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학습만화는 글보다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가?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준열

Advisor
박주용
Major
협동과정 인지과학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인지과학전공, 2012. 2. 박주용.
Abstract
본 논문은 읽기 자료로서의 학습만화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2000년대 이후 학습만화의 효과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대부분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혼입변인(confounding variables)에 대한 통제를 소홀히 했다. 주로 현장연구 방법으로 이루어졌던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실험법을 사용하여 읽기자료로서의 학습만화와 글 이외의 다른 변인의 영향을 최대한 통제하였다. 선행연구 및 배경이론을 검토한 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예상하였다. 첫째, 학습자 스스로 평정한 흥미도와 이해도는 학습만화를 읽은 집단이 글을 읽은 집단에 비해 높을 것이다. 둘째, 시험을 통해 평가한 학업성취도는 학습만화를 읽은 집단이 글을 읽은 집단에 비해 낮을 것이다.
학습만화 집단이 읽은 만화는 학습만화 『인체에서 살아남기 3권』 중 일부이다. 설명문 집단이 읽은 글은 이 만화에서 과학 정보와 관련된 글과 그림만을 옮겨 편집한 것이다. 이 만화는 아동 학습만화 분야 베스트 셀러일 정도로 재미있지만, 포함된 용어가 학생들에게 낯설고 다소 어렵기 때문에 선정되었다. 낯설어야 학생들의 사전 지식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고, 다소 어려워야 집단 간 차이를 변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험1에서는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제한된 시간 내에 텍스트를 읽게 하고 흥미도, 이해도 및 성취도를 검사했다. 실험 결과 흥미도와 이해도에 있어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업성취도는 학습만화를 읽은 집단이 설명문을 읽은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다.
실험2는 실험1의 결과가 텍스트 유형에 따른 결과인지 분량의 차이에 의한 반복 읽기 횟수에 따른 결과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단 한 번 텍스트를 읽게 한 뒤 흥미도 및 이해도, 성취도를 검사했다. 실험1과 마찬가지로 흥미도, 이해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업성취도는 글을 읽은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실험3은 시험 예고가 결과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험을 예고하지 않고 자유롭게 읽게 한 뒤 흥미도, 이해도, 학업성취도를 검사했다. 실험 결과 흥미도와 이해도는 학습만화를 읽은 집단이, 학업성취도는 글을 읽은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보면 선행 연구의 주장과 달리, 학습만화 독자가 느끼는 흥미는 인지적 흥미보다는 정서적 흥미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독자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추가된 만화적 요소와 이야기(story)가 학습자의 동기를 높여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보다는 학습자의 주의를 분산시켜 통합적인 정보 구성을 간섭하는 매력적인 군더더기(seductive details)로 작용하는 듯하다.
또한 실험 결과는 학습자가 보고한 흥미도 및 이해도가 실제 학업성취도와 일치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는 학습만화처럼 친숙한 교재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정도를 파악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텍스트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능동적인 추론 활동이나 반복 연습을 제한했기 때문일 수 있다.
본 실험이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이루어졌기 때문에 학습만화의 장기적 효과도 같으리라고 보기는 어렵다. 학습만화가 장기적으로 학업성취도 및 흥미도, 이해도, 집중력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보다 통제된 실험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현재 학습만화가 널리 읽히고 있지만 기대한 만큼의 효과가 나타나는지 제대로 파악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와 후속 연구를 통해 학습만화의 속성과 기능이 파악될 때, 보다 적절하게 교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cartoon based reading materials on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lthough a large number of studies based on classroom research have been made to examine the function of educational cartoons since 2000s,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control of confounding variables affecting the results. This study used experimental methods to control as much confounding variables as possible. It was expected that the participants reading cartoons will show more interest and understanding but lower academic performance than those reading texts.
The reading material used in the cartoon group was a portion of «Survival In the Human Body» third volume. The text group read only text and pictures drawn from the cartoon. The book is very popular with elementary students, but has many unfamiliar and difficult jargons for children. Therefore, the cartoon may be good material for experiments due to its unfamiliarity that can prevent the influence of students prior knowledge, and such difficulty can mark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experiment 1, third-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were asked to read the material within the time limit, measured the degree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and completed a test.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between groups. But the group who read the cartoon yielded significantly low scores in achievement tests.
The goal of Experiment 2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sults of experiment 1 was due to the effect of reading materials or the number of reading repetition. First-graders in high school read materials only once, and the assessment material was the same as in experiment 1. As in experiment 1, the degree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but the participants in the cartoon condition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hievement than those in the text condition.
Experiment 3 was intended to examine whether the notification of upcoming test affected the results. Contrary to experiment 1 and 2 when the participants were informed that they would have to take a test after reading, the students in experiment 3 had a surprise test. Sixth-grade elementary students were instructed to read materials without any time limit and took the same assessments as previous experim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measures. The participants reading the cartoon showed more interest and understanding but resulted in lower performance than those reading text.
The data of three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the interest readers felt about a cartoon might be more similar to emotional interest than cognitive interest. The story and elements such as exaggeration, humor, and violent in cartoons are intended to encourage readers interest and motivation. But these may function as seductive details, drawing the readers' attention away from the core content, and thereby interfere with constructive learning.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did not correspond to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 easy and interesting textbook like educational cartoons may have a bad effect on readers metacognition, and consequently hinder inference generation or practice.
Educational cartoons have been read widely but the effect on achievement is still not understood well. When the property and function of it is critically examined, it will be properly used in the classroom.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850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573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