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하악지 시상분할 골 절단술 시술 시 발생하는 하치조 신경 손상 빈도에 대한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태군

Advisor
서병무
Major
치의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학과, 2012. 2. 서병무.
Abstract
현재 하악의 기형을 치료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술식은 하악지 시상분할 골 절단술이다. 하악지 시상분할 골 절단술은 골편간의 접촉면적이 넓어 빠르게 치유되며 견고 고정을 통해 술 후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원심골절편의 재위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측두하악관절장애, 신경 손상, 감염, 골 괴사, 치주질환, 연하곤란, 그리고 정신적 문제 등을 포함하는 매우 다양한 합병증이 일어날 수 있다. 하악지 시상분할 골 절단술 시술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중 가장 빈번하며 문제 시 되는 증상은 하치조 신경이 분포되어 있는 영역의 신경감각결손으로 이번 논문에서는 하악지 시상분할 골 절단술 시술 시 발생하는 하치조 신경의 손상 빈도에 대한 논문 분석을 통해 실제적인 신경 손상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신경 손상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설문지를 이용하는 주관적 측정법, 촉각인지, 방향 인지능, 두 점 식별능, 온도 식별능, 예리함-무딤 식별능, 격자 방향 식별능과 같은 임상 감각 검사법, 그리고 삼차신경 체성감각 유발전위, 감각 신경 활동전위, 전류 인지 역치 측정법, 안검반사법과 같은 객관적 측정법 등이 사용된다.
하악지 시상분할 골 절단술 후 나타나는 신경 손상의 회복양상을 살펴보면 술 후 3~6 개월 동안 대부분의 회복이 일어나며 1 년 이 후 나타나는 장기적인 신경 손상빈도는 약 5.5%로 낮게 나타났다. 환자와 관련된 요소로 성별은 술 후 이상감각의 빈도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높을수록, 시술 전 예민한 감각을 가지고 있던 환자일수록 신경 손상의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부성형술과 같은 추가적인 시술이 가해지면 술 후 감각이상이 발생하는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나 통계적으로 유의성과 관련하여서는 논란이 있다. 위의 결과들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 한국인에게도 앞에서 언급한 내용들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흥미로운 결과로는 술자의 숙련도가 술 후 감각이상이 발생하는 빈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져, 숙련된 술자가 시술할수록 술 후 나타나는 신경 손상의 가능성을 줄어든다는 점이 있었다.
위의 내용들에 더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술 시 하치조 손상의 빈도를 줄이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과 삼차원 CT를 이용한 하악의 해부학 구조 분석을 다룬 논문들의 분석을 통해 골 절개 및 고정 위치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도 고찰하여 보았다.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SSRO) is currently the most widely used procedure to correct mandibular deformity. SSRO has many advantages such as broad bony contact area for rapid healing, possibility of rigid fixation for preventing postsurgical alteration, and flexibility of repositioning of distal bone fracture. But it also has some complications including temporomandibular joint problems, nerve injuries, infection, bone necrosis, periodontal diseases, dysphagia, and psychological problems. Of these complications, neurosensory deficit in the mental region is the most frequent and significant proble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ubstantial incidence of neurosensory disturbance by meta-analysis of other several articles.
To determine the damage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many studies use subjective methods like questionnaire and clinical methods such as touch detection, brush directional discrimination, two-point discrimination, thermal discrimination, sharp/blunt discrimination, and grating orientation discrimination. Today trigeminal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sensory nerve action potential,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measurement, and blink reflex method are used as objective methods.
Most neurosensory disturbances are recovered 3~6 months after mandibular surgery and the incidence of long term disturbance lasting more than 1 year is 5.5%. Among patient-related contributing factors, gender did not influence the incidence, but aged and sensitive patients tended to suffer from functional nerve deficit more frequently. More manipulation on the inferior alveolar nerve such as additional genioplasty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neurosensory damage, but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n interesting fact is that the surgeons expertise was reported to be an important affecting factor on the neurosensory disturbance, relating a skilled surgeon to a lower possibility of nerve damage.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rious modifications attempting to reduce the incidence of inferior nerve damage and contemplates over using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nd anatomical analysis in determination of the osteotomy line and fixation posi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769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490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