전치부 개방교합 치료 후 나타나는 골격 및 치성 변화를 이차원 및 삼차원적 방법으로 분석하고, (2) 이차원적 방법과 삼차원적 방법에서 얻은 치아의 수직적 위치 변화 값의 차이를 비교하며, (3) 치료가 치근 및 주변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방 법:
골성 고정원을 이용해 상악 구치부를 압하하는 방법으로 치료한 전치부 개방교합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격 및 치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치료 시작(T1), 치료 종료(T2), 유지(T3) 시점에서 측모두부계측 방사선사진과 상악 치열모형을 채득하였으며, 치조골과 치근 길이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다. 치주 상태 평가를 위해 유지 시점에서 탐침 시 출혈(BOP)과 치주낭 깊이를 측정하였다.

결 과:
1.상악 전치와 구치의 수직적 위치 변화를 평가하는데 있어, 이차원적 분석법과 삼차원적 분석법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삼차원적 분석법은 상악 구치 함입 시 일어나는 치아 위치 변화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주었다.
2.압하된 상악 제1대구치는 수직적으로 23% 정도 재발되었으며, 소구치(28.7%)와 제2대구치(33.8%)는 좀 더 큰 재발 경향을 보였다. 구치의 재발성 정출에도 불구하고, 전치부에서 양의 수직 피개는 유지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3.구치부 압하는 치주 건강이나 치근 길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 론:
이차원 및 삼차원적 분석 결과, 골성고정원을 이용한 상악 구치 압하로 나타나는 골격 및 치성 변화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전치부 개방교합 수정하는 데 있어 골성고정원을 이용한 상악 구치 압하 방법은 유용한 치료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664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58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