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인 상악 중절치의 절단결절 형태 분석 : Analysis of the mamelon form of Korean maxillary central incisor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상길

Advisor
이승표
Major
치의과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과학과, 2012. 2. 이승표.
Abstract
한국인 상악 중절치의 절단결절 형태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치의과학과 구강해부학 전공
( 지도교수 : 이 승 표 )

이 상 길

1.목적
절단결절(mamelon)은 갓 맹출된 절치 치관의 절단연(incisal edge)에서 나타나는 둥글게 나온 구조물로 대개 3개의 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나 치아가 완전히 맹출하여 교합이 시작되면 교모에 의해 사라지게 된다. 이 전에는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아왔으나 최근 소아청소년 환자의 치아 심미성이 강조되며 관심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절단결절의 다양한 항목에 대하여 한국인 자료를 만들었으며 특히, 크기에 대해서는 삼차원 가상 모형을 이용하여 계측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값을 구하였다.

2.방법
총 68명의 9년 자료를 수집하여 모두 612개의 상악모형을 조사하였다. 절단결절의 형태는 수를 기본으로 5가지 기준을 설정하였고, 소실 시기는 3단계로 나누어 관찰을 통한 정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높이 측정은 삼차원 가상 모형에서 가상벡터를 설정하여 정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성별 평균치 비교는 쌍표본 T-검정으로 확인하였다.

3.결과
절단결절의 형태는 결절이 3개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돌출형은 여자에 비해 남자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역시 좌우 차이가 그리 크지 않았다. 절단결절의 높이는 남자의 경우 0.26 ± 0.12 mm 이었고, 여자의 경우 0.24 ± 0.08 mm로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모든 대상에서 1년 안에 절단결절의 소실이 시작되었으며, 처음 맹출에서 소실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남자의 경우 4.52 ± 1.73 년이었고, 여자의 경우 4.13 ± 1.82 년으로 T-test 결과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아에서 상악 중절치에 대한 보철물 제작 시에 절단결절의 형태를 보다 심미적으로 제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Analysis of the Mamelon Shape of the Korean Maxillary Central Incisor

Sang Gil Lee, D.D.S.
Department of Oral Anatomy,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Directed by Assistant Professor, Seung-Pyo Lee, D.D.S., M.S.D., Ph.D. )


Mamelons are present on the cutting edge of an incisor tooth when it first erupts through the gum and is showing three rounded protuberances. They are quickly worn away when normal occlusion is started. Nowadays, the esthetic value of the anterior teeth of children has taken on greater importance than before. Therefore, the various items of the mamelon shape of the Korean maxillary central incisor were analysed.
The maxillary dental models of the 68 subject were collected for nine years and totally 612 models were inspected. There were five categories for shape and three categories for disappearance stage classification. For the height of mamelons, virtual vectors on the virtual 3D models were us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each group and paired samples T-test was performed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The most prevalent type of mamelon was three-mamelon form. Prominence type was more expressed in male group although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right and left sides. The height of mamelon was 0.26 ± 0.12 mm and 0.24 ± 0.08 mm in male and female group, respectively and no statistical differences. All models showed disappearance of mamelons within one year. The period of complete disappearance was 4.52 ± 1.73 years and 4.13 ± 1.82 years in male and female group, respectively and no statistical differences.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to clinicians when they fabricate restorations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for childre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678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20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